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13.0℃
  • 맑음강릉 15.7℃
  • 맑음서울 14.2℃
  • 맑음대전 14.1℃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5.2℃
  • 맑음부산 19.0℃
  • 맑음고창 15.2℃
  • 맑음제주 17.6℃
  • 구름조금강화 12.9℃
  • 맑음보은 12.1℃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6.5℃
  • 맑음경주시 15.0℃
  • 맑음거제 15.2℃
기상청 제공

10대 소녀 자궁경부염, 10년새 220% 늘어....자궁경부암, 불임 등 원인 될 수 있어

서구화된 식생활과 스트레스, 무리한 다이어트가 원인

자궁경부염이란 자궁입구 즉 자궁경부에 염증이 생기거나 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자궁경부나 자궁경관을 덮고 있는 점막에 발생한다. 보통 원인균으로는 임균(Neisseria gonorrhoeae)이나 클라미디아균(Chlamydia trachomatis)이 많은데, 뮤코퍼스(mucopus)로 불리는 노란색이나 연두색을 띠는 점액화농성 분비물로 분비된다. 하지만 대개는 증상이 없어 나팔관, 난소, 복막 등으로 염증이 번져 골반염으로 악화된 뒤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자궁경부염은 사춘기 이후 모든 연령층의 여성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데, 최근 10대 청소년들의 발병율이 눈에 띄게 증가해 사춘기 소녀들의 건강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통계 자료에 따르면 2005부터 2014년까지 난소종양(낭종),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자궁경부염, 월경장애 등으로 진료를 받은 10대 여성 환자가 해마다 5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10대 환자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여성 생식기질환은 자궁경부염이였는데, 2005 5479명에서 2014년에 220% 늘어난 12415명으로 확인됐다.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학업과 진학 스트레스 증가, 무리한 다이어트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자궁경부염은 성접촉으로 주로 발생하나, 화학적 자극제 노출이나 외상, 잦은 질 세척 등도 자궁경부염을 일으킨다. 또한 평소 생활습관도 자궁경부염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의자에 장시간 앉아 공부하거나 일을 할 경우, 스키니진·레깅스 등 통풍이 제대로 안 되는 옷을 매일 입거나, 면역력이 떨어진 상황에도 유발될 수 있다.

 

자궁경부염 검사는 면봉으로 자궁내경관 분비물을 채취한 뒤 염증을 일으킨 세균이 무엇인지 알아낸 후 염증에 대한 항생제 치료와 헐은 부위에 새살이 돋게 하는 레이저치료, 전기치료 등을 시행한다.

 

조영열 원장(산부인과 전문의)은 자궁경부염은 당장에 위급한 질환은 아니지만, 점차적으로 발적하여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할 수 있고, 생식기능이 완성되는 20~35세 시기에 불임이나 난임등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1년에 한번 정도는 정기검진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행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더불어 초경을 시작한 15~17세는 자궁경부암 백신을 접종하기에 최적의 연령이므로, 백신 접종을 통한 자궁경부암 예방도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임승관 청장 "희귀질환 환자 지원 정책 강화"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11월 14일(금) 경남·울산권 희귀질환 전문기관으로 지정된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방문했다. 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자 진료접근성과 권역 내 희귀질환 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4년부터 전국 13개 시·도에 희귀질환 전문기관 17개소를 지정·운영하고 있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은 2019년부터 희귀질환 거점센터를 운영해왔으며, 2024년부터 경남·울산권 희귀질환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어 권역 내 희귀질환 대응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2023년부터는 희귀질환 진단지원사업을 수행하여 미진단 희귀질환 의심 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진단검사(WGS) 등을 지원함으로써 희귀질환 조기 진단 및 적기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임승관 청장은 희귀질환 전문기관 사업단장 등 병원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사업 운영 현황과 건의사항을 청취하고, 희귀질환 진단지원을 위한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을 점검했다. 또한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내 위치한 '로날드 맥도날드 하우스*'를 방문하여 가부키 증후군** 환우회 가족과 만나 환우와 보호자들의 목소리를 청취하며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가부키 증후군 환우회는 2010년 설립되어 환자, 보호자 및 의료인 등 330명이 참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