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타

리솔,불면증 치료 전자약 상용화 "잰걸음"

한국에자이 '코그메이트' 활용, 임상시험
수면과 치매의 높은 상관 관계 재확인, 수면장애 치료 인지 기능 개선 효과 탐색 예정
2026년 제품 허가 목표로 임상 진행

바이오헬스 기업 리솔(LEESOL)은 불면증 치료를 위한 임상연구에 글로벌 제약회사 한국에자이의 '코그메이트’(CogMate)' 활용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6년경 불면증 치료 전자약 제품 허가를 목표로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인영 교수팀과 함께 진행하고 있다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아 임상을 진행 중이다리솔은 불면증과 우울증 치료를 넘어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자약 개발에도 매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면장애는 여러 정신질환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작업기억(working memory)의 정상적인 활동을 방해하며이로 인해 치매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리솔은 이번 임상 연구에 한국에자이 ‘코그메이트’를 활용하여 불면증 치료에 따른 인지 기능 개선에 대한 연관성도 함께 확인할 예정이다.

 

리솔 권구성 대표는 “이번 임상은 불면증우울증 등 기존 정신 질환에서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에 대한 치료 솔루션으로 확장하기 위한 행보다임상을 통해 수면과 치매의 높은 상관 관계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수면장애 치료를 통해 인지 기능 개선 효과까지 탐색할 예정”이라며 “한국에자이가 조기치매와 경도인지장애 신약런칭시니어의 뇌 건강관리 등의 사업을 지속하고 있어 관련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긴밀하고 다양한 협력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코그메이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인증 받은 CBB (디지털 인지 검사, cogstate brief battery)를 기반한 비의료기기 버젼의 뇌건강 측정도구다뇌 반응 속도주의력시각 학습기억력 등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이를 통하여 자가 테스트를 진행하고결과리포트를 통해 자신의 뇌 건강도(BPI)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코그메이트’의 의료기기 버젼은 미국유럽캐나다호주 등지에서 코그니그램’(Cognigram)이라는 이름으로 의료 전문가를 위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검사와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 수거·폐기 사업 실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가정에서 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의 오‧남용과 불법 유통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대한약사회 및 한국병원약사회와 협력하여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을 실시한다. 해당 사업은 참여약국이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은 환자에게 수거·폐기 사업을 안내하고 사용 후 남은 의료용 마약류를 반납받는 사업으로, 6대 광역시, 부천·전주시, 수원특례시 등 총 9개 지역 100개 약국이 참여할 예정이다. 국민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와 수거량을 높이기 위해 마약류 의약품을 반납하는 국민에게 친환경 가방도 증정한다. 이와 더불어 5개 종합병원 내 약국에서 펜타닐 등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는 환자에게 ▲처방받은 마약류의 안전하고 적절한 복용법 교육을 강화하고 ▲인근 지역의 수거·폐기 사업 참여약국을 안내하여 복용하고 남은 마약류 의약품의 반납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가정 내 의료용 마약류 수거·폐기 사업에 많은 국민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마약류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지역은 해당 지자체별로 운영 중인 폐의약품 사업을 통해 해당 지역의 지정된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이 환자에게 면역항암제가 효과 있을까?’...의사와 AI 간 정밀 의료 협업 시대 개막 연세의대가 암환자 조직 병리 사진을 분석해 면역항암제 효과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위장관외과)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센터 연구진과 함께 암세포를 분석해 면역항암제에 효과를 보이는 유형인지를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npj 디지털 메디슨(npj digital medicine, IF 15.2)’ 최신호에 게재됐다. 면역항암제는 체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제다.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항암제와는 서로 다르다. 그렇기에 환자의 암세포 안에서 보이는 유전적 특성이 적합하지 않으면 면역항암제의 효과가 없다.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보이는 위암, 대장암 환자는 ‘MSI-H(고빈도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불안정성)’의 특성을 가진다. 유전자 돌연변이의 양이 많은 MSI-H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외부 침입자’로 더욱 쉽게 인식하게 할 수 있어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 기존에는 MSI-H 보유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세포 조직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 등을 사용했지만, 암세포 내에서 MSI-H가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