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미생물실증지원센터, 순천향대 휴먼마이크로바이옴,분자제어 연구센터와 업무협약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연구개발에서 유기적 협력



미생물실증지원센터(센터장 조민, 이하 센터)와 순천향대학교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분자제어 연구센터(HM·MRC, 센터장 송호연)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연구개발에 유기적 협력을 위해 업무협약(MOU)를  4일 서면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 내용은 양 기관이 종사하는 바이오의약품 산업에서의 정보를 공유하고, 제약·바이오 산업계에서 주목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상호협력하는 데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업계 동향 및 정보 공유 ▲연구협력 및 교육 훈련 ▲ 시설 및 기자재의 활용 등에서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일명 ‘세컨드 게놈(Second Genome, 제 2의 장기)’로 평가받는 마이크로바이옴은 기존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에서의 활용을 넘어 치료제, 백신까지 활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한편, 순천향대학교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분자제어 연구센터는 과기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총 사업비 170억 규모로 2023년 6월부터 7년간 현대의학의 난제인 고위험 감염질환 및  대사질환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연구를 수행한다. 기존 구축된 프로바이오틱스·마이크로바이옴 상용화연구센터(PMC)의 인프라와 선행연구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첨단바이오 산업을 이끌어갈 기술로 평가받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미생물실증지원센터는 2017년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라남도의 ‘백신글로벌산업화기반구축사업’을 통해 설립되어 백신 및 치료제의 국내·외 비임상·임상 시료를 제작하는 등 적극적으로 운영을 이어나가고 있다. 지난 코로나19로 주목받은 첨단기술인 mRNA 백신을 개발하는 기업 대상으로 개발부터 생산까지 지원하기 위한 정부 사업 또한 수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의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에서의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하여 향후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서의 역량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서울시 교육청, 학생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 논의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과 서울시 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5월 14일(수), 서울시 교육청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 현황을 공유하고,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협조 등 학생건강 수준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그간 질병관리청은 학생건강 수준 향상 및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해 다양한 아동-청소년 건강조사 및 감염병 감시·분석 사업을 일선학교와 협조하여 수행해왔다. 이번 협의에서는 학생 건강행태 현황을 공유하고 학생건강 수준 향상 및 학교 내 감염병 예방·관리를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주요 논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흡연, 음주 등 건강행태 현황과 국내외 모니터링 지표 산출을 위한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지속 협조② 아토피·천식 안심학교 사업 참여 독려③ 소아·청소년 다빈도 희귀질환 안내서 홍보④ 소아·청소년 손상 예방을 위한 교육자료 활용⑤ 학생감염병 발생동향 파악을 위한 협조체계 유지⑥ 수인성 식품 매개 감염병 예방·관리 특히,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 청소년의 신체활동은 소폭 증가 경향이긴 하나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수준으로 신체활동 실천율 제고 등 청소년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해 양 기관이 적극 협력하기로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