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골다공증 진단율 늘었지만,"치료는 저조"

아주대병원 최용준 교수팀,진단율 증가에 비해, 치료율 크게 개선되지 않아

최근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당뇨병에 비해 골다공증 치료에는 관심이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최용준 교수(사진)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16-2017년, 2008-2009년 두 기간 동안 골다공증 진단 및 진단후 치료율의 변화를 확인했다. 조사대상은 50~59세, 60~69세, 70세 이상으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골다공증 진단율이 2008-2009년 여성 29.9%, 남성 5.8%이고, 2016-2017년은 여성 62.8%, 남성 22.8%로 두 기간간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시기 우리나라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 가장 많은 골밀도 검사장비가 도입됐으며, 아울러 국민 건강검진의 활성화 및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도입 등으로 골밀도 검사 횟수가 크게 늘면서 진단율 또한 함께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면 이들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치료율을 살펴보면, 2008-2009년 여성 14.4%, 남성 3.8%에서 2016-2017년 여성 32.2%, 남성 9.0%로, 진단받은 환자 중 여성의 경우 절반 이상이 남성은 90% 이상이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또 다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당뇨병의 경우, 같은 기간 약 80%의 높은 진단율을 보였고, 진단받은 환자의 90%가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골다공증과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골다공증은 당뇨병에 비해 단기간 눈에 띄는 합병증이 적고, 골절 예방 및 골밀도 증가 등에 대한 단기간 약물 치료효과 확인이 힘들며, 골다공증 치료제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한 지나친 우려 등의 이유로 치료율이 저조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최용준 교수는 “골다공증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골절이다. 심한 골다공증의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로도 척추압박 골절 등이 생길 수 있으며, 대퇴골 골절의 경우 사망률이 20%에 달하며, 회복되더라도 보행 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는 등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린다”면서 “골다공증의 진단 및 치료율을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골다공증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50대 이상의 성인이나 65세 이상의 노인의 경우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를 받아야 하며, 진단을 받은 후에는 꾸준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골다공증 학회지(Osteoporos International) 9월호에 ‘Temporal chang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rates of osteoporosi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율의 장기 변화율 조사)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