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9℃
  • 맑음강릉 12.3℃
  • 맑음서울 12.2℃
  • 맑음대전 12.7℃
  • 구름많음대구 12.5℃
  • 맑음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4.4℃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2.6℃
  • 구름많음제주 16.4℃
  • 맑음강화 9.3℃
  • 맑음보은 11.7℃
  • 맑음금산 12.8℃
  • 구름많음강진군 13.9℃
  • 맑음경주시 10.4℃
  • 구름조금거제 15.0℃
기상청 제공

외과계 경증질환 관리,의원이 경쟁력 있고 입원기간 단축 및 비용도 낮아 효과적

의협,의료전달체계 개선 정책 도입 시 외과계 일차의료기관 활용방안 고려 필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소장 이용민, 이하 연구소)는 ‘외과계 경증질환 수술전문의원 활성화를 통한 의료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의 중간보고를 통해 환자가 외과계 경증질환으로 의료기관에 입원할 경우 의원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이하 병원급)보다 입원일수는 5.2일, 진료비는 약 94만 원 더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의원과 병원급의 외과계 경증질환 비용 대비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문 진료과 단체를 통해 외과계 경증질환 자료를 수집하여, 의원과 병원급의 실증적인 비교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외과계 경증질환 자료는 전문 진료과 단체와의 3차례에 걸친 자료수집을 통해 수집되었고, 그 결과 5개 과에서 139개의 질병코드가 수집되었다.


이를 대상으로 코호트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증도 보정을 위하여 동반상병지수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입원 실인원 수가 높았던 20개 질환의 평균 입원일수는 의원 2.5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7.7일이었으며, 평균진료비는 의원 약 69만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약 164만원이었다. 따라서 경증 질환을 대상으로 한 간단한 수술행위의 경우 의원이 병원급보다 비용효과적인 것으로 타나났다(질환별 입원일수 및 진료비 자료는 붙임자료 참조).


연구소는 현재 의료전달체계의 심각한 왜곡으로 인해 저난이도·저위험 수술환자들이 상급종합병원에 쏠려있는 현실은 중증 환자의 수술대기 시간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의료전달체계 개선 정책 도입 시 외과계 일차의료기관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표 1. 외과계 입원 다빈도 경증질환 20개 질환

질병코드

질환명

H25

노년백내장

I84

치핵

J34

코 및 비동의 기타 장애

H26

기타 백내장

H40

녹내장

J32

만성 부비동염

H35

기타 망막장애

N39

비뇨계통의 기타 장애

D24

유방의 양성 신생물

J33

코폴립

N76

질 및 외음부의 기타 염증

J35

편도 및 아데노이드의 만성 질환

H43

유리체의 장애

N73

기타 여성골반염증질환

J31

만성 비염, 비인두염 및 인두염

N40

전립선증식증

H36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망막장애

N85

자궁경부를 제외한 자궁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N72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N20

신장 및 요관의 결석


표 2. 외과계 입원 다빈도 20개 질환 종별 평균 입원일수 비교

(단위 : )

질병코드

질환명

병원 이상(1)

의원(2)

병원이상 의원

(1) - (2)

H25

노년백내장

3.9

1.0

2.9

I84

치핵

6.8

2.8

4.1

J34

코 및 비동의 기타 장애

6.1

1.6

4.5

H26

기타 백내장

4.4

1.0

3.4

H40

녹내장

10.4

1.0

9.4

J32

만성 부비동염

8.5

2.1

6.4

H35

기타 망막장애

11.2

1.1

10.1

N39

비뇨계통의 기타 장애

15.4

4.2

11.2

D24

유방의 양성 신생물

3.4

1.3

2.2

J33

코폴립

4.7

1.5

3.2

N76

질 및 외음부의 기타 염증

9.2

3.1

6.1

J35

편도 및 아데노이드의 만성 질환

4.4

2.6

1.8

H43

유리체의 장애

6.4

1.1

5.3

N73

기타 여성골반염증질환

7.2

4.3

2.9

J31

만성 비염, 비인두염 및 인두염

6.7

1.8

4.9

N40

전립선증식증

14.5

6.7

7.8

H36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망막장애

12.4

2.8

9.5

N85

자궁경부를 제외한 자궁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3.8

3.2

0.6

N72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8.8

2.8

6.0

N20

신장 및 요관의 결석

6.3

3.8

2.5


표 3. 외과계 입원 다빈도 20개 질환 종별 평균 입원진료비 비교

(단위 : 만원)

