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노관택 前 서울대병원장 별세...난청진료실 국내 첫 개설

우리나라 청각학 탄생 주도한 의학자

우리나라 이비인후과학의 기초를 다지고, 청각학의 탄생을 주도하며 의료 발전을 견인한 노관택(사진) 전 서울대병원장이 4일 별세했다. 향년 94세.

  1930년생인 고인은 1955년 서울대 의과대학을 졸업하여 해군 군의관으로 군복무를 마치고, 1995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40년 동안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로서 교육과 연구, 진료 및 사회봉사에 헌신했다. 재임기간 동안에는 의학협회 부회장, 시립병원 원장, 서울대병원장 등을 역임하고, 정년퇴임한 후에는 한림대학교 의료원장, 대한병원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우리나라 의료 발전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

  고인은 이비인후과학 중에서도 이과학, 특히 청각학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했다. 국내 처음으로 청각학 강의를 시작한 후 대한청각학회 창립과 발기인 대표로 산파 역할을 수행했다.

  난청환자의 전문적 진료를 위한 난청진료실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설해 지금의 병원 기구인 언어청각장애진료실로 발전시켰다. 고인은 청력장애에 대한 연구, 진료, 교육 등에 전념하면서 Lions Hearing Center를 설립하여 무의촌 진료와 청력개선 수술, 보청기 보급 등의 많은 봉사활동을 수행했으며, 이러한 업적으로 1988년 한국라이온스클럽 무궁화 사자대상을 수상했다. 또 1992년부터 2000년 까지는 WHO Expert Advisory Panel on Prevention of Deafness and Hearing Impairment를 맡아 활약하기도 했다.

  대외적인 활동으로는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사장을 비롯하여, 아세아오세아니아 이비인후과학회 이사를 거쳐, 1991년에 이사회 회장을 역임했고, 한일이비인후과 학회를 창립해 한국 측 대표로 활동했다.

  또한 1985년에는 대한의사협회 학술이사와 학술담당 부회장을 역임하며 전공의 교육과 전문의시험 제도 개선 및 발전에 기여했다. 1990년에는 대한병원협회 부회장을 거쳐, 1998년 대한병원협회 회장을 맡아 우리나라 병원의 발전과 위상 정립에 공헌했다.

  유족은 부인 최윤보 씨와 자녀 노동영 서울의대 명예교수(現강남 차병원장, 前서울대병원 암병원장·강남센터원장), 노윤정, 노경주, 노동주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이며 4일장으로 치를 예정이다. 발인은 7일이다. (02)2072-2020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인천참사랑병원과 업무 협약체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강북구·노원구·도봉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인천참사랑병원과 함께 마약류 중독자 치료 및 재활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마약류 사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시민들에게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마약류 중독자들의 지속적인 회복을 지원하고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며, 협약 기관들은 각자의 전문성과 자원을 활용해 마약류 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의뢰·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 실적은 2022년 421명에서 2024년 875명으로 2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인천참사랑병원은 권역 치료보호기관으로서 연간 치료보호환자의 72%(2023년 기준)를 담당하고 있다. 인천참사랑병원에서 퇴원하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중독자들에게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상담과 개별서비스 계획을 통해 심리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며, 중독자들이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독자들이 재활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지속 가능한 회복을 이루는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