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삼성서울병원, 메디컬러 해커톤 (MediColor Hackathon) 2017’개최

9월 22일부터 23일까지 암병원 강당

삼성서울병원은 의료/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의료 서비스 고도화를 구현하고자 ‘메디컬러 해커톤(MediColor Hackathon 2017)’을 9월 22일부터 23일까지 무박 2일로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강당에서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해커톤은 삼성서울병원과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디지털헬스학과, 휴먼ICT융합학과가 공동 주관 및 주최를 맡는다.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DHP), QuintilesIMS, IBM, 테크앤로 법률사무소, 이원다이애그노믹스, 제노플랜이 후원하며, 삼성디자인교육원(SADI), 조선biz, BLT 특허법률사무소, BIGBANG ANGELS, 국립중앙의료원, 모바일닥터, 시민공감서비스디자인센터가 파트너로 참여한다.


‘해커(Hacker)’와 ‘마라톤(Marathon)’의 합성어인 해커톤(hackathon)은 기획자와 개발자, 디자이너가 하나의 팀이 되어 마라톤과 같이 주어진 시간 동안 쉬지 않고 기획 및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디자인 및 개발을 통해 시제품 등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대회를 말한다.


대회는 의료와 IT의 결합을 통한 다양한 아이디어의 현실화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번 대회에서는 의료 업계에 종사하지 않더라도, 아이디어만 있다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스마트 병원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공지능 ▷고령화 시대 ▷헬스케어의 혁신을 통한 3대 난제(암,치매,유전체) 정복 ▷환자경험 ▷장애인 ▷의료데이터 통합 플랫폼 ▷의료기기 등이 주제다.


참가자가 자유롭게 자신이 원하는 주제를 골라 신청하면 사전 미팅에서 주제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팀 매칭을 도와준다.


이번 대회에는 디지털 헬스케어, IT, 의료, 법률 전문가 등 각 분야의 전문가가 심사위원으로 나선다.


대회에서 우수한 결과물을 만들어낸 참가자에게는 소정의 상품과 함께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특별상을 수여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온라인 접수로 이뤄지며 접수 후 선발된 사람은 대회 2주 전인 9월 9일(토) 저녁 6시 사전 미팅에서 아이디어 피칭을 통해 팀 빌딩을 하게 된다.


접수는 9월 9일까지이며, 대회 홈페이지(www.medihack2017.com)에서 신청가능하며, 사전미팅 당일 현장지원도 가능하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