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회

의료계의 암적인 존재 '사무장 병원' 철퇴 방법 찾아야

문정림의원,사무장병원 부당 청구액 지급 보류·정지 조치법 조속히 통과돼야

적발된 사무장병원에 대해서 확정판결 전이라도 진료비 지급을 보류할 수 있도록 하는 법 개정의 필요성이 국정감사를 통해 공론화 되었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원내부대표)은 10월 25일(금) 국민건강보험공단 국정감사에서 사무장병원의 적발 및 징수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며, 사무장병원으로 인한 건강보험 재정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법 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문정림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3년 7월까지 사무장병원으로 적발된 총 478개소 기관 중 개설 후 3년 이상 지난 후에야 적발된 기관은 이중 286개소로 59.8%였으며, 적발된 후 폐업한 기관은 478개소 중 426개소로 89.1%를 차지했다[붙임1][붙임2].

 

<사무장병원 개설 후 적발까지 소요기간>

‘09 ~‘13.7.31.현재(단위: 개소, %, 백만원)

구 분

사무장병원 적발현황

기관수

적발금액

평균적발금액

478

176,740

370

개설 후 1

101(21.1)

26,743

265

개설 후 2

91(19.1)

26,813

295

개설 후 3~

286(59.8)

123,184

431

3년 이상 개설 후 적발된 기관이(286/478) 59.8%로 뒤늦게 적발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붙임 2]

 

<사무장병원 적발 후 폐업기관 현황>

‘13.7.31.현재(단위: 기관, 백만원, %)

구분

적 발

폐업진행

폐업기관 현황

기관수

징수현황

년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징수율

총계

478

176,740

52

12,131

426

164,609

218

12,674

8

2009

7

563

3

49

4

514

3

223

44

2010

46

8,775

6

968

40

7,807

30

1,930

25

2011

162

60,037

14

3,537

148

56,500

92

6,445

11

2012

188

72,003

22

4,437

166

67,566

76

3,604

5

2013.7

75

35,362

7

3,140

68

32,222

17

472

1

적발 후 폐업현황은 426/478 기관으로 89.1%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또한, 2009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징수대상인 사무장병원 총 523개소 1,960억 원 중, 286개소로부터 178억 원(9.1%)을 징수하는데 그쳤다[붙임3].

문정림 의원은 “날로 지능화, 조직화되고 있는 사무장병원은 적발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뿐더러, 적발 후 수사가 시작되거나 환수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재산을 은닉하거나 폐업하는 사례가 많아 징수율도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다”며, “확정판결 전이라도 해당 사무장병원에 대한 진료비 지급을 보류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동안 건보공단은 ‘복지부, 진료비 지급보류․정지 지침(2011. 2. 24.)’에 근거하여 검․경 등 수사기관의 수사결과서 또는 공소장에 기재된 요양기관의 부당청구 상당액을 지급보류․정지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지급 보류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사무장병원이 적반하장 격으로 제기한 집행정지 소송에 대응해왔다. 이러한 소송은 2010년부터 4년간 41건이었으며, 아직도 7건은 진행 중에 있다.[붙임 4]

<연도별 사무장병원 환수결정 및 징수 현황>

‘13.8.31현재(단위: 개소, 백만원, %)

구분

환수결정

징수대상*

징수현황

년도

기관

결정

금액

기관

결정

금액

기관**

징수

금액

징수율

548

205,447

523

195,999

286

17,788

9.1

2009

7

563

7

563

6

281

49.9

2010

46

7,223

46

8,775

36

2,772

31.6

2011

163

59,499

162

60,037

111

8,860

14.8

2012

212

83,541

188

72,003

99

5,088

7.1

2013

120

54,621

120

54,621

34

787

1.4

* 징수대상 : 소송 등으로 인한 결정취소 또는 추가결정 내역이 반영된 금액

** 징수기관 : 완납 또는 일부납부 기관 포함된 숫자임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붙임 4]

 

<진료비 지급보류로 인한 집행정지 소송 현황>

‘13.7.31현재(단위: 기관)

2010

2011

2012

2013

총계

승소

진행중

총계

승소

패소

총계

승소

패소

총계

승소

패소

진행중

7

6

1

8

6

2

15

12

3

11

4

1

6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문정림 의원은 “수사기관으로부터 사무장병원임을 통보받는 등의 경우에 해당 요양기관이 심사청구 한 요양급여비용의 심사·지급을 보류할 수 있도록 한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문정림의원 대표발의, 2013. 10. 10)’이 조속히 통과되어야 한다”며, “건보공단은 국민들이 납부한 소중한 보험료로 조성된 건강보험재정이 사무장병원으로 인해 누수되지 않도록 만반의 노력을 다 할 것”을 주문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