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해외소식

편두통에 대한 새로운 생물학적 치료 경로 찾아...새 표적 약물 개발 길 열리나

 글로벌 제약기업 Amgen Inc의 자회사인 deCODE Genetics 주도로 진행된 편두통의 유전학에 대한 대규모 국제 연구에서 편두통의 생물학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게 됐다. 이로써 편두통을 예방하는 '희귀 변이(rare variant)'를 발견하고 새로운 표적 약물을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아이슬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는 deCODE Genetics가 이끄는 국제 과학자 그룹은 26일 편두통을 앓고 있는 사람 8만 명을 포함해 총 130만 명이 넘는 참가자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전문지인 Nature Genetics에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편두통의 두 가지 주요 아형(subtype)인 '조짐 편두통(흔히 고전적 편두통이라고 불리는 migraine with aura)'과 '무조짐 편두통(migraine without aura)'과 관련된 유전자 서열 변이(sequence variant)를 감지하는 데 집중했다. 그로 인해 얻어진 결과는 다른 아형보다 이러한 편두통 아형 중 하나에 더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유전자를 찾아내어 치료법 개발을 위한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새로운 생물학적 경로가 존재한다는 걸 확인해줬다.

편두통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만성 통증 질환 중 하나로, 성인의 최대 20%가 앓고 있다. 최근 편두통의 유전학 및 기본 생물학에 대한 연구에 진전이 생기면서 많은 편두통 환자에게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됐지만, 이것이 모든 유형의 편두통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번 연구는 44 개 변이와의 연관성을 밝혀냈으며 그중 12 개는 새로운 것이다. 또 조짐 편두통과 관련된 4가지와 무조짐 편두통과 관련된 13가지 변이가 새로 밝혀졌다.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다양한 유형의 편두통의 기저에 존재하면서 상당한 영향이 있는 병리를 일으킬 수 있음을 가리키는 세 가지 희귀 변이다. 

예를 들어, PRRT2 유전자의 희귀한 프레임 시프트 변이(frameshift variant)는 조짐 편두통뿐 아니라 다른 뇌 질환인 간질 위험이 크지만 무조짐 편두통 위험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들은 또 통증을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SCN11A에서 편두통을 막아주는 효과와 관련된 몇 가지 보기 드문 '기능소실 변이(loss-of-function variant)'를 발견했는데, 같은 유전자의 일반적인 '염기서열 변이(missense variant)'는 편두통 위험과 약간의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KCNK5 유전자를 가리키는 희귀 변이는 중증 편두통과 뇌동맥류에 대한 보호 효과가 크고, 두 질환 사이의 공통 경로를 확인하거나 초기 뇌동맥류의 일부 사례가 편두통으로 잘못 분류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Kari Stefansson deCODE Genetics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연구는 편두통을 예방하는 희귀 변이를 발견할 수 있는 시퀀싱된 개인의 대규모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어 잠재적으로 새로운 표적 약물 개발의 길을 열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국제 연구팀의 공동 연구는 아이슬란드에 있는 deCODE Genetics 과학자들이 주도했다. Copenhagen Hospital Biobank 와 Danish Blood Bank Study, 노르웨이의 HUSK 연구, 미국의 Intermountain Health 연구 과학자들이 협력했고, 영국 Biobank와 FinnGen의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동원됐다.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 본사를 둔 deCODE는 인간 게놈 분석과 이해 분야를 이끌어가는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지금까지 특별한 전문 지식과 인구 자원을 활용해 수십 가지의 일반적인 질병에 대한 유전적 위험 요인을 발견해왔다. 질병의 유전학을 이해하는 목적은 해당 정보를 사용해 질병을 진단과 치료 및 예방하는 새로운 수단을 개발하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