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화순전남대병원 개원 18주년 맞아..“디지털병원·초광역 바이오메디컬클러스터 구축” 다짐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은 26일 대강당에서 개원 18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행사에는 정성택 전남대학교 총장, 안영근 전남대학교병원장, 정영도 전남대 의과대학장, 신정훈 국회의원, 김한종 전남도의회 의장, 조성희 전남대 총동창회장을 비롯해 화순전남대병원 역대 병원장과 임직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정용연 화순전남대병원장은 기념사에서 “화순전남대병원이 열여덟번째 생일을 맞았다. 사람으로 보면 성인이 됐다”며 “성인으로서 병원 발전을 이끌 주체가 되어 아시아 최고 ‘초광역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 병원장은 또 “차세대병원정보시스템인 ‘e-SMART’ 개통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를 열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들이 기다림이 없고 직원들이 보다 편리하게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디지털 호스피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에 참석한 정성택 전남대 총장은 “화순전남대병원이 세계 최고 암전문병원으로 성장한 데에는 우수한 인재들이 뿌리를 내렸기 때문”이라며 “인재 양성에 적극 투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의료진들은 실험실·연구실을 뛰쳐나와 밖에서 적극 활약해 국가발전의 동력이 되어달라”고 주문했다.

  안영근 전남대병원장은 “화순전남대병원은 최고·최상이라는 수식어가 적합한 세계 최고의 암 전문병원이 됐다”며 “앞으로도 혁신과 열정을 바탕으로 미래를 선도하는 의료기관이 되어주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우수 직원과 부서에 대한 표창도 이뤄졌다. 우수 직원은 이정희 권역호스피스센터 팀장, 이종서 진료행정과 직원, 김희환 응급의학과 전공의, 마진영 간호사 등이 수상했다. 우수 부서는 호흡기내과, 비뇨의학과, 병동간호과, 총무과 등이 선정돼 시상했다. 또 화순경찰서와 최경순 전남도 감염병조사TF팀장에게 감사장을 수여했다.

  개원 18년을 맞은 화순전남대병원은 위암·유방암 등 분야별 암치료 적정성 평가 최고 등급, 건강보험 보장률 전국 최고 등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다. 세계적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도 이같은 성장을 인정해 2년 연속 ‘세계 최고 암병원(World’s Best Hospital-Oncology)’으로 선정했다. 특히 지난해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역경 속에서도 당기순이익 349억원을 기록, 전년보다 42.8%(104억원) 성장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