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해외소식

VITAL HealthCare, CMEF서 첫 성공적 데뷔?

4월 11일 상하이에서 열린 제89회 China International Medical Equipment Fair(CMEF)에서 VITAL Group의 5개 핵심 사업부 중 하나인 VITAL HealthCare가 화려하게 데뷔했다. VITAL HealthCare는 이번 첫 번째 쇼케이스에서 그룹의 핵심 역량인 연구개발(R&D)과 풍부한 최고 품질의 원자재와 기기와 모듈 및 시스템 R&D 자원을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인 제품 개발 계획을 제시해서 큰 주목을 받았다.

VITAL HealthCare는 이번 전시회에서 첨단 영상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 라인업의 선두에는 현재 개발 중인 '광자 계수 CT(PCCT)' 시스템 VITA PCCT가 자리했다. 이것은 영상 진단의 미래를 재정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차세대 CT 영상 기술이다. 또한 역시 개발이 진행 중인 VITA 7.0T 초고자장 MRI와 VITA PET/CT 및 상용화된 ASTA 1.5T 초전도 MRI도 소개했다. 각기 고유한 강점을 지닌 이 제품들은 질병의 조기 발견과 정밀 진단 지원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은 의료 영상 분야의 최첨단 기술을 개척하고 업계 전반의 하이엔드 의료 영상 제품 매트릭스를 구축하기 위해 벌여온 VITAL HealthCare의 헌신적 노력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들이다.

기존. 4월 11일 상하이에서 열린 제89회 China International Medical Equipment Fair(CMEF)에서 VITAL Group의 5개 핵심 사업부 중 하나인 VITAL HealthCare가 화려하게 데뷔했다. VITAL HealthCare는 이번 첫 번째 쇼케이스에서 그룹의 핵심 역량인 연구개발(R&D)과 풍부한 최고 품질의 원자재와 기기와 모듈 및 시스템 R&D 자원을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인 제품 개발 계획을 제시해서 큰 주목을 받았다.

VITAL HealthCare는 이번 전시회에서 첨단 영상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 라인업의 선두에는 현재 개발 중인 '광자 계수 CT(PCCT)' 시스템 VITA PCCT가 자리했다. 이것은 영상 진단의 미래를 재정의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차세대 CT 영상 기술이다. 또한 역시 개발이 진행 중인 VITA 7.0T 초고자장 MRI와 VITA PET/CT 및 상용화된 ASTA 1.5T 초전도 MRI도 소개했다. 각기 고유한 강점을 지닌 이 제품들은 질병의 조기 발견과 정밀 진단 지원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은 의료 영상 분야의 최첨단 기술을 개척하고 업계 전반의 하이엔드 의료 영상 제품 매트릭스를 구축하기 위해 벌여온 VITAL HealthCare의 헌신적 노력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들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