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한국MSD,'로타텍' 국내 출시 10주년 기념 아기모델 선발 결과 공개

한국 MSD(대표이사 아비 벤쇼산)는 '2017 로타텍® 아기모델 선발대회'를 통해 영아들의 로타바이러스 백신 '로타텍'의 모델로 활약할 5명의 아기를 최종 선발했다고 밝혔다.


2017 로타텍 아기모델 선발대회는 7월 10일부터 8월 11일까지 약 5주간 생후 8개월 이하의 아기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사랑둥이’ 콘셉트로 진행된 이번 선발대회에는 총 6,836명이 참여하여 지난해보다 약 2,500명 가량 더 많은 역대 최고 지원자 수를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로타텍 국내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준비한 올 선발대회에서는 로타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간단한 퀴즈를 통해 엄마들에게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예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10살이 된 미래의 자녀에게 짧은 편지를 쓰는 감성적인 코너가 진행돼 더욱 높은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1300대 1에 달하는 경쟁률을 뚫고 선발 된 5명의 아기모델은 향후 1년간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염 질환 정보 및 로타텍 접종을 통한 예방법을 알리는 아기모델로 활약하게 된다. 최종 선정된 아기 모델은 로타텍 아기모델 선발대회 사이트 (www.rotateqmodel.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MSD 로타텍 마케팅팀 김민정 본부장은 “소중한 아기들이 10년 후에도 지금처럼 건강하길 기원하는 취지에서 마련된 2017 로타텍 아기모델 선발대회가 많은 관심과 성원 속에 마무리 되어 감사하고 기쁘다”며, "이번에 선발된 로타텍 사랑둥이들과 함께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는 다양한 활동을 펼치겠다"고 전했다.


한편, 로타텍®은 한국에서 5가지 항원(G1, G2, G3, G4, P1A[8])을 직접 포함한 유일한 5가 로타바이러스 백신1,2으로(2017년 8월 기준) 2008-2010년 한국에서 유행하였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의 99% 에 대해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국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발표 자료에 의하면, 2012~2013년의 로타바이러스 시즌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인한 입원과 응급실 방문 영유아를 대상으로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유효성을 평가한 연구에서 로타텍은 7세까지 연령대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유효성을 보이며, 지속적인 예방 효과를 입증하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