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국회

국민연금 체납세대가 건강보험 체납세대의 43배 , 체납액은 144 배

하나만 성실히 내고 다른 하나는 체납하면 국민연금 체납이 97.7%
서영석 의원 “ 국민 불신 해소하고 사회보험제도 기틀 바로 세워야 ”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중 하나만 보험료를 성실하게 납부하는 세대가 26 만 세대가 넘는 가운데 대부분이 건강보험료는 성실히 납부하면서 국민연금을 체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 경기 부천시갑 국회보건복지위원회 ) 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제출받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성실납부 및 체납 현황  에 따르면 2024 년 8 월 기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중 한 가지 보험료만 선택적으로 납부하는 세대가 26 만 4,389 세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체납액은 무려 7,350 억원이다 .

 

구체적으로 보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중 건강보험료는 성실히 납부하면서 국민연금 보험료를 6 개월 이상 체납한 세대가 25 만 8,398 세대로 전체의 97.7% 를 차지했다 이는 국민연금 보험료는 성실히 납부하면서 건강보험료를 체납한 5,991 세대의 43 배에 달하는 수치다 .

 

체납액을 기준으로 보면 건강보험료 성실납부세대의 국민연금 보험료 체납액은 7,350 억원으로 전체 체납액의 99.3% 를 차지했다 국민연금 보험료 성실납부세대의 건강보험료 체납액인 51 억원의 144 배에 달하는 규모다 .

 

체납기간과 총체납보험료의 각각 상위 5 건을 살펴보면 먼저 체납기간의 경우 건강보험 성실납부세대의 국민연금 체납 최다기간은 296 개월 국민연금 성실납부세대의 건강보험 체납 최다기간은 227 개월이었다 상위 5 건의 체납기간 평균은 각각 290.4 개월과 220.8 개월이었다 .

 

총체납액 상위 5 건의 경우 국민연금 체납 1 위는 7,989 만원이었고 건강보험 체납 1 위는 5,064 만원이었다 상위 5 건의 총체납액의 합은 국민연금 체납이 3 억 4,149 만원 건강보험 체납이 1 억 4,537 만원이었다 .

 

서영석 의원은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모두 의무가입제도임에도 건강보험만 성실하게 납부하는 이유가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 때문이라면 국가는 사회보험제도의 관리주체로서 국민의 불신을 해소할 책무가 있다  라고 지적하며  이런 상황에 윤석열 정부가 더 내고 덜 받는 연금개혁안을 발표하며 국민의 우려가 더 커진 만큼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제도개선에 더욱 힘써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대한의사협회, 제21대 대선 보건의료 공약에… “의료계 목소리 반영돼야”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 및 대선후보들의 보건의료 공약을 면밀히 분석하고, 차기 정부의 올바른 의료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의협은 이번 대선이 "붕괴된 의료시스템을 회복하고 정상화할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의료계와의 충분한 소통과 협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보건의료 관련 공약들을 분석하며,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혔다. ■ 이재명 후보 공약에 대한 입장 이 후보의 필수·공공의료 인력 강화 방안에 대해 의협은 공감하면서도, 지역의사제 및 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 등의 의사정원 확대는 “근본적 해법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의협은 그 재원을 기존 의료 인프라 강화에 투입할 것을 제안했다. 응급실 ‘뺑뺑이’ 문제 해결과 중증응급 전문의 24시간 대응체계 구축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제도적 기반과 수가 개선 등 구조적 대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비대면진료 제도화에 대해선 강하게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의협은 “비대면 진료는 대면 진료를 대체할 수 없으며 오진 위험성이 높다”며, △대면진료 보조수단 활용 △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