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60대(남) A씨는 사타구니 부위가 불룩하게 나왔다 들어가기를 반복해 병원을 찾았다가 탈장 진단을 받았다. 처음에는 통증이 없어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점점 크기가 커지고 불편감이 심해져 결국 수술을 권유받았다. 실제로 탈장은 중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일, 만성 기침이나 변비로 복압이 자주 올라가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탈장은 복벽이 약해지거나 틈이 생기면서 장기나 지방조직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질환이다. 주로 사타구니, 배꼽이나 수술 상처 부위에서 발생하며, 나이가 들수록 근육 조직인 복벽이 약해져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약 8만 8천여 명이었던 탈장 진료 환자가 2024년에는 약 10만 명으로 늘어나며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의 비율이 높아 중장년층 이후 건강 관리가 중요하다.
초기 탈장은 통증이 없거나 불룩함이 줄었다 다시 나오는 양상으로 방치되기 쉽지만, 장이 탈장낭에 끼어 혈류가 차단되면 ‘교액 탈장’이라는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이 괴사할 수 있으며, 장절제 가능성도 있다. 탈장은 자연 치유가 어려워 수술적 치료가 유일한 치료방법이며, 위와 같은 응급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증상을 확인하고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복강경과 로봇을 통한 최소침습 수술도 널리 시행되고 있다.
탈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주의하고, 기침이나 변비가 심하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아 복압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복근과 전신 근력을 유지하는 것도 예방에 긍정적이다. 특히 고령층은 증상이 가볍더라도 주기적으로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위장관외과 서원준 교수는 “탈장은 대수롭지 않다고 넘기기 쉽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점 커지고 합병증 위험도 커진다”며, “특히 고령층이나 만성 기침, 변비가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며, 불룩한 덩어리가 만져지면 전문의 진료를 받아 조기에 치료 방안을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