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5℃
  • 흐림강릉 11.3℃
  • 흐림서울 8.5℃
  • 대전 8.0℃
  • 박무대구 6.7℃
  • 연무울산 9.9℃
  • 흐림광주 9.4℃
  • 연무부산 12.0℃
  • 흐림고창 8.9℃
  • 흐림제주 12.0℃
  • 흐림강화 6.5℃
  • 흐림보은 6.5℃
  • 흐림금산 7.3℃
  • 구름조금강진군 10.0℃
  • 구름조금경주시 5.8℃
  • 구름조금거제 13.3℃
기상청 제공

‘암환자 5년생존율’ 지방이 높다... 전남 62.4% 수도권 61.8%

전남지역암센터, 진료 암환자 10만명 통계 분석, 16년간 연평균 3.0%씩 증가…2014년 70%넘어

  암특화병원인 화순전남대학교병원(원장 김형준)과 전남대학교병원(원장 이삼용)에서 치료받은 암환자의 5년생존율이 수도권의 주요 7개 병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지정 전남지역암센터(소장 김영철)·광주전남지역암등록본부(책임자 권순석)는 1998년부터 2014년까지 16년간 화순전남대병원과 전남대병원에 등록된 암환자의 점유율· 의료이용 현황· 생존율 현황 등에 관한 통계를 최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16년간(1999~2014년)의 암환자 5년생존율은 수도권의 주요 7개 병원이 61.8%인데 비해, 화순전남대병원과 전남대병원이 62.4%,로 더 높았다.


  치료방법별로는 이 기간 동안 화순전남대병원과 전남대병원에서 수술·항암화학요법·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5년생존율은 각각 86.2%, 52.0%, 60.6%로서 수도권 7개 병원의  80.0%, 46.0%, 52.3%보다 더 높았다.


   지난 16년간 화순전남대병원과 전남대병원에 신규등록된 암환자는 108,998명(남자 57,829명, 여자 51,169명)으로, 연평균 9.5% 증가했다.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등록된 암은 갑상선암 15,442명(14.2%), 위암 15,306명(14.0%), 폐암 11,368명(10.4%), 간암 8,665명(7.9%) 순이었다. 남자는 위암·폐암·대장암·간암·전립선암 순이었고, 여자는 갑상선암·유방암·위암·대장암·자궁경부암 순이었다.


  이 기간 동안 발생한 암등록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이하 생존율)은 64.6%로, 3명 중 2명 이상은 5년 이상 생존할 것으로 추정됐다. 남녀별 5년 생존율은 남자가 53.6%, 여자가 76.5%로 남자보다 여자의 5년 생존율이 더 높았다.


  연도별로 5년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향상돼 1998∼2004년 54.2% (남자 41.7%, 여자 69.2%)에서 2010∼2014년 69.8% (남자 60.6%, 여자 79.7%)로, 연평균 3.0% (남자 4.4%, 여자 1.8%) 증가했다.


  한편, 지난 16년간 광주·전남에서 발생한 모든 암환자 214,000명 중 화순전남대병원과 전남대병원에서 진료받은 암환자는 111,729명으로 치료점유율은 52.0%였다.


  점유율은 전남대병원의 분원인 화순전남대병원이 개원한 2004년 이후 크게 증가했다. 1999년 34.6%(광주 49.8%, 전남 28.7%)에서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이 개원한 2004년 46.3%(광주 61.1%, 전남 39.8%), 최근 2014년에는 56.8% (광주 67.8%, 전남 51.0%)까지 증가, 매년 평균 3.6% (광주 1.8%, 전남 4.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64.7%, 전남이 45.9%로 광주환자에 대한 점유율이 전남보다 더 높았다. 특히 2014년 광주의 점유율이 67.8%에 달해, 광주에서 발생한 암환자의 암환자의 2/3 이상이 화순전남대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국내 후발의약품 개발 활성화 되나...식약처, 자료보호 기간 종료 의약품 특허정보 공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내 후발의약품의 개발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자료보호 및 의약품 재심사기간이 향후 3년(’26~’28) 내 종료되는 507개 품목(중복 포함)에 대해 식약처 의약품 특허목록에 등재된 특허정보(이하, 등재특허 정보)를 11월 25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공개되는 등재특허 정보는 자료보호 및 재심사 종료 품목의 제품명, 업체명, 주성분, 종료일, 등재특허 유무, 등재특허번호, 등재특허 만료일, 생산·수입 실적 등이다. -향후 3년 내 자료보호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 자료보호 및 재심사 대상 의약품에 대한 후발의약품의 품목허가 신청은 해당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 가능하며, 업체는 제품 개발을 위한 특허회피전략 또는 특허무효전략 수립 시 공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펙수프라잔 제제, 보툴리눔 제제 등 생산·수입실적 상위 각 5개 품목에 대해서는 등재특허 정보 외에 해당 성분 관련 미등재된 특허정보를 추가로 제공한다. -향후 3년 내 재심사 기간 종료 예정 생산·수입 5개 품목 식약처는 이번 정보 제공이 국내 후발의약품의 시장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내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환경을 조성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만성골수성백혈병,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가능..."유전자 변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가능성 열어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항암제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의대 약리학교실 김형범 교수와 정유상, 유구상 박사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 기술을 이용해 만성골수성백혈병 세포에서 ABL1 유전자 변이에 따른 항암제 내성 패턴을 모두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IF 26.7)’에 게재됐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BCR-ABL1 융합 유전자에 의해 생기는 대표적인 혈액암이다. 이 유전자는 세포의 ABL1 효소를 비정상적으로 활성화해 암세포가 계속 성장하게 만든다. 만성골수성백혈병은 4세대에 걸친 항암제가 개발됐으며, 많은 환자에게서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지속되면 ABL1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면 어떤 약에 내성을 보이고 반응하는지 알기 어려워 진료 현장에서 각 환자에 맞는 항암제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프라임 편집기’라는 최신 유전자 교정 기술을 이용해, ABL1 유전자에 생길 수 있는 단일 아미노산 변이 98%(1954/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