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1.3℃
  • 박무서울 7.4℃
  • 대전 9.6℃
  • 구름많음대구 11.8℃
  • 구름많음울산 12.0℃
  • 광주 8.7℃
  • 맑음부산 13.6℃
  • 흐림고창 8.7℃
  • 흐림제주 12.3℃
  • 구름많음강화 5.9℃
  • 흐림보은 7.3℃
  • 구름많음금산 8.8℃
  • 구름많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12.4℃
  • 구름많음거제 12.5℃
기상청 제공

명지병원, 제5회 예술치유페스티벌 개막

5월 10일~19일, 힐링콘서트와 예술체험, 전시회, 영상감상 등

환우와 의료진, 보호자와 예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명지병원 예술치유페스티벌이 10일 개막돼 오는 19일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펼쳐진다.


서남의대 명지병원 예술치유센터(센터장 이소영) 주최로 5회째를 맞는 예술치유페스티벌 ‘마음의 소리와 만나다’는 미술과 시, 음악 등이 총체적으로 어우러지고 유명 가수와 전문연주자, 의료진과 환우들이 함께 참여, 힐링하는 축제의 장으로 작품 전시회와 체험마당, 힐링콘서트 등으로 꾸며진다.


특히 올 해는 음악을 소재로 한 영화 ‘다방의 푸른 꿈’의 ‘김대현 감독과 함께하는 영화이야기’라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추가되어, 영화 감상은 물론 영화감독과 소통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영화상영은 11일과 17일 오후 1시에 상상스테이지에서 진행된다.


페스티벌은 10일 오후 1시 명지병원 1층 로비 상상스테이지에서 제39회 힐링콘서트 ‘마음의 소리를 듣다’로 개막됐다. 영화배우 겸 국악인 오정해 교수(명지병원 홍보대사)의 사회로 장애인 연주단 밀알앙상블과, 성악앙상블 엘스 등 국내 정상급 연주단과 천재 바이올리니스트로 국제무대에서 극찬 받고 있는 고소현 양의 특별 무대도 선보였다.


오는 15일 오후 1시에는 의사와 환우, 전문 예술인, 병원 직원이 함께 화음을 맞추는 환의콘서트가 진행된다. 명지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우들의 시낭송과 색소폰 연주, 기타리스트 김광석과 한국무용가 송민숙의 공연, 명지병원 국제진료센터 외국인 코디네이터들의 민속 공연 등으로 꾸며진다.


폐막공연은 오는 19일 오후 1시 뮤지컬배우 최형석과 바리톤 권용만, 국악인 채수정(판소리) 등의 공연과 명지병원 예술치유센터 예술치료사들의 공연이 펼쳐진다.


오는 12일에는 ‘마음의 소리를 나누다’라는 주제의 체험마당이 펼쳐지는데, 환우들과 보호자, 지역주민과 직원들이 함께 참여하여 그림과 시를 공동으로 만들어 하나의 큰 작품을 만들고, 전시된 악기들을 즉석에서 연주하며 즉흥 그룹연주를 만들어보는 예술체험 활동이다. 


이와 함께 10일부터 19일까지 병원 1층 로비에서는 ‘마음의 소리를 보다’를 주제로 그동안 예술치유에 참여한 소아재활, 정신건강의학과, 암 환우들이 만들어낸 미술작품과 시, 노랫말 작품 등 200여 점의 창작물이 소개된다. 다양한 그림 도구를 통해 표현한 마음의 소리를 눈으로 감상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후발의약품 개발 활성화 되나...식약처, 자료보호 기간 종료 의약품 특허정보 공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내 후발의약품의 개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자료보호 및 의약품 재심사기간이 향후 3년(’26~’28) 내 종료되는 507개 품목(중복 포함)에 대해 식약처 의약품 특허목록에 등재된 특허정보(이하, 등재특허 정보)를 11월 25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공개되는 등재특허 정보는 자료보호 및 재심사 종료 품목의 제품명, 업체명, 주성분, 종료일, 등재특허 유무, 등재특허번호, 등재특허 만료일, 생산·수입 실적 등이다. -향후 3년 내 자료보호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 자료보호 및 재심사 대상 의약품에 대한 후발의약품의 품목허가 신청은 해당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가능하며, 업체는 제품 개발을 위한 특허회피전략 또는 특허무효전략 수립 시 공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펙수프라잔 제제, 보툴리눔 제제 등 생산·수입실적 상위 각 5개 품목에 대해서는 등재특허 정보 외에 해당 성분 관련 미등재된 특허정보를 추가로 제공한다. -향후 3년 내 재심사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목 식약처는 이번 정보 제공이 국내 후발의약품의 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내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환경을 조성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만성골수성백혈병,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가능..."유전자 변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가능성 열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와 정유상, 유구상 박사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 기술을 이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에서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항암제 내성 패턴을 모두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 26.7)’에 게재됐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1 융합 유전자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혈액암이다. 이 유전자는 세포의 ABL1 효소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해 암세포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4세대에 걸친 항암제가 개발됐으며, 많은 환자에게서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지속되면 ABL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면 어떤 약에 내성을 보이고 반응하는지 알기 어려워 진료 현장에서 각 환자에 맞는 항암제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기’라는 최신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ABL1 유전자에 생길 수 있는 단일 아미노산 변이 98%(195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