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감염통제 저널(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https://www.ajicjournal.org/article/S0196-6553(20)30209-1/fulltext ]이 최근 온라인에서 발표한 지침서에 따르면, 손 씻기와 같은 일상적인 위생 관행을 개선할 경우 일반적인 감염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확인된 증거에 따르면, 감염 위험이 최고 50% 줄어든다고 한다. 코로나19 확산을 지연시키기 위해 더 많은 위생 노력이 시행되는 가운데, GHC(Global Hygiene Council)의 공중위생 전문가들은 감염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위생 행동 개선에 훨씬 더 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GHC를 대신해 작성된 이 지침서는 여러 가지 사항을 증명하는 증거를 탐색한다. 가정과 지역사회 상황(직장, 대학, 학교, 유아원, 대중교통 및 쇼핑과 여가 활동)에서 일상적인 위생 조처를 시행할 경우, 전염성 미생물의 위협을 억제하고 지연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몇몇 선행 연구의 결과, 손과 접촉이 잦은 표면을 통해 유해한 세균과 바이러스가 감염 환자로부터 다른 사람으로 전파될
세계적인 바이오의약품 계약 개발 및 제조 조직(CDMO)인 AGC바이오로직스(AGC Biologics)가 임상 단계 바이오의약품 회사로서 파트너인 파론(Faron)파마슈티컬스(AIM: FARN, 퍼스트노스: FARON)가 개발한 치료제 클레브젠의 상업 제조사로 선정되었다. 클레브젠은 클레버-1 양성 종양 관련 대식세포(TAM)들을 표적으로 한 뒤 면역 기능을 크게 억제하는 이 M2 대식세포들을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M1 대식세포로 바꿔주는 인체용 안티-클레버-1 항체이다. 대식세포를 목표로 하는 이 독특한 면역-종양 전환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다른 암 치료체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파론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마틴스(MATINS) 실험에서 나온 데이터에 의하면 클레브젠은 안전하고 인체가 잘 견디기 때문에 기존의 암 치료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저위험의 후보 의약품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클레브젠은 기타의 모든 치료 방법을 다 사용했던 환자들에 초기 임상 효과가 보였다. 파론 CEO 마르쿠 얄커넨 박사는 "클레브젠의 상업 제조를 목표로 이번에 AGC바이오로직스와 협업을 시작하게 되어 기쁘다"면서 "이를 통해 유연하면서도 비용 효과가 큰 제조
디지털 세포 바이올로지 업계 선두를 달리는 버클리 라이츠(Berkeley Lights, Inc.)는 오늘, 옵토 셀 테라피 개발 1.0 (Opto Cell Therapy Development 1.0) 워크플로를 강화하는 새로운 기능들을 론칭했다. 해당 워크플로는 비컨(Beacon®)과 라이트닝(LightningTM) 시스템들에서 실행할 소프트웨어 기능, 시약, 프로토콜들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새로운 기능들을 통해 연구원들은, 이제 단 몇 일 만에 수천 개의 개별 T세포들에 대해 여러 기능적 어세이(분석)들을 수행할 수 있어 다운스트림 게놈 어세이들을 위해 살아있는 세포들을 복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클리 라이츠의 고객들은 T세포 표현형과 기능을 개별 세포들의 유전자형에 연결해 T세포 기능 어세이 프로세스를 하나의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통합할 수 있다. T세포 기반 요법들은 암 치료에 대한 큰 가능성을 보여 주긴 했지만 T세포들에 의한 암성 종양들을 죽이는 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복잡한 절차들인 여러 세포 간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스크리닝 하는데 의존하기 때문에 해당 요법을 개발하는 것은 어렵고 까다로운 일이다. T세포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현재의 기술들로
머크가 자사의 크리스퍼-크롬 (CRISPR-chrom) 기술이 미국특허청 (USPTO)으로부터 특허를 받았다고 7일 발표했다. 이로써 머크는 크로마틴 조절 펩타이드를 크리스퍼 단백질과 융합시키는 기술 특허를 지닌 유일한 기업이 되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유전자가위가 염색질을 통과해 게놈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우딧 바트라 머크 보드 멤버 겸 생명과학 사업 CEO는 “이번 특허는 머크가 미국에서 획득한 두 번째 크리스퍼 특허이자 전세계 23번째 크리스퍼 관련 특허”라면서 “머크는 계속해서 혁신을 견인하고 전세계 과학자들과 협력해 가장 앞서있는 유전자 편집 옵션으로 이들의 연구를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시력 과학자 다섯 명이 새롭게 발표한 피어 리뷰 논문은 유해한 신화와 잘못된 정보에 대처하고 그것들을 바로잡기 위한 신속한 방안으로서 세계적인 COVID-19 /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기간 중에 콘택트렌즈 착용이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재확인하고 있다. 콘택트렌즈앤드앤터리어아이 지에 게재된 "COVID-19 팬데믹: 콘택트렌즈 전문가들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실들" 이라는 논문은 콘택트렌즈 혹은 안경을 착용하는 모든 사람들에 아래와 같은 다섯 가지의 중요한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4월 8일, CDC는 COVID-19 팬데믹 기간 중의 콘택트렌즈 착용에 대하여 업데이트된 지침을 발표했으며, 콘택트렌즈앤드앤터리어아이 지의 논문이 발표한 핵심적인 내용들을 추가적으로 재확인했다. 또한 CDC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안경과 콘택트렌즈는 개인 보호 장구(PPE)로 승인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워털루대학 시력연구교육센터(CORE) (캐나다, 온타리오주) 원장이며 본 논문의 대표 저자인 린든 존스 박사는 "수 많은 사람들이 특별히 전세계 성인 세 명 중 약 두 명이 콘택트렌즈 혹은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COVID-19가 눈 건강에 어
