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자궁근종 환자 4년 새 8만여명 늘어... 진료비는 4년 간 약 470억, 27%증가

방치할 경우 불임, 난임, 유산 원인 될 수 있어 각별한 관심 필요해-

 여성에게 자궁은 제2의 심장이라고 할 만큼 여성건강에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백세시대 여성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단순 통증부터 염증, 종양 등 다양한 종류의 자궁질환 증상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자궁근종(uterine myoma)은 자궁에 종양(smooth muscle cell tumor)이 생기는 가임기 여성에서 쉽게 발견되는 자궁질환이다. 종양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월경통, 월경과다, 골반압박, 빈뇨 등 증상이 나타나는데, 문제는 상태가 악화 될 때 까지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의료기관에서 자궁근종을 발견했다 하더라도 크기가 작고 증상을 유발시키지 않으면 6개월마다 경과를 관찰하게 되는데, 주기적 검진 없이 방치할 경우 불임, 유산의 원인이 될 수 있어 특별한 관심을 요한다.


 더불어민주당 전혜숙 국회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자궁근종’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3년 294,689명이었다가, 2017년에는 371,473명으로 4년 새 환자수가 76,784명, 20.7% 증가했다. 총진료비 또한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2013년 1,259억 6,619만원이었던 총진료비는 2017년 1,727억 7,465만원으로 4년 새 468억 846만원이 늘어 27.1% 증가했다.


 환자는 주로 40대를 중심으로 대다수가 분포되어 있다. 2017년 기준, 40대 미만 연령층 환자가 전체 환자에 21.9%를 차지하고 있으며, 40대 연령층 환자가 44.3%, 50대 연령층 환자가 27.1%, 60대 초과 연령층 환자는 6.6%에 그친다. 이는 일찍이 생성된 종양이 십 수년이 지나서야 덩어리가 되어 발견된다는 의학계의 설명을 뒷받침 한다.


 전혜숙의원은 “백세시대에 여성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자궁건강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증상이 쉽게 드러나지 않는 자궁근종의 경우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며, “자궁근종을 방치할 경우 불임, 난임, 유산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저출산이 심각한 국내 상황을 고려해 여성이 자궁근종을 조기에 발견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보건당국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궁근종 연도별/연령별 통계

(단위: , 천원)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연령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환자수

총진료비

294,689

125,966,194

293,061

142,266,221

306,469

146,159,615

340,191

155,982,560

371,473

172,774,656

0~9

6

128

1

125

2

592

4

77

2

38

10~19

219

62,534

155

46,305

174

44,514

150

39,520

154

54,352

20~29

9,856

3,859,736

9,109

4,471,053

9,348

4,556,141

9,707

4,591,132

11,610

5,667,109

30~39

57,453

25,643,905

57,185

29,902,719

57,729

30,538,310

62,804

31,570,652

70,397

36,050,494

40~49

138,227

70,558,633

138,733

80,977,833

142,992

82,401,412

155,704

88,261,897

166,436

95,228,679

50~59

77,981

23,040,204

76,622

23,922,133

82,029

25,439,104

93,649

27,519,719

101,893

31,129,845

60~69

11,787

2,174,974

12,122

2,403,842

14,734

2,589,331

18,332

3,249,582

21,274

3,905,417

70~79

2,152

574,937

2,052

488,383

2,495

523,961

2,984

690,813

3,387

673,925

 

* 주의사항: 연령대별 환자수의 경우, 중복제거가 되지 않아 연도별 환자수와 일치 하지 않음

** 연도별 환자 수 총계는 중복제거 된 값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