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의료대란의 피해는 모두 중증, 난치성 환자이며,3월에 되면 의료대란은 재앙으로 바뀐다. 따라서 정부와 대한의사협회 는 서로 한발씩 양보해 타협의 길을 모색하고 의대 증원은 5백선을 선호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성대의대 교수회는 25일 입장문을 통해 " 3월에 신임 인턴, 전공의가 안 들어오면 법적, 행정적으로 제재할 방법이 전혀 없으며, 대학병원 입원치료와 수술은 인턴, 전공의가 없으면 마비뿐만 아니라 대학병원의 마비 상황은 2000년 의약분업과 비교가 안 된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이어 "2024년 대한민국 의료는 2000년 의료대란 때와는 비교할 수 없게 고도화, 전문화되어 있어서 교수-전임의-전공의-인턴으로 이어지는 업무분담이 없으면 물가능하고 신임 인턴, 전공의, 전임의 경우 의정 갈등이 심한 현 상황에 병원에 입사할 이유가 없고 피하게 된다. 잘못하면 면허취소 되는데 병원에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 정부와 의사협회는 대승적으로 양보해야 한다. 정부는 일방적인 증원 정책을 멈추고, 의사단체는 가두시위를 중단하고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 더욱이 10년 후에 발생할 의사 인력의 부족 예측으로 갑작스러운 2,000명 의대정원(65%)의 증원 발표, 그리고 이로 인하여 촉발된 전공의 사직과 의대생 휴학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발생한 적이 없다. 오늘의 의료비상사태가 발생하게 된 것은 정부의 과도한 의대정원 증원 발표와 20년 동안 의대정원에 대한 의사들의 반대 일변도 자세와 준비 부족이 주 원인이다. 양쪽이 객관적인 시각으로 유연성을 가지고 양측의 의견 차이를 좁히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성균관의대 교수협의회(회장 홍승봉교수. 비대위원장 최용수교수)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의과대학 교수들의 의대정원 증원에 대한 의견을 2월 23~24일 이틀에 걸쳐 설문 조사하였다. 모두 201명의 성균관 의대 교수들이 응답한 결과, 의대정원 증원 반대가 50명(24.9%), 의약분업 이전 수준인 350명 증원 찬성이 42명(20.9%), 500명 증원 찬성은 50명(24.9%), 1,000명 증원은 10명(5%), 2,000명 증원은 8명(4%)이었다 "고 소개하고 " 의대정원 증원을 반대하는 비율은 25%이었고, 찬성하는 비율이 55%로 더 높았다. 의대정원의 증원 규모는 350~500명 증원에 92명 찬성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1,000-2,000명 증원에 찬성한 교수도 18명 있었지만 9%로 소수 의견이었다. "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