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다이이찌산쿄주식회사(대표이사: 김대중)는 국내 최초로 허가된 3제 고혈압 단일제형복합제인 세비카 에이치씨티® (성분명: 암로디핀 베실산염, 올메사르탄 메독소밀,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의 리얼월드 연구인 RESOLVE-PRO 결과를 공개하며 한국인 본태성 고혈압 환자에서 3제 단일제형복합제(single-pill combination) 사용에 대한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고혈압학회 공식저널인 Clinical Hypertension 온라인판에 11월 1일자로 게재되었다. 이번 RESOLVE-PRO 연구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 본태성 고혈압 진단을 받은 후 세비카 에이치씨티®로 치료를 시작한 국내 55개 기관의 총 3,75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2개월까지의 혈압의 변화와 목표 혈압 도달률을 관찰한 전향적, 다기관 관찰 연구다. 연구의 1차 평가 변수는 기저 대비 6개월 시점에서의 평균 수축기혈압 변화였으며, 2차 평가 변수는 12개월까지 기저 대비 각 평가시점(3개월 간격)에 관찰한 평균 수축기혈압 및 이완기혈압 변화와 목표혈압(<140/90 mmHg) 도달률, 연령 및 위험요인(당뇨병,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S-아데노실-L-메티오닌황산토실산염’ 성분 제제에 대한 제약업체의 임상시험 재평가 결과, 해당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은 확인됐으나 ‘활동성 퇴행성 관절증’의 유효성은 입증하지 못해 해당 질환에 대한 사용 제한을 11월 24일 권고했다. 식약처는 앞서 ‘우울증’과 ‘활동성 퇴행성 관절증’에 사용되는 ‘S-아데노실-L-메티오닌황산토실산염’ 성분 제제의 효능·효과 중 ‘우울증’에 대해서는 유효성이 입증됐지만, ‘활동성 퇴행성 관절증’에 대해서는 유효성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임상시험 재평가를 실시했다. 식약처는 국내・외 사용현황, 대체의약품 등에 대한 검토와 전문가 자문 결과를 토대로 해당 효능․효과를 신속하게 삭제 절차를 진행 할 예정이다. 아울러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는 ‘활동성 퇴행성 관절증’ 환자에게 대체의약품을 사용해 줄 것을 요청하고, 이미 해당 성분제제를 복용하고 있는 ‘활동성 퇴행성 관절증’ 환자들에게는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 대체의약품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서울대병원 의료진 5명(순환기내과 이승표·이소령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한원식 교수, 병리과 박성혜 교수, 흉부외과 김경환 교수)가 지난 23일 개최된 ‘2021년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 정부포상’ 시상식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 상은 보건의료기술진흥에 크게 기여한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육성·진흥 부문에서는 서울대병원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정착과 국내 의료정보 분야에 임상가로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김경환 교수가 수상했다. EMR 인증제 시범사업, 진료정보교류 확산 및 고도화 사업을 주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김 교수는 국내 최초로 암정밀의료플랫폼 사이앱스(Syapse)를 도입했으며, 빅데이터 시대 다양한 연구자를 위한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에 기여했다. 또한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 기반 구축 사업을 주도하여 임상시험의 고도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김 교수는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환자와의 소통을 극대화해 효율적으로 진료할 수 있는 첨단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의료와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해 환자 맞춤형 치료에 있어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도록 꾸준히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우수연구 부문에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정승용) 신경과 이지영 교수(서울의대 신경과학교실)·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신철민 교수(서울의대 내과학교실) 공동 연구팀이 담낭에서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하는 담낭절제술이 향후 파킨슨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파킨슨병은 뇌신경세포의 퇴행으로 인해 강직, 서동증, 떨림 등 운동장애가 나타나며 서서히 보행장애가 진행돼 일상생활에 큰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주로 노년층에서 발병해 인구가 고령화된 현대사회에 들어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파킨슨병의 병태생리학적 발병기전은 여러가지가 제시되어 왔는데, 일부는 단일 유전자 변이로 인해 가족성으로 발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비유전성이므로 다양한 기전의 영향으로 인해 복합적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보라매병원 신경과 이지영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신철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익명화된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숭실대학교 한경도 박사팀과 함께 지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 16만 1천 838명과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29만 6천 135명을 비교 분
