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담도암의 표준 치료법이 10여 년 만에 바뀔 전망이다. 표준항암치료제와 면역항암제를 병용해 새로운 표준 치료를 제시한 첫 번째 글로벌 3상 임상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 새로운 치료법은 표준항암치료제에 비해 진행성 담도암 환자의 사망 위험을 20% 낮추고, 장기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20~22일 열린 미국 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ASCO GI 2022)에서 발표됐다. 이 결과는 국내 연구자가 주도한 2상 임상연구에서 출발하여 확장된, 아스트라제네카의 글로벌 3상 임상연구(TOPAZ-1)에서 나왔다. 전 세계 진행성 담도암의 표준 치료 패러다임을 국내 연구진이 주도해 새롭게 바꾼 것이다. 이 글로벌 3상 임상연구의 전체 총괄 책임연구자는 서울대병원 종양내과 오도연 교수(시진)다.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오 교수의 도전과 집념이 이룬 이 성과는 결국 담도암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을 가져왔다. 담도암은 국내에서는 발생률 9~10위를 차지하는 암이다. 서양보다 국내에서 발생률이 높은 암으로, 전 세계적으로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담도암 환자는 수술이 어려운 진행성 단계에서 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국민의 의료선택권 강화를 위해 19일부터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이하 우수병원 평가정보)를 카카오맵을 통해 공개했다. 카카오는 심사평가원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병원의 의료서비스 우수병원 평가결과를 카카오맵에 공개하고, 주소, 전화번호, 진료시간, 의사 수 등의 의료기관 현황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특히, 최근 3회에 걸친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한 ‘3회연속 우수’, ‘2회연속 우수’, ‘최근우수’ 등 우수병원 정보는 국민들의 합리적인 의료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수병원 평가정보는 누구나 손쉽게 카카오맵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심사평가원은 지난 11월 「병원평가정보서비스」와 「우수기관병원평가정보서비스」오픈API를 개발해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을 통해 민간에 개방했고, 향후에도 국민들이 의료서비스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민간 수요가 큰 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 개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변의형 평가운영실장은 “그간 국민들은 필요한 병원을 찾기 위해 심사평가원 누리집이나 앱에 접속해 병원평가정보를 찾아야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었다”며, ”카카오맵을 통한 우수병원
세브란스병원이 21일부터 이틀간 연세암병원 서암강당에서 비대면 온라인으로 진행한 ‘국제 로봇수술 심포지엄’(International Robotic Surgery Live 2021, IRSL)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심포지엄에는 대장항문외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간담췌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성형외과 등 8개 분야에 대해 국내외 로봇수술 의료진 550명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라이브 수술과 여러 임상과의 무편집 로봇수술 녹화 영상을 보며 발전하고 있는 로봇수술에 대한 정보를 교환했다. 세브란스병원은 심포지엄을 통해 최근 개발한 ‘혼합 현실(Mixed Reality)’ 프로그램을 적용한 로봇수술과 최신 모델 다빈치 SP 등 여러 로봇 모델을 활용한 로봇수술 노하우를 공유했다. 첫째 날, 세브란스병원 로봇내시경수술센터 민병소 소장(대장항문외과)이 혼합 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해 대장암 로봇수술을 진행했다. 의료진이 홀로렌즈(Hololens)를 머리에 착용하면 증강 현실(AR)과 가상 현실(VR)을 결합한 혼합 현실로 환자의 MRI, CT 등 검사 영상을 수술 중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민병소 소장과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이준상
코로나19 대유행이 유방암의 진단과 치료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환자들의 병원 방문이 줄면서 유방암 선별검사와 진단 환자, 수술 건수는 모두 감소한 반면, 유방암이 진행된 상태로 진단된 환자 비율은 증가했다. 유방암은 초기 증상이 적어 최근에는 검사를 통해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병원 방문이 지연되고 검사를 미루게 되면 그만큼 유방암을 늦게 발견하고 치료를 지연시킬 가능성이 높다. 강영준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유방외과 교수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6개 병원의 18세 이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유방암 선별검사와 진단받은 환자, 수술 건수 등을 코로나19 환자 수가 급증하고 사회적으로 불안감이 증폭되던 2020년 2~4월과, 코로나19가 다소 안정화돼 가던 5~7월 두 그룹으로 나눠 2019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영향이 없던 2019년 2월부터 7월까지 새롭게 진단된 유방암 환자 수는 1,669명인 반면, 2020년 같은 기간에는 1,369명으로 9.9% 감소했다. 유방 검진(유방촬영 또는 유방 초음파검사) 건수 역시 27.4% 줄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의식이 팽배했던 2020년 2~4