9일, 세계 굴지의 데이터 및 분석기업 Excelra가 코로나19 신약 재창출 데이터베이스 (COVID-19 Drug Repurposing Database(https://www.excelra.com/covid-19-drug-repurposing-database/)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 '개방-접근(open-access)' 데이터베이스는 임상 전, 약물동력학, 약력학 및 독성 특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코로나19의 빠른 치료제 개발을 위해 2상이나 3상 임상 시험에 신속하게 투입될 수 있는 '사전 승인' 저분자의약품 및 생물의약품을 선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이 데이터베이스는 코로나19 약물 발견과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임상, 임상 전 및 시험' 단계에 있으며, 가능성이 높은 약물 후보에 관한 정보도 포함한다. Excelra 제약분석 선임부사장 Dr. Nandu Gattu는 이처럼 풍부한 정보를 암시하며 "이 코로나19 데이터베이스는 약물, 질병, 표적 및 작용기제를 포괄하며, 참조문헌이 확실한 문헌 외에도 수많은 간행물, 보고서, 데이터베이스 및 지식 저장고에 흩어져 있는 중요한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제공한다"라며 "자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에피백스(EpiVax, Inc.)는 최첨단 연산 툴들을 사용해 HCW(헬스케어 직원들)이 코비드-19 백신 후보인 EPV-CoV19에 대한 임상시험을 6개월 내에 마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에피백스는 이 파트너십 환경에서 자격을 갖춘 개발 도상국들에 무료로 라이선스를 제공한다는 약속과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자금을 크라우드 소스 하고자 가이아 백신 재단(GVF)과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EPV-CoV19는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팹타이드 기반의 에프토프 구동 백신이다. 에피백스의 전문지식을 적용하면 T세포 매개 면역 반응을 유도해 HCW에 면역 시스템 "본체 갑옷(Body armor)"을 제공함으로써 질병과 사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모든 순환 SARS-CoV-2 게놈들을 나타내는 시퀀스들을 선택할 수 있었다. EPV-CoV19는 자금이 모금되면(175만 달러) 미국 임상시험들에 참가할 것이다. 비영리 단체인 GVF는 민간인과 재단들이 EPV-CoV19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GVF의 사명은, 소외 계층들에게 불균형하게 악영향을 미치는 전염병의 발생을 줄이고 개발 도상국들에서 비영리 기반으로 배
국제적인 임상시험 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 CROMSOURCE(본사: 이탈리아 베로나)가 유럽의 한 제약회사를 대신해 자사의 첫 번째 코로나19 시험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험은 이탈리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CROMSOURCE는 미국과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추가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CROMSOURCE 설립자 겸 CEO Dr. Oriana Zerbini는 "코로나19 팬더믹은 세계 보건과 경제 분야에 전례 없는 위기를 야기했다"라며 "자사는 지난 22년 동안 생명을 개선하고 구하는 데 중요한 사업을 수행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특히 이번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라며 "현재 세계가 당면한 상황에 겸허한 자세를 갖게 된다. 앞으로 세계 모든 시민이 예전과 같은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CROMSOURCE COO Kerry Dyson은 "코로나19 발생 후 최신 규제 안내에 따라 효과적으로 프로젝트 관리를 이어가고, 필요에 따라 혁신적인 접근법을 시험 관리에 통합하고자 즉각적으로 다학제 간 운영대책위원회를
이온패스(IONpath, Inc.)가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ristol Myers Squibb)와 공동으로 네이처(Nature) 학술지인 래버러토리 인베스티게이션(Laboratory Investigation)에 논문을 게재했다. 해당 논문의 제목은 종양 유형들 전반에 걸친 종양 미세환경의 특성화를 위한 다중화된 이온빔 이미징(Multiplexed Ion Beam Imaging (MIBI) for Characterization of the Tumor Microenvironment Across Tumor Types)이다. 단일 조직 섹션에서 한번에 다수의 세포 유형들을 차별화 함으로써 종양 내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들을 이해하는 능력은, 현존 기술력에 의해 제한 되었었다. 이 논문의 저자들은, 미비(MIBI™, 다중화된 이온빔 이미징)가 공간관계 분석과 함께 세포 표현형 식별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종양 유형들의 특징을 어떻게 자세하게 설명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은 이온패스에 50종의 종양 생검들로부터 샘플들을 제공했으며, 여기에는 각각 특정 금속 동위원소로 표시된 15개의 항체들의 패널이 동시에 염색되었다. 종양 미세환경의
중국을 제외한 해외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한국과 일본에서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퇴치는 세계 공통의 책임이 됐다. 창저우 국가첨단기술지구(Changzhou National Hi-Tech District)가 한국과 일본에 마스크 100,000장을 기부했다. 이는 최대한 일찍 코로나19를 제어하도록 양국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미쓰비시, 스미토모, 덴소를 포함한 150개 일본 투자기업, 그리고 현대와 경신공업을 포함한 49개 한국 기업이 창저우 국가첨단기술지구에서 성공적으로 번창하는 사업을 구축했으며, 창저우 국가첨단기술지구의 경제와 사회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