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는 1일 1회 복용하는 릭시세나타이드(Lixisenatide, GLP-1 작용제)가 ‘위(胃) 내용 배출(Gastric Emptying) 속도’를 유의하게 지연시켜 식후혈당(PPG)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제48회 유럽당뇨병학회(EASD)에서 처음으로 공개했다.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이번 학회에서는 당화혈색소(HbA1c) 수치 조절이 어려운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릭시세나타이드 병용 요법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임상 3상 연구인 GetGoal 연구 결과도 함께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릭시세나타이드 치료군 19명, 위약군 22군)를 대상으로 28일간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병행집단 조건 하에서 진행됐다. 연구 결과, 1일 1회 최종 용량 20 μg의 릭시세나타이드(5 μg에서 4일마다 2.5 μg씩 추가해 20 μg까지 용량조절)를 아침에 최대 2개의 경구용 혈당강하제와 복용한 환자군이, 위약군에 비해 ‘위(胃) 내용 배출 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31).
또한, 이들 환자군은 혈당 수치에 대한 약역학적 효과도 하루 종일 지속됐다. 치료 28일째의 식후혈당(PPG)은 표준적인 아침식사 후(p<0.0001), 점심 식사 후 (p=0.0004), 저녁 식사 후(p=0.0082) 모두 유의하게 감소했다.
호주 로얄 애들레이드 병원 마이클 호로위츠 교수는 “위에서 장으로 음식물이 통과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위(胃) 내용 배출 속도’는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 모두에서 식후혈당의 주요 결정인자로, GLP-1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며, “이번 연구에서 릭시세나타이드가 위(胃) 내용 배출을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식후혈당 수치(PPG)를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입증된 바, 기저 인슐린의 공복 혈당(FPG) 강하효과를 가장 잘 보완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제2형 당뇨병 환자가 목표 당화혈색소(HbA1c) 수치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학회에서는 광범위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포함하는 릭시세나타이드의 임상 3상 연구 프로그램(GetGoal)의 일부로 진행된GetGoal Duo 11 과 GetGoal-L2 연구 결과도 함께 발표됐다. 기저 인슐린 및 경구용 혈당강하제를 투여하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GLP-1작용제인 릭시세나타이드를 1일 1회 병용 투여했을 시, 당화혈색소(HbA1c)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릭시세나타이드 환자군에서 나타난 흔한 이상반응은 일시적이고 경미한 메스꺼움과 구토였고, 제한적으로 추가적인 혹은 유사한 수준의 저혈당 발생률을 보였다. 이번 두 연구는 각각 인슐린 요법을 처음 시작했거나(시작한지 12주 이내) 이미 인슐린 요법을 시행해 (평균 3.1년) 온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피에르 샹슬(Pierre Chancel) 사노피 당뇨사업부 수석부사장은 “이번 연구가 의미 있는 이유는 미국당뇨병학회(ADA)와 유럽당뇨병학회(EASD)에서 공통적으로 병용 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새로운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라며, 그는 “이를 종합하면, GLP-1 작용제를 기저 인슐린과 병용하는 경우 식후혈당과 공복혈당이 모두 내려가 혈당 조절을 개선시킨다는 임상적 근거를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유럽의약청(EMA)은 2011년 11월 릭시세나타이드의 시판 승인 신청서를 접수했으며, 미국 내 승인 신청은 오는 12월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