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남보다 술 적게 마시는데,알코올성 간질환이라니?..."음주도 금수저 유전자 있다"

아주대병원 김범팀택 교수팀,알코올분해효소(공격인자) 아닌 항산화작용(방어인자)이 원인 새롭게 찾아

남들보다 술을 적게 마시는데 알코올성 간질환에 걸리는 사람이 있다. 반면 술을 많이 마셔도 간수치가 정상인 사람이 있는데 왜일까?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김범택 교수팀은 알코올성 간염의 원인이 흔히 알려져 있는 알코올 분해효소(공격인자)가 아닌, 간에서 항산화작용(방어인자)이 약한 즉 선천적인 ’유전적 요인‘이 중요함을 새롭게 밝혔다.

그동안 ’나는 간에 알코올 분해효소가 적어 빨리 취해‘란 말이 잘못됐다는 것. 우리 몸은 술을 마시면 간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전을 작용하는 데, 이런 방어기전이 유전적으로 약하면 남들보다 술을 적게 마셔도 간질환에 걸릴 수 있다는 것.

이번 연구결과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새로운 원인 규명으로 인정받아, 올해 2월 간(liver) 연구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Hepatology(IF 17.425)’에 실렸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한국유전체역학연구(KoGES) 대상자 21,919명(40–79세)의 유전자를 분석했다.

대상자를 알코올성 간염이 있는 군과 없는 군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 비음주군 △ 적정 음주군 △ 중증 음주군 총 3개 군으로 다시 나눠 비교 분석한 결과, 유전체의 단일염기변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의 발현, 즉 각 환자군마다 유전자 변이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술을 적게 마시거나 많이 마시는 것과 상관없이 알코올성 간염 환자군에서 간 해독과 항산화작용(산화되는 화학반응을 억제)을 담당하는 효소인 ‘GGT(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유전자 변이’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또 술을 많이 마시지 않는 적정 음주군 내에서도 알코올성 간질환이 있는 경우엔 HNF1A, ZNF827 유전자의 변이 및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했다. 즉 같은 술을 마셔도 누구는 간질환에 걸리고, 누군가는 걸리지 않는 유전적으로 강한 타고난 금수저가 따로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강한 방어인자도 지나친 음주를 할 경우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유전자만 믿고 과도하게 음주시, 결국 간염, 간경화 등의 간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김범택 교수는 “그동안 알코올성 간염이 공격인자(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졌지면, 이번 연구에서 자기 몸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인 HNF1A, ZNF827 유전자의 변이 및 억제에 의해 발생함을 새롭게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또 “음주 다음날 콩나물이나 황태해장국이 좋은 것은 알코올 분해보다 글루타치온 등 항산화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결과로 보면, 숙취를 위해 항산화효과가 더 좋은 비타민C가 풍부한 과일 주스를 마시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논문 제목은 ‘Genome-wide association of individual vulnerability with alcohol-associated liver disease: A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알코올성 간질환의 개인별 질병 감수성에 관한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 연구 : 한국 유전체 역학 연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