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앤피메디(대표 정권호)가 최근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에서 열린 ‘2025 제이앤피메디 커넥트(JNPMEDI CONNECT)’를 성황리에 마쳤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한 ‘2025 제이앤피메디 커넥트’는 국내 최대의 디지털 임상시험 심포지엄으로, 산업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전략과 협업 모델을 중심으로 구성돼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서는 ‘RDC(Research,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in Action: Accelerating Global Success in Life Science Innovation’이라는 대주제 아래, 제약·바이오 산업의 연구, 개발, 상업화(RDC) 전반에 걸친 실질적인 성공 전략과 혁신 인사이트에 관련된 논의가 진행됐다.
특히, 올해는 글로벌 인허가, 임상 운영, AI 기반 데이터 전략, 생명과학 투자 등 제약·바이오 산업 전주기를 아우르는 실행 전략이 심도 깊게 다뤄졌으며, 각 분야의 현업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실무 중심의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총 4개 세션으로 구성된 이번 심포지엄은 차의과학대학교 이일섭 교수의 개회사와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단장의 축사로 그 시작을 알렸다.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유희찬 교수가 좌장을 맡은 첫 번째 세션은 ‘K-헬스케어 혁신 기업을 위한 글로벌 규제 대응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한국규제과학센터 박인숙 센터장과 GC녹십자 이재우 개발본부장은 주요 규제기관 동향과 FDA 인허가 사례를 심층 논의했다. 해당 세션의 마지막 발표자로 참여한 제이앤피메디 유수현 부사장은 제품과 시장에 맞는 글로벌 인허가 전략 설계법에 대해 소개하며 참석자들의 이해를 높였다.
두 번째 세션 ‘임상시험 실행의 모든 것 - 기획부터 현장까지’는 메디라마 문한림 대표가 좌장을 맡아 다국가 임상시험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리소스 최적화 방안과 플랫폼 기반의 임상 전략이 공유되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와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유혜종 전무 등이 발표자로 참여했으며, 제이앤피메디 이승미 전무는 임상시험 운영의 실시간 가시성과 스마트 실행 체계 구축을 위한 혁신적인 방안을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