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보건단체

식중독을 예방하는 기본 생활 수칙 6가지

손 씻기와 청결이 강조되었던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줄어들었던 식중독 발생이 다시 급증하고 있다. 습도와 기온이 올라가면 식품이 상할 위험이 높아진다. 올여름 더 더워진다는데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식품위생 수칙을 살펴본다.

지난해 식중독 건수(환자 수)가 가장 많은 달은 몇 월일까? 정답은 7월이다. 7월에만 식중독 사건이 40건 발생했고 환자 수는 1,794명이었다(통계청, 2025. 4. 30.). 물론 그렇다고 여름철만 위험한 건 아니다. 따뜻해지는 봄철인 4월에도 식중독 발생 건수는 전달보다 2배가량 증가한다. 게다가 겨울철인 12월과 1월에도 20건 이상이 발생하며 긴장을 늦출 수 없게 되었다. 어떤 식중독이 가장 많았을까? 발생 건수로는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 환자 수로는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이 가장 많았다. 여름철에 살모넬라, 캠필로박터 제주니가 많이 발생하고, 겨울철에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리젠스와 노로바이러스가 식중독을 많이 일으킨다.

식중독을 예방하는 기본 생활 수칙

• 비누를 사용해 손 씻기
• 물은 끓여 마시기
•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로 세척하기
• 고기와 생선은 충분히 익혀 먹기(중심온도 85℃, 1분 이상)
• 조리도구는 끓이거나 소독하기
• 조리 공간을 청결히 하기

여름철 삼계탕 안전하게 먹는 법

살모넬라와 캠필로박터 제주니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가정에서 주의할 점은 여름철에 삼계탕을 끓일 때 생닭을 어떻게 처리하는가이다. 냉장고에서 생닭을 꺼내어 먼저 무엇을 하는가?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포장지를 뜯고 싱크대에서 닭을 씻는 광경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문제 상황이다. 닭은 이미 세척되어 냉장 보관되어 있으므로 바로 조리할 수 있는데 굳이 씻어내려다 닭 표면에 있던 균들이 주변의 식기구나 도마등에 물과 함께 튄다. 이런 식기구를 사용하다가 식중독이 발생하고 이를 교차오염이라고 한다. 또 다른 교차오염으로 닭이나 육류, 생선을 칼로 자른 다음 도마와 칼을 소독하지 않고 날로 먹는 채소나 과일을 썰었을 때 남아 있던 균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한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첫째, 생닭은 고기처럼 씻지 않고 바로 조리한다. 그러나 찜찜해서 그렇게 못 하겠다면 생닭을 씻는 대신 끓는 물에 한번 데쳐내는 것이 좋다.

둘째, 어육류를 다룬 칼과 도마는 세제로 설거지한 다음 끓는 물로 소독한다. 더 좋은 방법은 도마를 2개 이상 준비하여 고기용, 채소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리를 마친 후에는 주변에 있는 식기구들을 잘 닦고, 소독한다. 소독하는 방법은 염소소독액(가정에서는 ‘락스’라는 제품을 많이 사용)을 물에 섞어서 사용하는데 간단히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500ml 빈 페트병에 염소액을 뚜껑 1개 가득(10ml) 넣는다. 여기에 물을 채워 총 500ml로 만든 다음 분무기로 뿌리거나 소독액을 묻힌 행주로 닦아 자연적으로 말리면 된다. 이때 주의할 점이 있다. 이 희석액은 남았을 때 시간이 지나면서 소독효과가 감소하므로 즉시 사용해야 한다. 한 번 사용할 양만 희석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계절 내내 조심해야 하는 노로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는 아주 적은 수로도 비말감염을 일으키고, 일반적인 식중독과 달리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특징이 있다. 오염된 물로 씻은 채소와 과일, 굴 등 조개류, 지하수 등이 원인이다. 바이러스성 장염을 일으키며 대부분은 하루이틀 내에 괜찮아지는데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탈수에 주의해야 한다. 바이러스 특성상 추운 겨울철 날씨에도 잘 견디기 때문에 1년 내내 조심해야 한다. 다행스러운 건 일반 식중독의 예방법을 따르면 문제가 없다. 다만, 가족 중에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이 의심되는 경우 구토물로 인한 전염성이 강하므로 신속히 소독처리해야 한다. 토사물을 청소할 때도 마스크, 비닐장갑, 앞치마를 꼭 착용해야 하며 염소소독액으로 소독한다. 글 김경숙 나우보건연구소 소장, 연성대학교 겸임교수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폐 세포 딱딱하게 굳어지고 마땅한 치료 방법 없는 '폐 섬유증'...새로운 치료 길 열리나 호흡장애를 초래할 수 있지만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던 폐 섬유증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이 제시됐다. 섬유화 억제 유전자 ‘TIF1γ’가 간경변·신장섬유증에 이어 폐 섬유증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 ‘Molecular Therapy(IF;12)’에 게재했다. 폐 섬유증은 폐 세포가 딱딱한 섬유조직으로 변화하는 난치성 호흡기 질환이다. 진행될수록 폐 기능이 떨어져 저산소증이 발생하며, 심각한 호흡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섬유화된 폐 조직은 회복이 어렵고, 섬유화를 막을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이은주 교수(서울대 문도담 박사) 연구팀은 동물모델과 체외배양 환자 폐조직을 분석해 폐 섬유증의 유전자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항섬유화 유전자 ‘TIF1γ’를 잠재적 치료제로 주목했다. 이 유전자는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통해 간·콩팥에서 섬유화 억제 효과가 확인된 바 있으며, 실제 폐 섬유증 환자의 폐조직을 분석하자 TIF1γ 발현이 건강한 사람보다 현저히 낮아져 있었다. 이후 코돈 최적화로 발현을 극대화하고, 벡터 백본과 나노지질체를 적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