질병코드

질환명

병원 이상(1)

의원(2)

병원이상 의원

(1) - (2)

H25

노년백내장

121

78

43

I84

치핵

135

77

58

J34

코및 비동의 기타 장애

121

53

68

H26

기타 백내장

137

79

59

H40

녹내장

219

78

141

J32

만성 부비동염

156

60

96

H35

기타 망막장애

293

78

215

N39

비뇨계통의 기타 장애

248

76

172

D24

유방의 양성 신생물

70

16

54

J33

코폴립

139

70

69

N76

질 및 외음부의 기타 염증

167

70

97

J35

편도 및 아데노이드의 만성 질환

89

61

28

H43

유리체의 장애

207

85

122

N73

기타 여성골반염증질환

170

81

89

J31

만성 비염, 비인두염 및 인두염

116

48

69

N40

전립선증식증

248

66

182

H36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망막장애

248

88

161

N85

자궁경부를 제외한 자궁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108

89

19

N72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139

52

87

N20

신장 및 요관의 결석

147

71

76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연례점검회의 개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김원호)은 11월 21일(금) 국제백신연구소(사무총장 제롬 김)에서 백신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질병관리청-국제백신연구소 연례점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제백신연구소는 우리 정부가 유치한(‘94년) 대한민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국제기구로서, 중저소득국 감염병 퇴치 및 백신 개발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한국 정부는 국제백신연구소와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점검회의는 양 기관 간 협력 기반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소통의 장으로서, 국제백신연구소의 ‘25년 성과와 ’26년 주요 계획을 공유하고, 백신 연구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정부의 약가제도 개편 추진 관련 범제약바이오산업계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정부가 금명간 발표 예정인 약가제도 개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범제약바이오산업계가 참여하는 ‘산업 발전을 위한 약가제도 개편 비상대책위원회 ’(이하 비대위)가 출범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 는 24일 이른 아침 협회 미래관 4층 비전홀에서 긴급 이사장단 회의를 갖고 약가제도 개편 관련 국내 제약바이오산업계 차원의 공동 대응을 위한 비대위 구성을 결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보건복지부가 이번 주 후반 공개할 것으로 알려진 약가제도 개편안이 한국 제약바이오산업 발전과 5 대 제약바이오강국 실현이라는 정부의 국정 기조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공감대를 이뤘다. 비대위원회에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함께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회장 이정석),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회장 유형선),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정진), 한국제약협동조합(이사장 조용준) 등도 참여하기로 뜻을 모았다. 비대위원회는 ▲기획정책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국민소통위원회 등 3 개 분과를 중심으로 신속 대응 체계를 가동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부 추진 약가제도 개편안 관련 그간의 경과와 향후 일정, 개편 시 산업계에 미칠 영향 등을 논의했다 . 참석자들은 약가 개편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고려대학교 안암. 구로병원,제2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패널병원 선정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원장 한승범)과 구로병원(병원장 민병욱)이 건강보험공단이 주관하는 제2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패널병원으로 선정됐다. 패널병원사업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의 현장 경험을 가진 우수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정기 모니터링,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참여,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장의견 개진 등을 통해 제도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간병 부담을 경감하고 환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서비스가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건보공단은 실제 운영역량을 갖춘 기관을 선별해 제도 개선의 근거로 활용하고 있다. 안암병원은 인프라 개편을 통한 체계적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운영 역량과 스마트 환자안전 시스템 도입 성과를 높이 평가받아 이번 2기 패널병원으로 선정됐다. 2023년에 준공된 신관 병동은 감염 관리와 환자안전을 고려해 4인실 운영을 대폭 확대하고, ‘간호 서브 스테이션’을 촘촘히 배치해 환자의 상태를 시창(視窓)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구로병원은 통합서비스 병동의 안정적 운영과 체계적 인력·환경 관리 역량을 높이 평가받아 1기 패널병원(2024년~2025년) 지정에 이어 이번 2기 패널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