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폐암 환자 유전자 변이 검사 결과 상세 인지도 6% 그쳐

정확한 치료 위해 유전자 변이 검사 및 결과에 대한 이해도 제고 필요
대한암협회, 세계 암의 날 맞아 폐암 환자 인식 조사 결과 발표

대한암협회(이회장 노동영)는 2월 4일 ‘세계 암의 날(World Cancer Day)’을 맞아, 국내 폐암 환자 286명을 대상으로 폐암의 진단 및 치료, 지원 등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설문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폐암 환자의 정보 접근성과 폐암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아는 만큼 가까워지는 폐암 이야기(이하 아가폐)’ 캠페인의 일환으로 작년 11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됐다. 설문조사 결과는 지난달 25일 공식 유튜브 채널 ‘대한암협회’에서 생중계된 아가폐 웨비나에서 일부 공개됐으며, 협회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폐암 환자 유전자 변이 검사 결과 내용 인지도 6% 불과, 맞춤 치료 위해 진단 과정에서 유전자 변이 검사 및 결과에 대한 환자 인식 제고 시급
설문조사에 따르면 실제 진단 과정에서 유전자 변이 검사를 받은 환자의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61%(175명/286명)였으며, 유전자 변이 검사가 폐암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환자도 58%(165명/286명)였다. 전체 설문 응답자의 과반수가 유전자 변이 검사가 폐암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진단받은 유전자 변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잘 알고 있다고 답한 환자는 본인의 유전자 변이 종류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 환자의 6%(8명/124명)에 불과했다.


유전자 변이 검사가 폐암 치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특정 유전자변이가 나와도 선택할 수 없는 치료제가 없다’는 답변이 유일했는데, 치료제가 없던 희귀변이에서도 새로운 치료 옵션이 등장하고 있는 만큼 맞춤 치료를 위해 진단 과정에서 유전자 진단 검사를 받고 이 결과를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폐암 진단 시 유전자 변이 검사를 받았다고 응답한 175명의 진단 유전자는 EGFR(45%, 78명), ALK(14%, 25명), ROS1(4%, 7명), KRAS(3%, 5명) 순으로 확인됐다.


▲폐암 치료 과정에서의 어려운 점, 경제적 부담 요소 가장 많아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점을 묻는 질문에는 ‘실질적으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치료비 경감 제도’가 67%(191명/286명)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환자들이 치료 과정에서 느끼는 경제적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제적 부담 등 어려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주관식 문항으로 질문한 결과, ‘경제적으로 어렵다’, ‘보험 급여 확대가 필요하다’, ‘약 비용이 부담된다’ 등의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심리적으로 힘들다’, ‘미래가 불확실하다’ 등의 감정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응답도 다수 확인됐다.




▲폐암은 어떤 질환? 국내 암 사망률 1위 차지
폐암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이다. 폐 조직 자체에서 발생한 원발성 폐암과 다른 기관에서 옮겨온 전이성 폐암으로 구분된다. 원발성 폐암은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나뉘는데 전체의 80~85%가량이 비소세포폐암이다.


2019년 기준 폐암은 위암을 제치고, 갑상선암을 제외하곤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집계됐다.  2020년 암으로 사망한 82,204명 중 18,673명(22.7%)이 폐암으로 사망해 사망률도 압도적으로 높다.  초기 증상이 없을 뿐 아니라 일정 수준 진행된 후에도 감기와 비슷한 기침, 가래 외에 별다른 이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매우 어렵다.1 설문조사 응답자의 65%(187명/286명)도 진단 당시 비소세포폐암 3, 4기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암협회 노동영 회장은 “폐암은 우리나라에서도 발생률과 사망율이 높은 만큼, 세계 암의 날을 맞아 폐암 환자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던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널리 알리게 됐다”며 “암 치료의 점진적 발전으로 기존에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던 분야에서도 새로운 희망이 등장하고 있어, 환자들 스스로도 유전자 변이 검사 등을 통해 본인의 암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고 향후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암협회도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폐암 환자들이 치료의 어려움으로 꼽은 경제적인 접근성 문제 등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허위 진단서 발급, 의료계 신뢰 훼손" 대한의사협회가 대구의 한 피부과 의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보험사기 사건'과 관련해, 해당 의사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의협은 의료계 전체의 신뢰를 훼손하는 일탈 행위에 대해 단호한 처분과 함께 실질적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에 따르면, 해당 의원 원장 A씨는 2022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약 2년간 미용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900여 명에게 백선·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진단받은 것처럼 꾸민 허위 진단서를 발급한 혐의를 받고있다. 경찰은 이를 통해 약 1만여 건의 허위 진단서가 작성됐고, 환자들이 청구한 보험금은 수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경찰은 A씨와 직원 2명을 보험사기방지특별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성명을 통해 “의사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사명을 지닌 만큼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허위 진단서 발급은 의료법상 금지돼 있을 뿐 아니라 의료인의 기본 윤리의식을 저버린 중대한 범죄”라고 규정했다. 또한 의협은 해당 사건에 대해 전문가평가단 절차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진행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행 법령상 의료인 단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