㈜휴온스글로벌(대표 윤성태)의 의료기기 자회사들이 해외 시장 개척에 집중하고 있다. ㈜휴온스메디케어(대표 이상만)와 ㈜휴온스메디컬(대표 이승용)은 지난 15일부터 나흘간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의료기기 전시회 ‘메디카 2021(MEDICA 2021)’에 참가해 소독∙멸균부터 에스테틱, 치료를 아우르는 자체 개발 의료기기들을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휴온스메디케어의 공간멸균기 ‘휴엔 IVH ER’와 휴온스메디컬의 여드름 치료용 의료기기 ‘더마 아크네’가 해외 바이어 등 참관객들의 눈길을 끌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휴엔 IVH ER은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아 더욱 중요해진 일상 속 감염 예방을 위한 제품이라는 평을 받으며 바이어들의 문의가 이어졌다. 휴엔 IVH ER은 에어쿠션 기술이 과산화수소멸균제를 미립자화한 후, 열풍 증발로 멸균제를 곳곳에 퍼뜨려 각종 바이러스(사스,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 등) 뿐 아니라 MRSA, 박테리아 포자까지 사멸시키는 공간멸균기다. 기기 사이즈가 작고, 멸균 처리 속도도 빨라 구급차, 음압차량 등 좁은 공간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멸균제가 멸균 후 물과 산소로 분해돼 안전성과 편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이문성 교수가 제41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장에 취임했다고 24일 밝혔다. 임기는 2022년 11월까지 1년간이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는 1976년에 창립해 현재 회원 9천여 명에 달하는 국내 의학 학술단체로,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각종 지침을 개발해 소화기 내시경 분야 발전을 이끌어왔다. 이문성 신임 회장은 소화기내과 전문의로 소화기암의 내시경적 치료술을 선도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9년 ‘대통령 표창’을 수상한 바 있으며, 대한내과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 등에서 왕성한 학술 활동을 이어 왔다. 또,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진료과장 및 제8~9대 병원장을 역임하며 경기 서북부권 보건의료 환경 개선에 크게 이바지했다. 이문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장은 “현재 내시경은 각종 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될 정도로 검사 및 치료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장비로 자리 잡았다”며 “소화기질환은 국민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앞으로 소화기 내시경 분야 연구·진료·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학회 임원진 및 회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송영구)이 최근 침샘 내시경 시술 500례를 달성하고 지난 23일 기념행사를 가졌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임재열·박영민 교수팀은 지난 2017년 침샘(타액선) 내시경 클리닉을 열고, 침샘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내시경 시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오고 있다. 침을 분비하는 침샘·침샘관에 석회화 물질인 ‘타석’이 생겨서 통로를 막게 되면 침샘 부위가 붓고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타석증’이라고 한다. 침샘을 포함한 두경부(頭頸部)는 구조가 복잡하고 공간이 좁아 수술이 쉽지 않다. 이 때문에 그동안 타석증의 치료는 침샘을 제거하는 수술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침샘 내시경의 발달하여 구강 안에 내시경으로 접근하여 타석만 제거하는 방법이 등장했다. 침샘 내시경은 지름이 1.3mm 정도인 미세한 내시경을 침샘관 안에 삽입해 직접 내부를 보며 진단·치료를 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진단과 함께 치료도 동시에 가능하다. 무엇보다 침샘을 제거하지 않고 타석만 제거할 수 있다. 기존에는 확인이 어려운 침샘관 협착이나 용종, 만성 염증 등의 진단과 치료에도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의 연구에 따르면 침샘
단계적 일상회복이 위협받고 있다. 코로나19 신규확진이 24일 ㅇ시 기준 사상 첫 4천명을 넘어섰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11월 2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586명, 사망자는 3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363명(치명률 0.79%)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088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11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25,065명 (해외유입 15,574명)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의약품 정보 누리집 ‘의약품안전나라’(https://nedrug.mfds.go.kr)에서 국내·외 의약품 등의 제조소 위치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11월 24일부터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 제공으로 소비자는 복용하는 의약품 등이 어디서 제조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국내·외 제조소 위치 정보는 ‘의약품안전나라’ > ‘의약품등 정보’ > ‘업체정보’, ‘의약품등 해외제조소 등록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김치, 연어와 같은 다소비 수입식품의 해외 제조업소 정보*를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세계지도 기반 원클릭 통계’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등록된 해외 제조소 정보는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API(이용자가 데이터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형태로 공공데이터 포털(https://www.data.go.kr)에 공개한다. 이번에 제공하는 개방·공유된 의약품 등 제조소 정보는 제약·유통기업의 공급망 확보, 판로 개척, 물류관리 등 민간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앞머리를 짧게 낸 뱅헤어는 동안으로 가는 치트키다. 동안으로 보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 주름이 없는 피부 외에도 둥근 얼굴형과 이마에서 미간, 미간에서 코끝, 코끝에서 턱끝까지의 비율(1:1:0.8) 등의 조건이 되면 이상적인 동안 얼굴이다. 얼굴의 길이가 짧을수록 좀 더 어려보이는데 앞머리, 특히 뱅헤어가 있으면 이마를 자연스럽게 가리면서 얼굴이 짧아보이는 착시효과가 일어난다. 동안이 되기 위해 일부러 앞머리를 만드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면접이나 스피치 등 중요한 일정을 위해 앞머리를 없애거나 옆으로 넘기는 경우도 쉽게 볼 수 있다. 너무 어려보이면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고, 깔끔하고 단정한 인상을 주기 위해서다. 취준생 커뮤니티 내에서도 증명사진 촬영이나 면접에서 또렷하고 신뢰도 높은 첫인상을 주기 위해서는 앞머리를 없애고 이마를 드러내는 것이 낫다는 의견을 다수 볼 수 있다. 첫인상이 당락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잡코리아가 2018년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인사 담당자의 95.7%가 면접에서 받은 인상을 평가에 반영하며, 면접에서 평균 10분 이내에 결정되는 면접자의 첫인상이 합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