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흐림강릉 8.7℃
  • 박무서울 8.6℃
  • 흐림대전 9.4℃
  • 흐림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5.1℃
  • 구름조금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5.4℃
  • 구름많음고창 9.5℃
  • 구름많음제주 13.6℃
  • 구름많음강화 7.5℃
  • 구름많음보은 8.0℃
  • 구름많음금산 9.5℃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많음경주시 11.1℃
  • 구름많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세월호 참사 진도주민 16%, 주민자원봉사자 20%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전남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주연 교수 진도주민 2,298명 설문결과 드러나

세월호 참사 당시 진도주민 16%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앓았으며, 특히 자원봉사 참여 주민 중 20%가 이같은 증세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주연 교수가 세월호 참사 한 달 후인 지난 2014년 5월부터 한 달간 주민 자원봉사자(756명)를 포함한 진도주민 2,289명(남성 1,144명·여성 1,15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밝혀졌다.


이 내용을 담은 논문 ‘세월호 참사동안 주민 자원봉사자들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관련된 요인(Factor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mong community volunteers during the Sewol ferry disaster in Korea)’은 국제학술지인 ‘통합정신의학(Comprehensive Psychiatr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번 조사에서 세월호 참사 이후 사건이 반복적으로 생각나고, 쉽게 놀라는 등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이 나타난 진도주민이 16%인 362명에 달했다.


특히 팽목항서 자원봉사했던 주민 151명(20%)은 뚜렷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보였으며, 전문가 도움을 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일반 주민 보다 훨씬 높았다.


이같은 결과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보통 큰 사건·사고를 당한 피해자에게서 주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주변에서 지켜보거나 도움을 준 사람도 뚜렷한 증세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성별로는 남성 161명, 여성 201명이 증세를 보여,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사람이 전쟁·고문·자연재해·사고 등 심각한 사건을 경험한 후 그 사건에 대한 공포감을 느끼고, 사건 후에도 계속 재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게 되는 질환으로,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 논문의 교신저자인 정신건강의학과 김성완 교수는 “세월호 참사의 충격이 매우 크다보니 희생자 가족을 가까이서 지켜보고, 돕는 상황만으로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이 빈번하게 나타난 점은 주목할 사항이다”고 설명했다.


또 김성완 교수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재난의 피해자 뿐만 아니라 재난 현장의 구조인력이나 자원봉사자들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재난에 노출된 다양한 구성원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돌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참사 당시 현장에서 진도심리지원단장으로 구조대원과 지역주민의 의료지원을 진행했던 전남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진상 교수는 “예고 없이 발생하는 다양한 재난사고의 광범위한 영향을 대비해 정신건강 지원인력과 서비스를 국가와 지자체가 미리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후발의약품 개발 활성화 되나...식약처, 자료보호 기간 종료 의약품 특허정보 공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내 후발의약품의 개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자료보호 및 의약품 재심사기간이 향후 3년(’26~’28) 내 종료되는 507개 품목(중복 포함)에 대해 식약처 의약품 특허목록에 등재된 특허정보(이하, 등재특허 정보)를 11월 25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공개되는 등재특허 정보는 자료보호 및 재심사 종료 품목의 제품명, 업체명, 주성분, 종료일, 등재특허 유무, 등재특허번호, 등재특허 만료일, 생산·수입 실적 등이다. -향후 3년 내 자료보호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 자료보호 및 재심사 대상 의약품에 대한 후발의약품의 품목허가 신청은 해당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가능하며, 업체는 제품 개발을 위한 특허회피전략 또는 특허무효전략 수립 시 공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펙수프라잔 제제, 보툴리눔 제제 등 생산·수입실적 상위 각 5개 품목에 대해서는 등재특허 정보 외에 해당 성분 관련 미등재된 특허정보를 추가로 제공한다. -향후 3년 내 재심사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목 식약처는 이번 정보 제공이 국내 후발의약품의 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내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환경을 조성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만성골수성백혈병,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가능..."유전자 변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가능성 열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와 정유상, 유구상 박사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 기술을 이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에서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항암제 내성 패턴을 모두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 26.7)’에 게재됐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1 융합 유전자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혈액암이다. 이 유전자는 세포의 ABL1 효소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해 암세포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4세대에 걸친 항암제가 개발됐으며, 많은 환자에게서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지속되면 ABL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면 어떤 약에 내성을 보이고 반응하는지 알기 어려워 진료 현장에서 각 환자에 맞는 항암제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기’라는 최신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ABL1 유전자에 생길 수 있는 단일 아미노산 변이 98%(195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