이영환 순천향대 부천병원 응급의학과 교수가 경기도 구급활동 질적 향상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경기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영환 교수는 2016년부터 약 6년 동안 과천소방서와 광명소방서의 자문 의사로 활동하며 119 구급활동 자문 및 구급대원 전문교육, 의료지도 등을 담당하고 있다. 이영환 교수는 “현장에서 고생하는 구급대원들을 대신해 표창을 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중증 응급환자에게 양질의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급대원들과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전문교육과 의료지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경희의료원은 ‘공무원연금공단-서울시도심권50플러스센터‘와 함께 랜선 건강교실을 개최했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젊어지는 비법, 한방동안클리닉’을 주제로 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이수지 교수의 특강과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누구나 젊게 살고 싶어 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얼굴에 피부탄력 저하, 깊은 주름 등의 노화 현상이 발생한다. 흔히 보톡스 주사, 필러주입술, 지방이식 수술 등의 방법을 고려하지만 한방에서는 환자의 피부와 근육 상태의 기능을 끌어올리는 방법을 이용하여 개선한다. 이수지 교수는 특강에서 안면성형침, 매선, 약침 그리고 한약 등의 한방요법을 통한 혈액순환 개선, 근육균형 조절, 부종 감소, 콜라겐 생성 효과를 소개했다. 안면성형침은 일반적인 침 시술보다 더 가늘고 예민한 침을 사용하여 안면 피부 속 표정근 주위 혈자리 들을 침으로 풀어주고 경혈을 자극한다. 안면 근육 비대칭을 교정하고 근육들의 탄력을 높여서 주름을 완화한다. 매선은 PDO 봉합사를 피부 아래에 넣어 피부의 빈 곳을 채워주고 리프팅 및 지지 작용을 통해 주름 및 탄력을 개선시킨다. 매선이 흡수되기 까지는 약 6개월이 소요되며 흡수과정에서 콜라겐 형성에 도움을 줘서 지속적인 탄력
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영적 지도자이자 현대 마음 챙김 운동의 선구자인 틱낫한(Thich Nhat Hanh) 스님이 95세 나이로 2022년 1월 22일 자정에 열반했다. 그는 80년 전 출가한 베트남의 투 히에우(Từ Hiếu)에서 평화롭게 열반했다. 다작한 작가이자 시인인 틱낫한 스님은 4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100여 권의 책을 저술했다. 미국에서만 500만 권 이상이 판매된 바 있다. 베스트셀러 작품으로는 삶에서 깨어나기(The Miracle of Mindfulness), 모든 발걸음마다 평화(Peace is Every Step), 화(Anger), 사랑 명상(How to Love) 등이 있다. 마음 챙김 혁명의 씨앗을 뿌려 '명상의 아버지'라고도 불렸던 틱낫한 스님은 현대의 주요 마음 챙김 교사들을 다수 가르쳤으며,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를 치유하기 위해 주류 임상 심리학에 통합된 치유 방법론을 개발했다. 틱낫한 스님은 정치, 비즈니스, 사회 정의 및 환경 운동 분야의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미국 의회, 영국 의회, 인도 의회, 북아일랜드 의회에서 연설한 바 있다. 테크 기업 억만장자인 마크 베니오프(Marc Benioff),
인비절라인 코리아가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3개월 간 사상 첫 청소년 캠페인 '치아교정? 우린, 인비절라인!'을 진행한다. 인비절라인 코리아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청소년, 학부모와의 접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인비절라인 코리아는 24일 인비절라인 하이틴 모델과 함께한 캠페인 이미지를 공개했다. 하이틴 모델 4인은 지난해 ‘제1회 인비절라인 하이틴모델 콘테스트'에서 투표로 선발된 김세진(만 18세), 양혁준 (만 16세), 오서현(만 14세), 이시은(만 14세)이다. 이들은 실제 인비절라인 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로, 2년간 인비절라인 공식 하이틴 모델로 활동하며 이번 청소년 캠페인을 함께 전개한다. 앞서 인비절라인 코리아는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을 통해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오놀아놈(‘오~놀 줄 아는 놈이네’를 뜻하는 신조어)이벤트’를 통해 미션을 수행할 ‘인비절라인 PLAY 크루’ 100명을 모집했다. 이들은 ‘먹잘알’ ‘놀잘알’ ‘배움잘알’ 3가지 테마로 주어지는 미션을 하며 인비절라인의 장점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많은 소비자들과 공유하게 된다. 여기서 '먹잘알', '놀잘알', '배움잘알' 이라는 미션명은 인비절라인의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1월 24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555명, 2차접종자 1,819명, 3차접종자 13,18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569,299명, 2차접종자수는 43,803,685명, 3차접종자수는 25,245,905명이라고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월 2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418명, 사망자는 2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565명(치명률 0.89%)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7,159명, 해외유입 사례는 354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7,513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741,413명 (해외유입 23,753명)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변이바이러스 발생 주간 분석 결과, 1월 2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유입 4,574명(+1,935), 국내감염 5,286명(+2,895)이 확인되어 총 9,860명(+4,830)이라고 밝혔다.
CRISPR유전자가위 원천특허를 보유한 유전자교정 전문기업 ㈜툴젠(대표 김영호 · 이병화, KOSDAQ 199800)은 서울대학교 염수청 교수팀, 이화여대 이혁진 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A형 및 B형 혈우병 생쥐에게 mRNA(메신저리보핵산) 약물을 체내로 전달하는 방법을 통해 혁신적인 혈우병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성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SCIE급)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최신호에 “In vivo delivery of CRISPR-Cas9 using lipid nanoparticles enables antithrombin gene editing for sustainable hemophilia A and B therapy”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이번에 연구팀이 수행한 연구는 간에서 발현하는 안티트롬빈을 저해하는 유전자교정 치료제 개발 연구로써 기존 응고인자 단백질에 대해inhibitor(응고 인자에 대한 항체)가 생겨 치료가 어려운 환자들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혈우병 환자들이 치료대상이 될 수 있는 보편적인 혈우병 치료 전략에 관한 것이다. 피가 멎지 않는 질환인 혈우병은 혈액응고인자의 돌연변이로 발생하는데 치료제 시장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