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오가논(대표 김소은)은 세일즈(Sales and Customers) 부서를 이끌고 있는 오소윤 전무가 2025년 1월 1일부로 오가논 말레이시아 대표(Country Lead)로 임명되었다고 23일 밝혔다. 오소윤 전무는 26년 이상의 제약 업계 경력을 바탕으로, 한국오가논의 출범부터 함께하며 세일즈 부서 리드로서 회사의 성장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만성질환 분야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하고 여성건강 분야에서의 입지를 빠르게 확대하며 회사의 운영 체계를 안정화하고 성장 기반을 구축했다. 오 전무는 그동안 아토젯, 프로페시아, 싱귤레어, 바이토린, 코자 등 주요 제품의 관리 전략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고,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다양한 상업적 성공을 이끌었다. 또한, 150명 이상의 영업 조직을 이끄는 과정에서 탁월한 리더십과 관리 역량을 발휘하며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했다. 오소윤 전무는 앞으로 오가논 말레이시아 대표로서, 그간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말레이시아 팀과 함께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며 회사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한국오가논 이전에는 한국MSD에서 PC (Primary Care, 만성질환치료제) 사업부 디렉터, DV (Diversifie
동화약품(대표이사 유준하) 대표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마그랩’이 론칭 1년 만에 2024 올리브영 어워즈 건강식품 부문 수상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올리브영 어워즈는 연간 구매 고객 데이터 및 상품 판매량, MD 전략을 기반으로 당해연도 올리브영의 베스트 인기 제품만을 엄선해 시상하는 행사다. 프리미엄 마그네슘 브랜드 ‘마그랩’은 동화약품 건강기능식품 신사업의 일환으로 출시된 브랜드로, 소비자의 숨은 수요를 꿰뚫는 제품을 시장에 선보여 소비자들로부터 큰 지지를 받았다. 덕분에 마그랩은 출시 1년 만에 액상 마그네슘 누적 판매 240만 병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마그네슘 돌풍의 주역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이번 2024 올리브영 어워즈 건강식품 부문에 선정된 제품은 마그랩 ‘포 스트레스’다. 포 스트레스는 액상이라 흡수가 빠르며 글루콘산 마그네슘이 함유된 마그랩의 대표 상품으로, 홍경천 추출물과 비타민 B군이 함께 들어있어 스트레스로 인한 피로 개선과 에너지 생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이다.
엔젠바이오(354200)는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첨단정밀의료산업화지원센터와 협업을 통해 개발 완료한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이하 AML) NGS 기반 초민감도 유전자 진단 제품 ‘엠알디 아큐패널 에이엠엘 에프엘티쓰리(MRDaccuPanel™ AML FLT3, 이하 ‘엠알디 아큐패널’)’와 고성능 분석 솔루션 '엔젠어날리시스(NGeneAnlysys)'를 화순전남대학교병원에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은 개원 초기부터 세계 최고의 암 전문병원을 목표로 개원하여 ‘2024년 세계 최고의 전문병원(World’s Best Specialized Hospitals 2024)’ 종양학(Oncology) 분야 평가에서 전 세계 상위 300개 의료기관 가운데 120위를 기록했다. 국립대병원 중 서울대학교병원과 두 곳만이 이룬 성과이며 비수도권 병원으로는 유일하게 선정되었을 정도로 암 전문병원으로서의 입지를 구축했다. 특히 호남권에서는 유일하게 운영중인 정밀의학센터에서는 단일기관으로서 국내 최고수준의 NGS 플랫폼 기반 혈액암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를 선도하고 있다. 이번에 공급하는 엠알디 아큐패널은 FLT3 유전자의 ITD
SK바이오사이언스와 사노피는 현재 상용화된 제품보다 더 넓은 예방효과를 제공할 영·유아 및 소아용과 성인용 차세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을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기존 체결된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 ‘GBP410’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양사의 협력 범위를 확장한 것으로, 21가보다 진보된 혁신적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와 동시에 현재 개발중인 GBP410은 글로벌 임상 3상에 본격 착수하며 상용화에 한 발 더 다가섰다. 영·유아 대상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중 최초로 20가를 넘어선 백신이라는 강점에 시장 기대감을 높이는 중이다. 선급금 약 755억 및 향후 수 천억 규모 기술료… 성인용 백신까지 개발 확대 양사의 신규 프로젝트에 따라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노피로부터 5천만 유로(한화 약 755억원)를 선급금(upfront)으로, 이후 개발 완료 시점까지 단계별로 마일스톤을 추가로 지급받게 된다. 백신의 연구개발비는 양사가 동일하게 분담하며 상업화와 관련된 모든 비용은 사노피가 부담한다. 상업화 후 SK바이오사이언스는 한국에서, 사노피는 글로벌에서 판매를 맡는다. 제품 매출에 따라
