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루마니아, 독일, 프랑스 등 유럽에서 홍역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유럽 방문 전 예방접종력 확인은 물론 2회 접종 미완료자는 출국 전 접종을 받아야 한다.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ECDC)에 따르면 ‘16년 2월부터 루마니아에서 홍역 유행이 시작된 이후 ’17년 6월 중순까지 유럽에서 약 14,000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35명이 사망했다.
-국가별 홍역 발생 현황(ECDC, ’16.6월~’17.5월 기준) (단위: 명)
| ‘16.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17.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총 |
오스트리아 | 1 | 8 | 3 | 4 | 3 | 1 | 4 | 28 | 34 | 8 | 2 | 6 | 102 |
벨기에 | 9 | 1 | 0 | 2 | 2 | 2 | 3 | 27 | 79 | 156 | 35 | 미보고 | 316 |
불가리아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0 | 41 | 57 | 118 |
체코공화국 | 0 | 0 | 0 | 1 | 0 | 1 | 0 | 0 | 0 | 20 | 56 | 미보고 | 78 |
프랑스 | 7 | 6 | 4 | 7 | 2 | 2 | 4 | 34 | 52 | 49 | 60 | 100 | 327 |
독일 | 72 | 38 | 28 | 31 | 11 | 25 | 22 | 47 | 157 | 211 | 175 | 133 | 950 |
헝가리 | 0 | 0 | 0 | 0 | 0 | 0 | 0 | 1 | 11 | 3 | 미보고 | 미보고 | 15 |
아일랜드 | 14 | 3 | 5 | 1 | 0 | 0 | 0 | 0 | 1 | 2 | 2 | 1 | 29 |
이탈리아 | 85 | 45 | 34 | 54 | 80 | 85 | 88 | 284 | 459 | 874 | 772 | 648 | 3,508 |
폴란드 | 3 | 6 | 39 | 40 | 24 | 13 | 4 | 6 | 6 | 5 | 3 | 2 | 151 |
포르투갈 | 0 | 0 | 0 | 0 | 0 | 0 | 0 | 0 | 2 | 11 | 21 | 미보고 | 34 |
루마니아 | 116 | 112 | 185 | 219 | 426 | 614 | 506 | 484 | 843 | 161 | 100 | 156 | 3,922 |
스페인 | 2 | 3 | 2 | 3 | 2 | 6 | 2 | 10 | 26 | 19 | 9 | 미보고 | 84 |
스웨덴 | 0 | 0 | 2 | 0 | 0 | 0 | 0 | 2 | 8 | 7 | 3 | 4 | 26 |
영국 | 76 | 132 | 108 | 29 | 37 | 14 | 1 | 11 | 1 | 8 | 18 | 25 | 460 |
전체 | 387 | 355 | 414 | 392 | 587 | 763 | 642 | 938 | 1,688 | 1,560 | 1,301 | 1,138 | 10,165 |
홍역은 10~12일의 잠복기를 가지며, 고열과 기침, 콧물, 결막염과 함께 구강 점막에 Koplik 반점에 이은 특징적인 발진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대부분 회복되지만 설사, 중이염,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기관지 폐렴 등의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드물게 사망할 수도 있다.
