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료ㆍ병원

프로야구 개막, 야구 동호인들 어깨부상 주의

사회인 야구 동호인 50만명 시대 야구관련 질환 주의해야



- 통증이 2~3일 지속된다면 전문의를 찾아 조기 치료 받아야 수술 등 피할 수 있어

3대한민국 인기스포츠인 프로야구가 오는 31일 저녁부터 2017시즌에 돌입한다. 프로야구 시즌이 3월말 4월초에 개막하는데 반해 사회인 야구는 추운 겨울인 2월에 시즌이 시작 될 정도로 인기다. 야구 포털사이트 게임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사회인 야구 동호회는 약 2만여개로 회원 규모는 약 50만명으로 추산되는 것으로 나타나 야구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인 야구는 프로야구와는 다르게 정해진 시간과 많지 않은 선수들로 인해 분업화 보다는 일명 몰빵 야구를 하는 팀들이 많다. 그러다 보니 투수의 경우 한 경기를 전체적으로 책임을 지거나 혹은 매주 연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이 한 선수가 무리한 투구를 계속 이어갈 경우 어깨나 허리 등의 부상을 불러올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어깨 부상이 가장 대표적이다.


투수의 투구 동작은 와인드업 후 피칭까지 3가지 단계로 나뉘어 공을 던지는데 와인드업을 통해 몸을 뒤로 젖히고 그 후 던지는데까지 허리와 어깨 등의 힘을 최대한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투구동작을 무리하게 반복하면 어깨 인대가 늘어나거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관절 특화 동탄시티병원 전문의 김병호 원장은 “투구 후 일반적으로 뻐근한 느낌이 2-3일 정도 지속되는데 그 이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어깨 인대에 부담이 가면서 염증이 발생한 것일 수 있다”며 “이를 단순 근육통으로 방치 할 경우 회전근개 파열이나 슬랩병변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기 전 스트레칭과 어깨 등을 서서히 워밍업 해주는 것이 좋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스트레칭과 함께 야구 배트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양손으로 배트를 잡은 자세에서 팔꿈치를 90도 정도 구부린 후 한쪽 팔꿈치를 옆구리에 붙이고 반대편 팔로 배트를 잡아 누르면서 옆으로 천천히 돌려준다. 이때 몸에 붙인 팔꿈치는 되도록 벌어지지 않게 하며, 배트를 잡은 반대편 손이 팔꿈치와 동일한 수평 높이를 유지한다. 또 야구배트를 등 뒤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쪽 팔은 배트 아래쪽을 잡고 다른 쪽 팔은 위쪽을 잡아 최대한 팔을 올린다.


김원장은 “야구를 하고 난 후 어깨에 통증이 발생한다면 얼음 찜질을 통해 1차적으로 보존적 치료를 하고, 그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내원해 치료를 받는게 좋다”며, “회전근개가 완전히 파열된 경우 부득이하게 수술을 해야하지만 이는 드문 경우로 대부분 약물치료와 체외충격파 요법을 통한 비수술 치료로 호전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 늦출 수 있지만 결국 수술 받아야...그럼 시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23 주요 수술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백내장 수술 건수는 63만 7879건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은 수정체 노화로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초기에는 안약 사용 등으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지만 결국에는 혼탁해진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 증상은 수정체가 혼탁한 위치, 정도,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라면 수정체 혼탁이 시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상 징후를 느끼기 어렵지만, 진행하면 사물이 뿌옇게 흐려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질환이 진행할수록 수정체 혼탁이 심해지며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눈부심, 대비감 저하,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백내장 진행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술시기를 같은 기준으로 정하기 어려운데,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이 필요하다. 책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를 볼 때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야간에 운전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시야가 뿌옇게 보여 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느낀다면 백내장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생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