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성형외과 찾는 중장년층, 눈에 띄게 증가

바야흐로 100세 시대다. 의학의 발달로 인해 1960년대 52세에 불과하던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50년 만에 80세를 넘어섰으며 노년 인구의 증가로 대한민국도 이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50, 60대 인구는 2015년 기준 1289만 명으로, 10년 전인 2005년에 비해 48%나 급증했다. 그 동안 노년층으로 분류되던 50, 60대가 30, 40대 못지않게 왕성한 활동이 가능해졌으며 이로 인해 루비족, 로엘족 등의 신조어가 생겨나기도 했다.

 

‘루비(RUBY)족’이란 나이보다 젊고 아름다운 외모를 유지하고 있는 중장년 여성을 일컫는 말로 신선하고(Refresh), 비범하며(Uncommon), 아름답고(Beautiful), 젊은(Young)의 첫 글자를 합성한 신조어다. ‘로엘(LOEL)족’은 ‘Life of Open-mind, Entertainment and Luxury’의 약자로, 외모에 관심이 많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데 아낌없이 투자를 하는 중장년 남성을 말한다. 루비족의 남성 버전이라 할 수 있다.

 

박선재 원장(성혀외과 전문의)은 “경제적 안정과 기대 수명의 증가로 인해 50대 이상 연령층이 소비 주체의 중심이 된지 오래”라며 “활발한 사회참여와 함께 대중매체에서 보이는 시니어 롤모델의 등장이 소비 동기를 자극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100세 시대 앞둔 중장년층의 관심 1순위는 ‘외모’

 

중장년층이 두터워짐에 따라 유통 산업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이들의 관심 1순위는 단연 외모 관리다.

 

최근 한 조사에 의하면 피부·미용관리 업종의 매출 증가율이 50대에선 4위, 60대는 3위를 기록했을 정도다. 안정적인 소득의 중장년층에 있어서 외모 관리는 절대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60대는 건단가(1회 결제금액) 증가율에서 화장품 64%, 가방·핸드백 24% 등 외모, 옷차림에 아낌없이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 롯데백화점의 60대 이상 구매 비중은 2012년 9.1%에서 10.3%까지 늘어났으며 50대 이상은 21.7%에서 22.5%로 증가했다. 또한 이들을 위한 편집매장도 생겼다. 신세계백화점 본점·강남점·센텀시티점에 오픈한 ‘트리니티’는 루비족을 겨냥해 30여 개의 세계 각국 디자이너 브랜드를 갖추고 있다.

 

-동안은 영원한 로망, 성형외과 찾는 중장년층도 매년 눈에 띄게 증가

 

외모에 대해 투자를 아끼지 않는 중장년층에 대한 성형외과 문턱도 낮아졌다. 중장년층의 성형수술 상담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지난 7월 상안검 수술은 지난해 동월 대비 약 13%나 증가했다.

 

중장년층이 가장 많이 찾는 성형수술인 ‘상안검 수술’은 대표적인 동안 수술로 알려져 있다. 40대를 넘어서면 눈 주위의 피부나 눈꺼풀이 쳐지고 늘어지는 노화현상이 나타나기 마련인데, 이는 기능상은 물론 미용상으로도 크게 불편함을 준다. 이때 늘어진 눈꺼풀 피부 일부를 잘라내고 근육을 당겨주는 상안검 수술을 통해 또렷한 눈매를 얻을 수 있다. 또 눈썹을 쓰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눈을 뜰 수 있도록 교정해 줘 이마주름까지 예방이 가능하다.

 

박 원장은 “해당 수술은 시간이 짧고 회복기간이 일주일 내외로 빨라 자연스러운 동안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중장년층에서 많이 찾고 있다”며 “간혹 무리한 성형수술을 통해 나이를 거스르려고 애쓰는 경우도 있으나 웰에이징의 시대인 만큼 자연스럽게 나이 들어가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