-홍역이란
구 분 | 내 용 |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 ▫법정감염병(제2군) ICD-10 B05 ▫국내에서는 2000-2001년에 대유행이 발생하여, 2001년 홍역일제예방접종 실시한 후 발생이 급격히 감소 - 2006년 11월 국가 홍역퇴치를 선언, 2014년 3월 국가홍역퇴치 인증 - 하지만 해외유입에 의한 국내 환자 발생 및 소규모 유행 가능 ▫백신 도입으로 발생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역 등에서는 여전히 주요 감염병이며, 선진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해외 유입사례를 통한 유행발생이 지속되고 있음 |
병원체 |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
감염경로 | ▫비말 등의 공기매개감염, 환자의 비⋅인두 분비물과 직접 접촉 - 전염성이 매우 높음 - 전염기간 : 발진이 나타나기 4일전부터 발진이 나타난 후 4일까지 |
잠 복 기 | ▫평균 10-12일(7-18일) |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 ▫급성 발열성 발진성 감염병 ▫전구기(3-5일 간) : 전염력이 강한 시기 -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특징적인 구강내 병변(Koplik's spot, 1-2 mm 크기의 회백색 반점) 등이 나타남 ▫발진기 : 전반적인 증상이 가장 심한 시기 - 홍반성 구진상 발진(비수포성)이 목 뒤, 귀 아래, 몸통, 팔다리, 손⋅발바닥에 발생. 발진은 3일 이상 지속되고, 7-10일 내에 소실 ▫회복기 : 발진이 사라지면서 색소 침착을 남김 ▫합병증 - 중이염,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기관지폐렴, 크룹 등의 호흡기 합병증, 설사, 급성뇌염, 아급성 경화성 뇌염(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SSPE) 등 |
진 단 | ▫검체(인후도찰물 등 호흡기 검체, 소변, 혈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유전자 검출 ▫혈청학적 진단 : 특이 IgM 항체 양성, 회복기/급성기 IgG 항체가 4배 이상 증가 |
치 료 | ▫보존적 치료 : 안정, 충분한 수분 공급, 기침․고열에 대한 대증치료 |
환자 관리 | ▫환자격리 : 호흡기 격리(격리기간 : 발진이 나타나기 4일 전부터 발진이 시작된 후 4일까지) ▫접촉자격리 : 예방접종, 면역글로불린 투여 |
예 방 | ▫예방접종 - 생후 12∼15개월, 만 4∼6세에 MMR 백신 2회 접종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유럽에서 홍역 유행이 지속됨에 따라 이탈리아, 루마니아, 독일, 프랑스 등 유럽을 방문할 경우 미리 예방접종력을 확인하고 출국 전 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질병관리본부는 홍역은 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므로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홍역백신(MMR)을 2회 모두 접종하였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접종을 받도록 권고하였다.
-홍역백신(MMR) 저종 기준
연령 | 과거 MMR† 접종횟수 | 해외여행 대비 가속접종‡일정 | 향후 MMR 접종일정 |
0-5개월 | 없음 | - | 권장 접종일정(생후 12-15개월, 만 4-6세)에 따라 2회 접종 |
6-11개월 | 없음 | 1회 | 생후 12개월 이후 1회 재접종이 필요하며, 2차 접종은 권장 접종일정(만 4-6세)에 따라 접종 |
12개월~만 50세 | 없음 | 최소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 2회 접종을 완료한 경우 향후 추가 접종 필요하지 않음 |
1회 | 최소 4주 간격으로 1회 접종 | ||
2회 | - |
예방접종력 확인 결과,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 완료 또는 적어도 1회 접종을 해야 하며,과거 홍역을 앓았거나, 만 50세 이상인 경우는 불필요 .
홍역 1차 접종시기인 12개월보다 어린 생후 6∼11개월 영아의 경우라도 1회 접종 후 출국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해외여행 중에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잘 지키고, 귀국 후 2주 이내에 발열 및 발진 등 의심 증상이 발생할 경우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고 반드시 의료진에게 여행력을 알릴 것을 당부하였다.
우리나라는 ‘14년부터 홍역퇴치국가로 인증을 받았으며, 현재 국내 홍역 예방접종률은 97.7%(2015년 만 3세 기준)으로 높은 수준이기에 유행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나, 해외여행객을 통한 산발적인 유입 및 이를 통한 제한적인 전파가 가능하므로 국내 추가전파 차단을 위해 의료기관의 신속한 신고를 당부하였다. 홍역 해외유입 환자 수: '14년 21명, '15년 3명, '16년 9명, '17년(1~6월) 3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