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송년회 후유증 ‘통풍’ 올해는 무사할 수 있을까?

7년간 68% 증가, 30대부터 급증 중년남성 특히 주의...과음 · 기름진 안주 · 추운 날씨 3박자가 급성 통풍 유발

겪어보지 못한 사람은 그 통증을 가늠할 수 없다는 ‘통풍’. ‘통풍을 겪어본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송년회 시즌이 다가왔다. 연이은 송년회에 기름진 안주와 과음을 하다 보니 통풍 발작으로 밤을 꼴딱 새운 경험들이 있기 때문이다. 연말 송년회를 맞아 통풍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리법을 숙지해 올해는 무사히 통풍으로부터 해방되어보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7년간(2010~2016년) 통풍(질병코드 M10)으로 진료를 본 환자가 68% 증가(221,816명→372,710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남성 환자가 여성보다 11배 더 많았다. 남성을 연령별로 봤을 때, 20대 5%, 30대 16%, 40대 23%, 50대 24%로 30대부터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해 강동경희대병원 이상훈 교수(류마티스내과)는 “통풍은 섭취하는 음식과 연관이 깊은 질환으로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당뇨·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 및 비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급증하고 있다”며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남성으로 상대적으로 여성 환자가 적은 이유는 여성 호르몬이 강력한 요산 배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폐경기 이전 여성에서는 드물다”고 밝혔다.


음식에 들어있는 퓨린이 몸 안에서 요산으로 대사되어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데 배설이 감소되거나 생성이 많아지면 혈중 내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요산이 여러 조직에서 엉겨 붙어 결정을 형성하는데 특히 관절 내에서 결정이 생겨 염증을 유발하는 것을 통풍이라고 한다. 주로 하지 관절(엄지발가락, 발등, 발목, 무릎)이 붓고 발적이 나타나는데, 심한 통증 후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지나 증상이 호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통풍은 특히 송년회 시즌에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회식 자리에서 마신 술이 퓨린의 배설을 감소시키고 ▲안주 대부분이 퓨린이 많이 함유된 육류인 경우가 많고 ▲추운 날씨로 인해 요산 결정이 잘 생기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통풍 예방을 위해 송년회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체중 감량을 위해 과식을 금한다. ▲즐겁게 회식을 즐기기 위해 무조건 퓨린이 들어간 음식을 피하기보단 최소한으로 절제해서 먹는다. ▲되도록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알코올 섭취에 따른 탈수를 막기 위해 물을 많이 마신다.


송년회 시즌이 되면 음주 관련 질문을 많이 받게 되는데 이에 대해 이상훈 교수는 “술에 따라 통풍 발작의 빈도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나 알코올 자체가 요산의 신장 배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과음 후에 통풍 발작이 나타나기 쉽다”며 “통풍 발작이 있는 경우 절대 술을 마셔서는 안 되며 퓨린이 많은 맥주를 피하는 대신 소주로 과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신 알코올 섭취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이는 잘못된 상식으로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통풍 발작이 1년 이상 발생되지 않고 혈중의 요산 농도도 잘 조절되고 있다면 맥주 1~2잔 또는 와인 한잔 정도의 적당량의 술은 마실 수 있다”고 전했다.


만약 송년회 시즌으로 인해 통풍 발작이 시작되었다면 응급 처치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다리를 올리고 얼음찜질을 하면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것이 도움된다. 이전에 처방받아 보관해 두었던 항염제인 콜히친이나 비스테로이드소염제가 있다면 복용하면 급성 통증을 가라앉힐 수 있다. 심한 통풍성 관절염의 경우 스테로이드 경구 혹은 염증을 일으킨 관절에 직접 주사하기도 하므로 빠른 시간안에 병원을 방문, 전문의의 진료를 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 교수는 “음식 조절만으로 통풍 치료가 충분치 않으므로 증상이 반복되는 만성 통풍의 경우 약물치료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며 “임의대로 통풍을 관리하기보단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요산강하제를 꾸준히 복용해 혈중 요산 농도를 5~6mg/dl 미만으로 낮춰 통풍 발작을 예방하고 적절한 운동, 체중 감량, 금주, 저퓨린 식이 등의 올바른 생활 습관을 갖춰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풍을 주의해야 하는 사람
 · 중년의 남성
 · 술을 많이 먹는 사람
 · 뚱뚱한 사람
 · 통풍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
 · 고혈압이나 신장병이 있는 사람

 

송년회 시즌 통풍 예방 식이 관리
 · 신선한 채소를 자주 섭취한다.
 · 간·콩팥·췌장 등 내장 음식 섭취를 피한다.
 · 맥주·막걸리와 같은 술을 피한다.
 · 과당이 많은 음료수 섭취를 줄인다.
 ·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한다.

☞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
: 육류 및 내장(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 등푸른 생선(청어, 고등어 등)
☞ 퓨린이 적게 함유된 음식
: 곡류(쌀, 보리, 밀, 메밀 등), 유제품(우유, 치즈 등), 감자, 고구마, 달걀, 과일/야채류, 해조류(김, 미역 등)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동아쏘시오그룹, 당뇨병학연구재단과 ‘위풍당당 6.5km 걷기 캠페인’ 성료 동아쏘시오그룹과 당뇨병학연구재단은 지난 25일 그랜드워커힐 서울 호텔에서 열린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학술대회 ‘ICDM 2025’에서 ‘위풍당당 6.5km 걷기 캠페인’ 기념행사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위풍당당 6.5km 걷기 캠페인’은 당뇨인이 걷기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꾸준한 걷기 운동의 동기를 부여하고자 마련됐다. 6.5km라는 거리는 당뇨병 진단 기준 중 하나인 당화혈색소 수치를 6.5% 미만으로 유지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기념행사에는 당뇨병 환자들과 재단 후원자 및 대한당뇨병학회 임원진, 동아에스티 임직원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행사를 통해 그동안 진행된 캠페인의 성과와 참여 현황 공유, 캠페인의 성공적인 종료를 다짐했고, 그랜드워커힐 포레스트를 함께 걸으며 당뇨병 극복을 향한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헀다. 캠페인 참여 방법은 걸음 기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워크온’을 내려받아 6.5km 걷기 캠페인을 선택해 일상생활 속에서 모은 걸음 수를 기부하면 된다. 걸음 기부를 통해 조성된 기부금은 당뇨병학연구재단을 통해 취약 계층 당뇨인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6.5km 걷기 캠페인은 2021년 시작되어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