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새끼손가락만 빼고 손끝이 저리다면, ‘손목터널 증후군’ 의심...50~60대 여성 환자 절반가량 차지

자면서 아픈 손목에 부목 치료만 해줘도 좋아질 수 있어

손이 저리면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부터 목디스크까지 다양한 질환의 전조증상은 아닐까 걱정하기 쉽다그런데 만약 손끝이 저릿저릿한 것 같기는 한데자세히 느껴보면 새끼손가락은 좀 정도가 덜한 것 같으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손목 앞쪽 통로 좁아지며 무감각저리는 증상 발생

손목터널 증후군은 손목 앞쪽의 작은 통로인 수근관이 좁아져 여기를 통과하는 정중신경이 눌리면서 정중신경이 감각을 담당하는 부위에 무감각이나 저린감 등의 이상감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잘 때 유독 저린감이 심해져 잠에서 깬다든지손목을 한 자세로 오래 유지했을 때손가락 끝에 저린감이 생기는 것도 손목터널 증후군의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손목터널 증후군을 오래 방치하면 엄지손가락 쪽 근육이 위축되어 손에 힘이 잘 안 들어가는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50~60대 여성 환자가 절반가량 차지

남자보다 여성 환자나이대는 50~60대에서 많이 발생한다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손목터널증후군(질병코드 G560)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50~60대 여성 환자는 72,710명으로전체 환자(164,307대비 약 44%를 차지했다이에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구기혁 교수는 아무래도 가사일 등 손목을 쓰시는 일이 많은 것이 이유일 수 있다라며 손목터널 증후군은 원인이 불분명하다통풍이나아밀로이드증석회화 등으로 인해서손목 터널 안에 덩어리가 발생해서 정중신경이 눌리는 경우도 가끔은 있지만 매우 드물다이외에도 당뇨신기능 저하 같은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손목터널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라고 설명했다.

 

집에서 자가진단 검사로 쉽게 확인 가능

가장 쉽게 하실 수 있는 자가진단법으로는 팔렌검사(Phalen’s test)가 있다양 손등을 맞대어 ㄱ자로 손목 굽힌 자세를 1~2분가량 지속했을 때엄지에서 네 번째 손가락까지 이상감각이 느껴지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그런데 이보다 더 정확하다고 알려진 검사법이 있다정중신경 압박 검사이다손목터널이 위치하는 부위를 30초 정도 꾸욱 누르고 있을 때손가락 끝에 이상감각을 느낀다면 손목터널 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다자가검진 결과 의심되어 병원을 방문하면 신경전도 검사와 근전도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다초음파 영상도 진단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검사이다.

 

초기에 발견하면 잘 때 손목 고정하는 보조기만 해줘도 도움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 단계에는 평소 손목 사용을 줄이고잠잘 때 손목을 고정해 주는 보조기 등 비수술적 치료를 먼저 하게 된다이와 함께 진통소염제 복용도 도움된다.

중등도 증상일 경우스테로이드 주사가 가장 많이 쓰이는 비수술적 치료법이다대개 주사 치료 후 1달 안에 뚜렷한 증상 호전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수술은 저린감 등 증상이 심해 버티기 힘든 경우손목터널증후군이 발생한 지 오래되어 엄지두덩의 근 위축이 진행되고 있거나손가락의 감각 저하가 심할 경우 고려할 수 있다.

 

평소 손목 아껴쓰기&운동 및 스트레칭으로 예방해줘야

가장 좋은 방법은 손목을 쉬게 해주고 아껴주는 것이다구 교수는 실제로 식당 사장님 등 힘든 일을 하시면서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 고생하시다가작업을 바꾸면서 자연스레 좋아지는 경우도 있다라고 손목 휴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손목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좋다논문에서도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첫 번째 운동법은 신경 활주 운동이다손가락을 다양하게 쥐었다 폈다 하는 5가지 자세를 5초 정도 반복해주면 되는 간단한 운동이다두 번째는 수근관 증후군 스트레칭이 있다손을 벽에 댄 상태에서, 30초 정도 엄지 아랫부분을 당겨횡수근인대를 늘려 스트레칭한다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운동법을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어떤 운동이라도 내측상과염 등 여러 팔 질환 예방에 도움되기 때문에 틈나는 대로 하면 좋다.


잠 잘 때 손목 고정 보조기 사용하면 효과
시중에 손목보호대버티컬마우스 등 손목 건강을 위한 다양한 제품이 나와있는데아직 이런 제품들이 손목터널 증후군 증상을 좋게 만든다는 근거는 부족하다하지만보호대 같은 경우는 손목을 따뜻하게 유지해줄 수 있고버티컬 마우스는 손목 척측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어 더 편안함을 느낀다면 사용해도 괜찮다하지만손목 터널 증후군이 특별히 걱정된다면 중립 자세로 단단하게 손목을 고정해 줄 수 있는 보조기를 잠잘 때 착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의협, 응급의료법 개정안 “신중한 접근 필요” 대한의사협회는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2211254)’에 대해, 의료 현장의 현실과 행정 부담을 고려할 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해당 개정안은 응급의료기관이 운영 상황과 수용능력 등의 정보를 중앙응급의료센터에 통보하고, 이를 응급의료정보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사협회는 개정안의 취지에는 공감하나, 실시간 정보 제공을 의무화하고 위반 시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식은 '과도한 행정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병상 가동 현황, 전문인력 가용 여부, 특수 장비 운용 등은 수시로 변동되며, 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시스템 등 기반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방이나 중소 의료기관의 경우 전담 인력조차 확보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행정적 지원 없이 의무만 부과하는 것은 실질적인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진료 가능 여부를 단순 수치로 판단하기 어렵고, 정보 입력 착오나 갱신 지연 등으로 인한 과태료 등은 현장의료진의 위축과 방어적 진료를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의협은 수용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