제이앤피메디(대표 정권호)가 지난 16일 경희대학교 약학대학(학장 임동순)과 규제과학 및 약학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약학대학 임동순 학장, 대학원 규제과학과 서혜선 학과장, 정은경 교수와 심재훈 교수, 제이앤피메디 유수현 부사장, 김민석 본부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해 국민 보건 증진과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 디지털 헬스 기술과 바이오 헬스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양측은 △경희대 학생들을 위한 현장 실무 실습과 체험 학습 프로그램 운영, △규제과학 세미나 및 특강 개최, △겸임·외래 교수 자격 부여 검토, △우수 인재 취업 연계 및 채용 우대, △JNPMEDI 직원 대상 반일제 학위과정 및 단기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인재 양성 및 교류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시스톤 파마슈티컬스(CStone Pharmaceuticals, 이하 시스톤)에 기술이전한 CS5001(ROR1-ADC, LCB71)의 임상 1b상 첫 환자 등록이 12월 19일자로 완료됐다고 밝혔다. 앞서 CS5001은 10개의 용량군(dose level, DL)을 대상으로 진행된 용량증대(dose escalation) 임상 1a상을 통해 B세포 림프종(B-cell lymphoma) 및 고형암(solid tumor) 환자들에게서 우수한 내약성과 용량제한독성(DLT)이 관찰되지 않았다. 임상 1a상에서 도출된 잠정적인 임상 2상 권장용량(RP2D)인 DL8(125μg/kg)에서 CS5001은 진행성 B세포 림프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완전관해(CR) 4명, 부분관해(PR) 6명으로 76.9%의 ORR을 달성했으며, 호지킨 림프종(Hodgkin lymphoma)에서는 완전관해 2명, 부분관해 1명으로 100%의 ORR을 달성했다. 그 외에도 비소세포폐암(NSCLC), 췌장암 등 다양한 진행성 고형암을 대상으로도 고무적인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에 개시한 임상 1b상은 용량 최적화(dose-op
휴온스그룹은 내달 1일자로 휴온스글로벌을 비롯한 계열사의 상반기 임원 인사를 단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다음은 승진자 명단이다. <상무이사> ◇휴온스 김경래 ◇휴온스푸디언스 곽연길 <이사> ◇휴온스글로벌 김영미 ◇휴메딕스 김종민 ◇휴메딕스 이은숙 <이사대우> ◇휴온스 윤서철 ◇휴온스 김용진 ◇휴온스 조문상 ◇휴온스 정성만 ◇휴메딕스 홍용순 ◇휴메딕스 김영보 ◇휴엠앤씨 강근호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항균코팅티슈 ‘바이오 스파이크 가드’의 강력한 살균력에 대한 연구결과가 대한감염학회 국제학술지 「Infection & Chemotherapy」에 게재됐다고 20일 밝혔다. 바이오 스파이크 가드는 살균·소독 효과가 있는 디데실디메틸암모늄염화물(DDAC)과 차세대 항균코팅물질인 유기실란(Si-QAC)을 복합한 병원용 항균코팅 티슈다. 이 제품은 미생물에 의한 손상 없이 보존되는 잠자리 화석의 날개 표면에서 발견한 스파이크 구조체를 항균막으로 구현하여, 즉시 살균작용을 한 뒤 항균 스파이크가 표면에 코팅되어 물리적으로 균의 사멸(항균)을 유도한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등 다제내성균에 대해서도 99.99% 이상의 탁월한 사멸능력을 나타낸다. 이번 연구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백신바이오연구소에서 진행됐으며, 다제내성균을 비롯한 188개 박테리아 및 곰팡이 균주로 구성된 미생물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4급 암모늄 계열의 세 가지 소독티슈(▲ A군: 바이오 스파이크 가드(DDAC/Si-QAC 복합) ▲ B군: 벤잘코늄염화물(BAK) ▲ C군: DDAC/BAK 복합)를 비
㈜유영제약(대표 유주평)은 지난 19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사단법인 한국사랑나눔공동체에서 캄보디아 헤브론병원에 의료 취약계층 환자들을 위한 의약품 기증식을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기증한 의약품은 아멜록스캡슐 외 2개 품목으로, 총 1억 4천만 원 규모에 달한다. 기증된 의약품은 한국사랑나눔공동체를 통해 캄보디아 의료 취약계층 환자들의 치료에 소중히 사용될 예정이다. 한편, 유영제약은 지난 2년 동안 국내외 다양한 의료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약 9억 7천만 원 상당의 의약품을 기증해왔다. 유영은 이를 통해 의약품 지원 활동의 중요성을 알리며, 글로벌 사회공헌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다양한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퀀타매트릭스(317690, 대표 권성훈)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항감염 화학요법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대회인 ‘Réunion Interdisciplinaire de Chimiothérapie Anti-Infectieuse(RICAI)’에 성황리에 참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올해로 44회를 맞이한 RICAI Congress는 매년 2,000명 이상의 임상 의료 전문가, 미생물학 전문가, 감염병 전문가들이 모이는 권위 있는 학회다. 올해는 ‘백일해 및 엠폭스(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재발’을 주제로 개최됐으며, 31개의 초대 세션을 포함해 총 108개의 커뮤니케이션 세션이 마련됐다.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비오메리으, 벡톤 디킨스 등 45개 글로벌 제약 및 진단 기업이 참석한 가운데 감염성 질환의 ▲진단 ▲치료 ▲예방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며 학술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하였다. 퀀타매트릭스 유럽 법인은 올해로 다섯 번째 RICAI Congress에 참가, 대표 제품인 dRAST가 유럽 8개국 37개 주요 병원 및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며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혈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서 입증된 임상적 가치와 경제적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