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아르코)는 오는 9월 21일(일)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뉴서울CC 18번 홀에서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ART FOR;REST FESTIVAL, 이하 아포페)’의 3회차 공연을 개최한다. ‘아포페’는 시민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즐기고 후원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된 국내 유일의 문화예술 후원 페스티벌이다. 올해는 9월 6일(토) 서울어린이대공원과 9월 13일(토)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을 거쳐 9월 21일(일) 뉴서울CC에서 한 달간 이어온 ‘아포페’의 여정을 마무리한다. 마지막 3회차 무대는 일반 공연장이 아닌 뉴서울CC 18번 홀의 탁 트인 초록 필드와 석양을 배경으로 한 이색적인 야외 음악회로, 지난해 같은 장소에서 열린 ‘2024 예술나무 콘서트’의 감동을 다시 느낄 수 있도록 마련됐다. 3회차의 메인 공연인 ‘한정림의 음악일기’는 뮤지컬 ‘캣츠’, ‘하데스타운’ 등 국내외 유명 작품의 음악감독을 맡아온 한정림 음악감독이 19년째 이어오고 있는 콘서트다. 한정림 음악감독은 지난해 아동·청소년 전용 공연장 ‘아르코꿈밭극장(옛 학전소극장)’ 조성을 위한 ‘꿈밭펀딩’에 기부한 데 이어 올해도 출연료 일부를 기
여름철 강이나 바다에서 즐기는 수상 스포츠는 사고와 부상의 위험도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수상 스포츠는 대부분 격렬한 신체활동이 요구되며, 불안정한 자세에서 균형을 잡고 버텨야 하는 경우가 많아 관절과 근육에 쉽게 무리가 간다. 또한, 빠른 속도와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충돌 등으로 인해 근육 및 인대 손상, 탈구, 파열 등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해양경찰청·해양수산부의 '2024년 해양사고 통계'에 따르면 전체 해양사고 총 3,255건 중 수상 레저 기구 관련 사고는 607건으로 약 17.9%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23년 한국소비자원의 ‘수상 레저 안전사고 분석(2020~2022)’ 결과, 수상 레저 사고는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고, 수상스키와 서핑으로 인한 부상이 전체의 68.7%를 차지했다.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김태섭 원장은 “물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특정 자세는 힘을 주게 되는데, 긴장 상태에서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근육이나 관절에 부상을 입기 쉽다”라며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종목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수준에 맞는 운동을 선택해 올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수상 스포츠 관절 부상 흔하다 수상스키와 웨
보건복지부 (장관 정은경)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김헌주)는 지난12일 소노펠리체 컨벤션 서울 삼성동에서 2025 대학생 절주응원단 네트워크 데이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여름방학을 맞아 올해 처음으로 전국의 절주응원단이 한자리에 모여 교류하는 자리로 팀 간 유대감을 형성하고 활동 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팀 단합 활동과 더불어 활동 선서 및 자기소개, 음주폐해예방 교육, 역량 강화 교육 인공지능 기반 영상 제작, 팀 단합 프로그램 등 역량 강화 교육도 함께 진행됐다. 올해 절주응원단 공식 활동 표어는 ‘건강한 청춘 절주로 완성되다’로 대학생의 열정과 패기를 바탕으로 대학과 지역사회에 절주 실천 문화를 확산하고자 하는 포부를 담고 있다. 또한 ‘건강에 안전한 음주는 없다’라는 핵심 메시지를 함께 전달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25개 대학에서 총 30팀 255명의 대학생이 절주응원단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국민 인식 개선과 정책 제도 홍보를 위한 다양한 현장 및 온라인 활동을 통해 절주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음주폐해예방 홍보의 신규 캠페인인 무음모드온을 지역사회에 확산하고 국립암센터와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한 음주 예방 가이드라인을
암젠코리아(대표 신수희)는 서울시립과학관(관장 유만선)과 함께하는 아동·청소년 생명과학 교육 프로그램 '그로우 업, 바이오업(Grow up, Bio up) 시즌 5(이하 그로우 업, 바이오 업)가 지난 10일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고 밝혔다. 올해로 5주년을 맞은 ‘그로우 업, 바이오 업’에는 초등학교 4학년 이상 아동·청소년 및 가족 등 총 3,369명이 참여했다. 매년 접수 시작과 동시에 마감될 만큼 꾸준한 관심과 신뢰를 얻고 있는 가운데, 이번 시즌에도 높은 교육적 몰입도와 현장 반응으로 그 영향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대표 프로그램인 과학 수업 <내 몸 어디까지 알고 있니?>는 전문 실험 장비와 생물학적 시료를 직접 다뤄보며 생명과학을 실습 중심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양 뇌, 돼지 심장과 허파 등 동물의 장기를 해부하며 인체를 탐구하는 Body 시리즈를 비롯해, 세포 및 염색체를 관찰하는 Cell 시리즈, DNA 전기영동, 제한효소 실험, PCR 수행 등 분자생물학 중심의 DNA 시리즈까지 평소 접하기 어려운 생명과학 실험들이 다채롭게 진행됐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원장 양재욱)은 8월 8일(금) 여름방학을 맞아 병원 구성원의 자녀를 초청해 병원 투어와 다양한 의료 직종을 체험할 수 있는 ‘제3회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행사는 부산백병원 조직문화개선 프로젝트 팀 ‘화이트랜드’가 주최했으며,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높이고, 자녀들에게 병원이라는 공간과 부모님의 직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마련됐다. 