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1.3℃
  • 박무서울 7.4℃
  • 대전 9.6℃
  • 구름많음대구 11.8℃
  • 구름많음울산 12.0℃
  • 광주 8.7℃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8.7℃
  • 흐림제주 12.3℃
  • 구름많음강화 5.9℃
  • 흐림보은 7.3℃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12.4℃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걷거나 달릴 때 다리 통증 심하다면!..‘하지동맥 폐색증’ 의심해 봐야

당뇨·고혈압 앓거나 오랫동안 흡연했다면 다리 통증 눈여겨봐야

꽃피는 봄철을 맞아 등산 인구가 부쩍 늘어나는 요즘이다. 하지만 평소 등산이 취미인 A씨(53세, 남성)는 요새 다리 근육통이 심해 그 좋아하던 봄꽃 산행도 멀리하고 있다. 산에서 내려와 좀 쉬면 괜찮아졌는데 이제는 아무리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가시지 않는다. 병원에서 다리혈류·CT검사를 받았는데 ‘하지동맥 폐색증’ 진단을 받았다. 다행히 막힌 혈관을 넓히는 시술 후에는 통증도 많이 없어졌고 동네 뒷산 정도는 가볍게 다녀올 수 있게 되었다.


A씨가 앓았던 ‘하지동맥 폐색증’은 동맥경화로 인해 다리 혈관이 막혀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통증이 유발되는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그리고 오랫동안 흡연을 한 사람들에게서 호발한다. 


60~70대 환자 가장 많지만... 50대부터 정기검진으로 예방해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년 자료에 따르면, 남성 환자(1,366명)가 여성(656명)보다 2배 더 많았다. 남성의 연령 분포를 보면 30대 3%, 40대 6%, 50대 17%, 60대 26%, 70대 33%로 60~7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부터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대해 강동경희대병원 조진현 혈관외과 교수는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앓는 30~40대가 늘면서 자연히 50대부터 하지동맥 폐색 환자 빈도가 높아진다”며 “당뇨, 고혈압 등을 앓거나 오랫동안 흡연을 해 온 50대라면 가벼운 다리 통증도 가볍게 보지 말고 즉시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로 어떤 증상을 눈 여겨봐야 할까? 질병 초기에는 걷거나 달릴 때 다리에 통증이나 경련이 발생하지만 쉬면 증상이 금방 가라앉는다. 진행된 상태에서는 피부가 차갑고 발가락 색깔이 검으며 발에서 맥박이 약하게 잡히는 데다 발의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


초기에 발견하면 항혈소판제나 혈관확장제 등 약물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해 병원을 찾을 정도면 동맥 폐색이 50% 이상 진행된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부분 심각한 상태로 진단받는데 보통 디스크로 다리가 저리다고 생각하거나 조금 쉬면 다리 통증이 없어지기 때문에 내버려두기 쉽기 때문이다. 만약 괴사가 온 상태에서 치료받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1년 안에 50%의 환자가 다리를 절단하기 때문에 하지동맥 폐색 증상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치료기술 발달로 수술 아닌 시술로도 좋은 예후 기대
진단은 발목과 팔에서 측정한 혈압을 비교하여 쉽게 알 수 있다. 발목 혈압을 팔 혈압으로 나눈 값인 ‘발목-팔 혈압지수’를 계산해 0.9 이하인 경우에 하지동맥 폐색증으로 본다. 이후 초음파와 CT검사를 통해 막힌 정도를 파악해 치료 계획을 수립한다.


막힌 부위가 길고, 수술에 따른 위험성이 낮은 경우에는 환자 본인의 정맥이나 인조혈관을 이용해 우회 수술을 하게 된다. 하지만 환자의 대부분이 만성질환을 동반하기에 수술로 인한 합병증이 우려된다. 이에 국소 마취 후 풍선확장술(풍선을 부풀려 혈관을 넓혀줌)이나 스텐트삽입술(그물망을 넣어 좁아지지 않게 함)을 시행하는데 최근에는 죽종절제술(혈관 내벽을 드릴처럼 깎아 넓힘) 시행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조진현 교수는 “시술은 대퇴부를 통해 관을 넣어 시행하는데 대퇴부가 힘을 많이 주는 부위라 관 삽입 시 주의력과 정교한 기술이 요망되므로 경험 많은 전문의를 통해 시술을 받는 것이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강동경희대병원은 혈관 질환 관련 전문 상담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혈관 질환의 경우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가 예후를 결정짓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된다면 지체없이 상담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문의 02-440-7685(평일 오전 9시~오후 5시)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후발의약품 개발 활성화 되나...식약처, 자료보호 기간 종료 의약품 특허정보 공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내 후발의약품의 개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자료보호 및 의약품 재심사기간이 향후 3년(’26~’28) 내 종료되는 507개 품목(중복 포함)에 대해 식약처 의약품 특허목록에 등재된 특허정보(이하, 등재특허 정보)를 11월 25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공개되는 등재특허 정보는 자료보호 및 재심사 종료 품목의 제품명, 업체명, 주성분, 종료일, 등재특허 유무, 등재특허번호, 등재특허 만료일, 생산·수입 실적 등이다. -향후 3년 내 자료보호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 자료보호 및 재심사 대상 의약품에 대한 후발의약품의 품목허가 신청은 해당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가능하며, 업체는 제품 개발을 위한 특허회피전략 또는 특허무효전략 수립 시 공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펙수프라잔 제제, 보툴리눔 제제 등 생산·수입실적 상위 각 5개 품목에 대해서는 등재특허 정보 외에 해당 성분 관련 미등재된 특허정보를 추가로 제공한다. -향후 3년 내 재심사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목 식약처는 이번 정보 제공이 국내 후발의약품의 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내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환경을 조성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만성골수성백혈병,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가능..."유전자 변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가능성 열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와 정유상, 유구상 박사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 기술을 이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에서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항암제 내성 패턴을 모두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 26.7)’에 게재됐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1 융합 유전자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혈액암이다. 이 유전자는 세포의 ABL1 효소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해 암세포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4세대에 걸친 항암제가 개발됐으며, 많은 환자에게서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지속되면 ABL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면 어떤 약에 내성을 보이고 반응하는지 알기 어려워 진료 현장에서 각 환자에 맞는 항암제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기’라는 최신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ABL1 유전자에 생길 수 있는 단일 아미노산 변이 98%(195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