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10명 중 9명, 관절이 굳고 뻣뻣한 증상 호소

‘아침강직’ 방치하면 되돌릴 수 없는 관절 변형 불러올수도... 전국 12개 병원 건강강좌 참석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384명 대상 설문 조사 결과

대한류마티스학회(이사장 박성환,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는 ‘제9회 골드링캠페인’(http://www.goldring.or.kr/)의 일환으로 전국 12개 병원 건강강좌에 참석한 384명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대다수가 일상에서 아침 시간에 관절이 굳고 뻣뻣한 ‘강직’ 증상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30대 젊은 층에서는 관절 강직이 나타나도 그냥 참는 경우가 많아, 증상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약 2명 중 1명은 매일, ‘아침강직’ 증상 경험, 손 관절 강직 빈도 가장 높아
류마티스관절염은 인체 내 관절을 싸고 있는 얇은 막(활막)에 지속적인 염증반응이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전신질환이다. 류마티스관절염은 발병 1~2년 이내에 대부분의 관절 조직이 파괴되며, 관절은 한 번 손상 및 변형되면 회복이 어렵다. 따라서 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류마티스내과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병이 진행되지 않도록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이번 조사에서는 실제 류마티스관절염의 대표 증상으로 알려져 있는 관절 강직을 실제 환자들이 일상 속에서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했다. 그 결과 조사 대상 환자 384명 중 10명 중 9명은 관절 강직을 경험했고(90.1%, N=346), 이들 중 절반이 넘는 56.3%(N=195)의 환자는 기상 직후나 오전에 증상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 류마티스관절염 관절 강직 증상 발생 시간(단위: %, N=346)


또한 성별, 연령, 진단 기간 등에 관계없이 47.1%는 매일(N=163), 29.5%는(N=102) 1시간 이상 관절 강직이 지속된다고 응답했다. 증상의 강도에 대해서는 전체의 26.8%(N=103)가 약을 먹고 싶을 정도, 13.5%(N=52)는 관절의 기능 저하를 동반할 정도라고 응답해, 10명 중 4명 이상은 신체적 불편함을 느끼고 있음이 확인됐다.


강직 증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관절 부위에 대한 질문에는 ‘손’이 60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무릎(251점)’, ‘어깨(233점)’, ‘발(180점)’, ‘허리(148점)’ 순으로 집계됐다. 해당 질문은 1순위부터 3순위 다중응답으로 가중치를 적용해 순위를 선정했다. 
 

▲ 관절 증상이 나타나는 신체 부위(단위: 1~3순위 다중응답 가중치 적용 점수, N=346)


절반에 가까운 환자, 관절 이상 증상으로 정형외과, 한의원 등 방문…류마티스관절염 진단 지연 우려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은 강직 외에도 관절 통증(71.2%, 218건), 관절 붓기(55.9%, 171건), 관절 운동 범위 제한(36.6%, 112건), 관절의 열감(35.6%, 109건), 관절 힘의 약화(32%, 98건) 등 다양한 관절 증상을 겪고 있었다(중복응답, N=306, 무응답 78명 제외).


▲ 강직 외 느껴지는 관절 증상 (단위: 케이스 %, N=306, 중복응답 포함)


조사 대상 환자들은 주로 근육 및 관절통(142건), 붓고 뻣뻣함(135건) 증상이 나타날 때 병원을 방문하였으나(중복응답, N=257), 절반에 가까운 환자는 관절 증상이 나타나도 류마티스내과가 아닌 정형외과, 한의원 및 한방병원, 재활의학과 등을 찾아 치료나 상담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관절 증상 발생 시 방문한 의료기관(단위: %, N=141, 중복응답 비율 적용)


20~30대도 안심할 수 없는 류마티스관절염, 관절 이상 증상 나타나면 전문의 상담 필수
류마티스관절염은 20~30대 젊은 층에서도 흔하게 발병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20~30대 류마티스관절염 치료 환자는 23,774명으로 전체 환자(244,486명)의 약 1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젊은 층의 경우, 관절염이 나이가 많은 노년층에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생각해 질환에 대한 경각심이 낮은 편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도 20~30대는 응답자 절반 이상이 관절 강직 증상이 나타날 때 ‘그냥 참았다’고 응답해 증상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절 증상 대처 방법 ‘그냥 참음’ 연령대별 응답 비율(N=346): 20대 61.5%, 30대 50%, 40대 31.8%, 50대 34.8%, 60개 17.9%, 70대 이상 22.3%]


대한류마티스학회 박성환 이사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많은 류마티스관절염 환자들이 관절의 ‘아침강직’ 증상으로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며, “진행성 질환인 류마티스관절염은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질환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치료법인 만큼, 자고 일어나거나 아침 시간에 1시간 이상 관절이 굳고 뻣뻣한 ‘아침강직’, ‘관절 통증’ 등의 증상을 류마티스 질환 증상으로 인식하고, 연령에 관계없이 즉시 류마티스내과를 방문해 진단을 받아보기를 권한다”고 전했다.


대한류마티스학회 이명수 홍보이사는 “대한류마티스학회의 골드링캠페인을 통해 과거보다 류마티스관절염에 대한 인식은 높아졌으나, 여전히 관절 강직, 관절 통증 등의 증상을 참고 방치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보다 많은 환자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앞으로도 류마티스 질환의 다양한 정보를 전하는 캠페인 활동을 펼쳐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