총 63명의 구성원이 신청한 가운데, 추첨을 통해 36명의 초등학생 자녀가 선정되었으며 참가 학생들은 학년별로 팀을 나누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간호 ▲진료 ▲재활 ▲진단검사 ▲영상의학 등 총 5개 파트로 구성됐으며, 심폐소생술 교육, 수술 전 무균 손씻기와 상처 드레싱 체험, 손가락 보조기 제작, 현미경으로 혈구 및 균 관찰, 혈액형 검사, MRI 장비 견학 등 다양한 의료 직종과 현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은성의료재단 좋은삼선병원이 12일 독일 지멘스사의 최신 3.0T MRI(자기공명영상) 개소식을 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3.0T MRI 도입으로 좋은삼선병원은 모두 3대의 MRI를 운영하게 됐다.이번에 도입한 마그네톰 루미나(Magnetom Lumina) 3.0T MRI는 국내 최초 AI 위치 기반 시스템을 탑재하고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최첨단 고성능 장비다. 무엇보다 AI 기반 완전 자동화 솔루션을 통해 촬영시간을 대폭 줄이고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진단 영역도 대폭 확장돼 뇌졸중 노종양 등 중추신경계 질환과 간 담도 체장 등 복부 장기, 허리 무릎 어깨 등 근골격계 이상에 대한 정밀 진단이 가능하다. 특히 유방암 고위험군 여성의 미세 병변까지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킴스제약(대표이사 김승현)이 자사의 혁신 신약 ‘시너지아정을 모방한 제네릭 제품의 특허 침해'에 대해 강경한 법적 대응 방침을 밝혔다. 이번 소송은 P사 제네릭이 ‘시너지아정’의 핵심 특허를 침해했다고 킴스제약이 판단해 제기됐다. 현재 특허심판원에서 청구에대한 심리가 진행 중이며, 특허 권리에 대한 침해가 인정될 경우 해당 제네릭의 판매는 불가능해질 전망이다. 킴스제약 관계자는 “오랜 연구와 개발 끝에 탄생한 ‘시너지아정’의 특허 침해는 당사의 권리를 넘어 제약 산업 전체의 혁신을 저해하는 심각한 행위”라며 “이번 심판을 통해 지식재산권 존중 문화를 확립하고 혁신 신약 개발의 가치를 높이는 선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킴스제약은 앞으로도 ‘시너지아정’의 독점권을 철저히 수호하며, 혁신 신약의 가치를 확고히 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기업 역할을 지속할 계획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주최하고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노연홍)가 주관하는 ‘국제 GMP 규정 동향 분석 기반 무균의약품 제조·품질관리 세미나’가 오는 9월 11일 노보텔 엠버서더 서울 강남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는 PIC/S GMP Annex 1 개정과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에 관한 규정’ 內 별표1(무균의약품 제조)이 개정됨에 따라, 무균의약품 제조소 종사자들이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전문가인 Dr. Ingrid Walther를 초정해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이다. 연사는 Fresenius Kabi AG와 Pharmaplan GmbH에서 연구개발·제조 및 품질 GMP 책임자를 역임했으며, EU 및 FDA GMP 규정 컨설팅을 포함하여 40여 개국 400회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다양한 경험을 겸비하였다. 이날 오전 세션에는 ▲Annex1 Changes Future Sterile Manufacturing – A brief summary and overview ▲Contamination Control Strategy – Background and Targets ▲Introduction to a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팀(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유승협 교수, POSTECH 한세광 교수, ㈜ PHI 바이오메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한 세계 최초의 무선 콘택트렌즈 기반 웨어러블 망막 진단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별도의 장비 없이 렌즈 착용만으로도 망막전위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기존 복잡한 안과 진단 환경을 획기적으로 간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망막전위도(Electroretinography, ERG)는 망막의 기능을 확인하는 안과 진단법으로, 망막이 빛 자극에 반응해 만들어내는 전기 신호를 측정한다. 이 검사법은 유전성 망막질환 진단, 백내장 등 수술 전 예후 평가 등 다양한 안과 검사에 활용된다. 기존 ERG는 고정형 대형 ERG 검사기 장비를 이용해 어두운 방안에서 환자가 눈을 뜨고 정지한 상태로 검사를 받는 형태였다. 이는 공간적 제약과 환자 피로도 상승 등 다양한 문제를 수반했다. 이를 해결하고자 공동 연구팀은 착용형 무선 OLED 콘택트렌즈 기반의 새로운 빛 자극 시스템을 개발하고,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연구를 실시했다. OLED는 면 전체에서 빛을 발산하는 표면광원
“건강검진 결과 ‘심장이상 소견’ 무시하지 마세요. 심장 건강, 정확히 알고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천세종병원(병원장 이명묵) 장덕현 과장(심장내과)은 “증상이 없는데 건강검진에서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얘기를 들으면 당황하기 마련”이라며 “심장에 문제가 있음에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있는 만큼, 건강검진 결과 ‘심장 이상 소견’이라고 나왔다면 속히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12일 이같이 밝혔다. 건강검진에서 발견하는 심장 이상은 대표적으로 ▲혈압 이상 ▲흉부 방사선 이상(X-ray 촬영 후 심장이 커져 있는 것을 발견) ▲심전도 이상 ▲관상동맥(심장동맥) 칼슘 컴퓨터단층촬영(CT) 이상 등이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 같은 심장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심장내과 진료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문제는 괜찮은 건지, 정밀검사가 필요한 건지 환자가 헷갈려 한다는 것이다. 망설이다 보면 결과적으로 의료기관 방문이 늦어지게 되고, 심하게는 제때 치료할 시기를 놓치게 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반대로 정밀검사 후 정상으로 결과가 뒤바뀌는 경우도 있다. 건강검진 결과 이상 소견이 나왔다면, 조건 없이 심장내과 진료를 받아야 하는 이유다. ■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