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해외소식

Solar Biotech, Noblegen인수

버지니아주 노턴에 기반을 둔 완전 지속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생물제조 솔루션 공급업체인 Solar Biotech Inc.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피터버러에 기반을 둔 첨단 디지털 생물 회사인 Noblegen을 인수하여 수직 통합 조직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Noblegen은 이제 Solar Biotech Canada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며 캐나다에서 조직의 식품 등급 인증(SQF9) 생물제조 및 연구 개발 허브 역할을 계속할 것입니다. 이 새로운 회사는 미생물학 및 생물제조 분야에서 두 파트너의 강점을 활용하여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위한 혁신적인 생명 공학 및 합성 생물학("SynBio") 솔루션을 제공한다.

Solar Biotech의 최고 경영자이자 새로 임명된 Solar Biotech Canada의 회장인 Alex Berlin은 "이는 생물제조 산업에서 절실히 필요한 역량과 전문 지식을 즉시 온라인으로 제공하기에 Solar Biotech와 그 산업 파트너에게 중요한 진전입니다. 우리는 보완적인 지적 재산 포트폴리오와 부문 경험을 갖춘 두 개의 혁신적인 회사를 통합하고 있으며 이로서 세상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지난 9년 동안 인프라 및 기술 개발 부문에 4천만 USD를 투자한 Solar Biotech Canada의 광범위한 전방산업 및 후방산업 기능이 기존 및 신규 고객과 파트너에게 제공된다.

회사는 개발 및 생산 단계에서 스타트업 혁신가의 관념화, 기술 개발 및 확장을 지원하여 바이오 경제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및 미세조류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의 공정 및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위고비' 등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불편한 진실..."급성 췌장염, 담석증, 담낭염 등 부작용" 주의 해야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원장 손수정)과 함께 GLP-1 계열 비만치료제를 투약하는 환자들의 안전한 사용을 돕기 위해 전국 지역 의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 등에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안전사용 안내서’를 9월 29일 배포했다. 이번 안내서에는 비만치료제를 사용하는 질환 ▴올바른 투여방법 ▴보관 및 폐기방법 ▴투여 시 주의사항 ▴이상반응(부작용) 보고방법 등의 정보가 담겨있다. GLP-1 계열 비만치료제는 ❶초기 체질량지수(BMI)* 30kg/m2 이상인 비만환자 또는 ❷한 가지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으면서, BMI가 27kg/m2 이상 30kg/m2 미만인 과체중 환자에게 처방되는 전문의약품이다. 당뇨병약을 복용하는 환자가 GLP-1 계열 비만치료제를 병용하는 경우 혈당이 낮아질 위험이 커질 수 있으므로, 약물의 용량 조절 여부 등을 의료진과 상의해야 한다. 또한, 임신과 수유 중에는 비만치료제 사용이 금지되며, 약물의 체내 잔류기간을 고려*하여 임신을 계획하는 것이 좋다. 비만치료제는 처음부터 고용량으로 시작하기보다는 의사의 처방 후 허가된 용법대로 투약을 시작하고 증량하여야 하며, 의사의 처방과 약사의 복약지도에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소생 후 첫 6시간의 혈압유지.. 뇌 기능 회복에 중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김수진 교수 연구팀이 최근 심정지 후 소생환자의 혈압유지의 최적 목표치를 확인하고 심정지 후 목표 혈압유지 가이드 수립의 근거를 제시했다. 심정지는 심장이 이완과 수축운동을 멈춰 체내 혈액이 순환하지 않게 된 상태를 말한다. 심폐소생술(CPR)과 자동제세동기(AED)등으로 병원 밖에서 맥이 돌아오거나, 의료기관 내에서 소생에 성공하면 일단 한 고비를 넘기게 되지만, 심정지가 발생한 것 자체가 전신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생 후에도 세밀하고 종합적인 중환자 치료가 필요하다. 심정지 소생 후 치료에 대해 국제 학계에서는 평균 동맥압(MAP) 60~65mmHg 이상 유지할 것을 제안하지만 최적의 목표치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김수진 교수 연구팀(교신저자 김수진 교수, 1저자 이시진 교수)은 최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으로 이송된 성인 비외상 심정지 후 24시간 생존 환자 291명의 데이터를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초기 심전도 리듬, 심폐소생술 소요시간, 24시간 동안의 혈압, 치료중재, 동반질환, 심정지 원인, 연령과 성별 등 다양한 임상정보가 함께 고려됐다. 연구결과, 심정지 환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