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7.4℃
  • 맑음강릉 15.1℃
  • 구름조금서울 8.5℃
  • 흐림대전 11.5℃
  • 맑음대구 8.4℃
  • 맑음울산 11.2℃
  • 구름조금광주 11.1℃
  • 맑음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9.7℃
  • 맑음제주 15.5℃
  • 구름조금강화 7.0℃
  • 흐림보은 7.3℃
  • 흐림금산 8.8℃
  • 맑음강진군 7.7℃
  • 구름조금경주시 5.7℃
  • 맑음거제 10.4℃
기상청 제공

잘못된 베개 사용, 목 디스크를 부를수도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전진만 교수,똑바로 자면 베개의 높이는 6~8㎝가 가장 바람직

‘고침단명(高枕短命)’이란 베개를 높이 베면 오래 살지 못한다는 고사성어다. 실제로 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목과 어깨가 뻐근해지는 통증이 생기고 심하면 목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


-증가하는 목 디스크 환자, 이유가 무엇인가
목 디스크는 목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 사이로 내부의 수핵이 빠져 나와 주변 신경을 누르면서 목, 어깨, 팔 등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 사이 목 디스크 환자가 약 69만 명에서 약 90만 명으로 30%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전진만 교수는 “목 디스크는 주로 노화에 의해 발생하지만 최근 노트북,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면서 발병 연령이 점차 낮아져 20~30대에서도 증상이 나타난다”라며 “스마트폰 사용을 위해 오랫동안 고개를 숙이고 있으면 목에 가해지는 압력이 한쪽으로 집중되면서 인대, 뼈, 근육에 지속적인 피로를 주고 목 디스크의 원인이 된다.”고 밝혔다.


-어떤 베개를 선택해야 하는지
정상적인 목뼈는 ‘C자형’으로 뇌에 충격이 미치지 않도록 쿠션 역할을 하는데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뼈와 근육, 인대에 부담을 주고 목뼈가 앞쪽으로 구부정하게 굳게 된다. 이런 습관이 지속되면 기도 부위가 좁아져 코골이, 호흡 곤란이 생기고 목뼈가 일자형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잘 때도 목뼈의 C자형 커브를 유지해야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다.


전진만 교수는 “천장을 바라보고 똑바로 자면 베개의 높이는 6~8㎝가 가장 바람직하고 옆을 보고 잔다면 어깨와 목 사이를 고려해 10~15㎝의 높이가 적당하다”며 “엎드려 자는 습관은 척추질환, 소화불량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고 베개는 탄성이 강하고 두상에 따라 형태가 잘 유지되는 메모리폼, 라텍스 계열 소재로 너무 부드럽거나 딱딱한 재질은 피하는 것이 좋다.”라고 밝혔다.


-목 디스크 증상, 무엇이 있나요?
· 팔과 손이 자주 저리다
· 두통이 심하고 숙면을 못 한다
· 목덜미가 뻐근하다
· 등과 어깨 상부에 통증이 잦다
· 목이 뒤로 잘 젖혀지지 않는다
· 옆에서 보면 목뼈가 일자다
· 어깨를 들어 올리기 힘들다
· 팔이나 손가락의 힘이 약해진다
· 손의 감각이 무디거나 예민해진다
· 현기증, 이명 등의 증상이 있다


-목 디스크, 이렇게 예방해요
  ① 물건을 들 때는 양손을 번갈아 사용한다.
  ② 머리와 몸통이 직선이 되도록 고개를 똑바로 세우고 앉는다.
  ③ 장시간 동안 같은 자세로 앉지 말고 틈틈이 스트레칭한다.
  ④ 엎드려 책을 보지 않는다.
  ⑤ 근육이 수축하지 않도록 몸을 따뜻하게 유지한다.
  ⑥ 척추에 도움이 되는 걷기 운동을 꾸준히 한다.
  ⑦ 흡연은 뼈의 칼슘을 감소하므로 금연한다.
  ⑧ 모니터는 눈높이보다 10~15도 정도 아래로 내려다본다.
  ⑨ 스마트폰은 목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시선보다 15도 내려서 사용한다.
  ⑩ 의자에 앉을 때는 엉덩이를 깊숙이 넣고 등받이에 등을 밀착한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K-MEDI hub. ㈜이롭과 「2025 한국기술혁신학회 」 동시 수상 K-MEDI hub(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와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주기업 ㈜이롭이 소노캄 제주에서 열린 「2025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기술혁신상 시상식에서 동시 수상의 쾌거를 이뤘다. 재단은 ㈜이롭의 수술로봇개발 지원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기술혁신지원상을, ㈜이롭은 국산 최초 복강경 수술용 로봇 ‘이롭틱스’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 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의 일환으로 진행된 디지털 헬스케어·의료기기 특화 제품 개발 과제를 통해 ㈜이롭의 로봇기술 고도화를 지원했다. 특히 ‘이롭틱스’의 공인시험을 지원했으며, 전기·기계적 안정성 및 전자파 적합성, 성능시험 등 27건의 시험지원과 전자파 디버깅, 실무교육을 통해 기술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 부분을 인정받았다. 더불어 협동로봇 카트 및 액세서리 기능 개선과 복강경 수술로봇 공동 디자인 출원 이후 기술이전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지원을 수행했다. 수상을 통해 ㈜이롭은 국내 1호 수술 협동로봇 ‘이롭틱스’에 이어 2세대 수술로봇 개발 및 전임상 성공을 통해 기술혁신을 인정받았다. 특히 2세대 수술보조 협동로봇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범대위 위원장 "성분명 처방 강행..곧 의약분업 파기 선언" 대한의사협회 오늘 (16일) 오후 2시 여의도 국회 앞에서 '국민건강수호 및 의료악법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 대표자 궐기대회' 개최했다. 김택우 범대위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수급 불안정 의약품 문제는 마땅히 국가가 책임져야 할 일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그 책임을 방기한 채 의약품 수급 불안이라는 핑계 뒤에 숨어 성분명 처방을 강제하려 하고 있다"며 " 이 법안은 성분명 처방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의사들에게 형사 처벌까지 강제하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며 이는 과잉 입법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는 의사와 환자 간의 신뢰를 깨뜨리고 환자 안전을 위협하며, 책임 구조를 붕괴시키는 명백한 의료악법이다.동일 성분이라는 이유로 의사의 판단 없이 약제가 대체된다면, 그로 인한 의사의 처방 권한과 환자의 안전은 누가 책임질 것" 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지난 2000년 의약분업 이후, 우리는 처방과 조제의 경계를 묵묵히 지켜왔다. 그러나 지금 국회와 정부가 강행하는 성분명 처방은, 지난 20여 년간 지켜온 의약분업의 원칙을 명백히 무너뜨리는 행위"라고 지적하고 "성분명 처방 강행은, 곧 의약분업 파기 선언"이라고 못박았다. 김 위원은 이어 "법원 판결을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