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마약성 진통제의 오해와 진실

상계백병원 혈액종양내과 유영진 교수,암 때문에 통증이 심하다면 마약성 진통제를 주저하지 말아야

폐암이 뼈에 전이가 되어 심한 통증을 느끼는 환자분이 있다.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해 통증을 줄여주고자 했지만 복용하지 않았다. 왜냐고 이유를 물었더니 진통제는 몸에 나빠서 먹지 않았다는 것이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혈액종양내과 유영진 교수(사진)를 통해 마약성진통제는 정말 몸체 나쁜 것인지 알아본다.


많은 사람들이 진통제는 나쁘다고 믿는다. 진통제가 나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통증만 없애주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서 통증이 나타난다는 것은 몸에 심각한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이 신호를 꺼 버리면, 그 심각한 이상이 점점 더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고, 이미 통증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상황에서 아픈 통증을 계속 느낄 필요는 없다.


병원에 가지도 않고, 의사의 진료도 보지 않고, 무작정 진통제만 먹는 것은 해롭지만, 통증의 원인을 알고 의사가 처방한 진통제는 그렇지 않다.


일부 환자는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면, 마약중독이 될까 걱정한다. 그러나 중독은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고 기분이 좋은 환자들에게 생기는 문제이다. 아파서 쩔쩔매다가 진통제를 먹고 통증만 좋아졌는데 중독이 생길 위험성은 거의 없다.


지금부터 진통제를 먹으면 나중에 효과가 없어져서 더 고생할까 걱정하는 환자들도 있다. 그러나 대개의 마약성 진통제는 효과가 없으면 용량을 계속 증가시킬 수 있다. 고용량으로 사용하기에 두통약으로 많이 먹는 타이레놀보다 오히려 안전하다. 나중에 용량을 증가시키면 되니까, 나중 일을 미리 걱정할 필요는 없다.


마약성 진통제는 매일 일정량을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아프기 전에 미리 먹어야 효과도 크고 오히려 진통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아프지 않아도 시간에 맞추어 진통제를 복용하자. 경우에 따라서 갑작스러운 통증에 대한 속효성 약제를 같이 주는 경우가 있다. 이 때에도 장기간 지속되는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고, 갑자기 나타나는 통증에 속효성 약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일부 연구에 의하면, 마약성 진통제를 잘 복용해서 통증이 없어지고 삶의 질이 좋아진 환자들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보다 더 오래 산다는 결과도 있다.


마약성 진통제를 충분히 복용해서 통증을 없애는 것은 쓸데없는 고생을 하지 않는 것일 뿐 아니라 몸에도 더 좋은 일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통증 없는 건강한 삶을 살도록 하자.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식약처, ‘2025 식품안전나라 20초 영상공모전' 개최...4건 우수작 선정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와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국민을 대상으로 ‘2025 식품안전나라 20초 영상공모전’을 개최하고 9월 30일 4건의 우수작을 선정했다. 이번 공모전은 생성형 AI와 식품안전나라 캐릭터인 ‘미어로’를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식품안전나라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숏폼 형태의 모바일 친화적 콘텐츠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대상 수상작인 ‘밥상 히어로즈’ 팀의 ‘우리 가족의 안전한 식탁’과 최우수상 수상작인 강동우’님의 ‘국민의 식탁을 설계하는 곳, 식품안전나라’는 식품 알레르기와 같은 일상 속 식품안전에 관한 고민을 식품안전나라의 식품·수입식품·건강기능식품 정보, 우리동네 정보 및 공공데이터 활용 기능을 통해 해결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우수상 수상작인 ‘정지윤·김수현’님의 ‘오늘은 안전하게, 내일은 건강하게’와 ‘박현수’님의 ‘내손안에 볼 수 있는 신뢰’는 식품안전나라가 제공하는 식품안전정보의 중요성을 표현하고, ‘내손안 식품안전정보’ 앱을 통해 편리하게 식품안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번 공모전에서 수상한 영상물은 추석 명절을 맞이하여 유동 인구가 많은 서울역 맞이방에서 10월 3일부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BRF2 변이로 인한 질병 발생 기전 세계 최초 규명..."희귀질환 극복 실마리 제시" 원인을 모르는 면역결핍, 발달장애, 림프종을 앓아 왔던 환자와 가족이 16년만에 유전적 원인을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BRF2 유전자’와 희귀질환의 연관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발병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는 원인이 불명확해 진단과 치료가 어려웠던 환자들에게 치료의 실마리를 제공하고, 향후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이승복 교수, 서울의대 권해윤 학생)와 중앙대 생명과학과 김근필 교수(윤서빈 박사) 공동 연구팀은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와 가족의 유전체 및 세포 데이터를 분석하고, BRF2 변이가 면역결핍 및 발달장애 희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해 30일 발표했다. BRF2는 세포의 생존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다. 다른 유전자들과 함께 복합체를 이루어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셀레노시스테인 tRNA(SeCys tRNA) 생성을 유도한다. SeCys tRNA를 기반으로 합성된 단백질들은 활성산소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산화-환원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BRF2 관련 질환에 대해선 그동안 연구가 드물었고, 이 변이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