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1.5℃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6.0℃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많음대구 5.8℃
  • 구름조금울산 8.8℃
  • 구름많음광주 7.7℃
  • 구름조금부산 11.1℃
  • 구름많음고창 4.9℃
  • 맑음제주 10.7℃
  • 맑음강화 2.6℃
  • 흐림보은 1.1℃
  • 흐림금산 2.6℃
  • 구름조금강진군 9.1℃
  • 구름많음경주시 4.0℃
  • 구름많음거제 8.9℃
기상청 제공

유크리드 임상결과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 가장 우수

최근 유럽 학회에서 발표해 세계적 관심 모아

보령제약의 '카나브'를 비롯해 극히 일부  신약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내 신약이 무늬만 신약으로 대접 받고 있는 가운데 유유제약의 유크리드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와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유럽 학회에서 발표된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크리드(Clid ,ticlopidine),유크리드(YuclidR, ,ticlopidine + Ginkgo biloba extracts)의 혈소판 응집억제능력에 대한 임상 중간 결과에 의하면 유크리드가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밝혀져 세계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연구는 아주대 신경과 홍지만 교수팀이 현재 진행중인 임상결과로 세계적인 유럽뇌졸중학회(20th European Stroke Conference 2011)에 발표됐다.

 홍교수팀은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크리드(Clid ,ticlopidine),유크리드(YuclidR, ,ticlopidine + Ginkgo biloba extracts)의 혈소판 억제효과를 비교 분석해 보고 각각 CYP2C19 유전아형에 따라 그 억제효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해 이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번 임상 연구는 급성뇌경색(Acute ischemic stroke) 또는 일과성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을 보이는 135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해 45명씩 3개 군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Clopidogrel 투여군 45명 , ticlopidine 투여군 45명, YuclidR,(ticlopidine + Ginkgo biloba extracts) 투여군  45명을 대상으로 90일간 투여 후, 총 3회(투여 전, 투여 후 7일째와 90일째) 채혈하여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 분석(ADP Test, ASP Test, TRAP Test)과 CYP2C19 유전자 다형성 분석을 실시했다.

그 중간결과 유크리드가 항소판 응집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약물 투여 후 적절한 항혈소판 응집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환자의 비율이 클로피도그렐에서 37.8%, 티클로피딘에서 15.6%,유크리드 군에서 8.9%로 나타나 유크리드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투여 후 7일, 90일째 ADP Test에서 군간 혈소판 응집억제능력 차이에 대해서 YuclidR,(ticlopidine + Ginkgo biloba extracts) 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8명이 이상반응을 보였는데 다른 군과 비교 해 봤을 때 ticlopidine 군에서 높은 minor side effect를 보였다.(p=0.024)

또한 Clopidogrel은 CYP2C19을 저해하는 약물인 PPI 등과 병용 투여하거나, CYP2C19이 유전적으로 결핍되어 있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유제약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추가적으로 입증하기 위하여 유크리드와 Clopidogrel 의 유전자형에 따른 효과 비교임상을 진행 중이며, 2011년 하반기에 유전자형에 따른 항혈소판응집효과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 연구 결과로 ticlopidine + Ginkgo biloba extracts 복합제인 YuclidR,는 급성뇌허혈 질환 환자에 있어서 심각한 부작용 없는 효과적인 복합 치료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유크리드정은 1998년도부터 10년 동안 유유제약의 연구개발의 노력으로 이루어낸 결과로 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개발됐고, 지난 2008년 4월 식약청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은 자체 개발 국산 신약이다.

유크리드정은 2000년 국내 특허를 취득했고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에 특허를 취득한 유유제약의 복합신약2호 제품이다.

유크리드정의 성장 이유는 임상적 장점을 들 수 있다.

티클로피딘(Ticlopidine)과 징코빌로바(Ginkgo biloba) 복합에 의한 상승작용으로 항혈전제로서의 효력을 극대화함은 물론, 매우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호중구감소증(neutropenia)을 경감시키며, 또한 복합제로서 환자의 순응도를 높여 치료효과의 상승이 기대돼 처방의들의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티클로피딘은(Ticlopidine)은 강력한 항혈소판제이지만, 아주 드물게 호중구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부작용은 투여초기에 나타나기 때문에3개월 정도만 혈액검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지만, 은행엽엑스(타나민)를 복합함으로써 부작용을 감소시킨 것이다.

은행엽엑스의 활성성분 중 하나인 징코플라본 글리코사이드(Ginkgoflavone glycosides)가 free radical scavenger로 작용, Ticlopidine에 의한 호중구 전구세포의 파괴를 막아 호중구 감소증의 발생을 억제한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활성성분인 터핀락톤(Terpene lactones)은 PAF(Platelet Aggregation Factor) Antagonist로 작용해 Ticlopidine의 항혈소판효과를 증대시켜, 유크리드정은 효과와 안전성을 높인 복합 항혈소판제이다. 처방분석데이터(UBIST)에 따르면 티클로피딘과 은행엽엑스는 오래전부터 병용투여가 빈번한 약물이기도 하다.

CYP2C19 변이유전자(*2 또는 *3)를 가진 사람은 크로피도그렐(clopidogrel)에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보고됐으며, 이는 아시아인의 51%가 보유하고 있어 내성에 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유크리드와의 대조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유크리드정은 오랜 처방경험을 가진 두 성분의 복합제제로서 저렴한 약가와 편리한 용법을 장점이며, 국내에서 지속적인 임상시행을 통해 처방의들의 임상자료(Clinical evidence)를 제공 중이다.

또한 유크리드의 안전성 정보조사를 위해 식약청의 허가를 받아 대규모 PMS를 시행중이다.

연구는 유크리드 복용에 따른 무과립구증의 발생률 감소를 임상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전국으로 약 5,0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구 결과는 2012년 말에 발표될 것이다.

유유제약 관계자는 “유크리드는 뇌혈관질환을 비롯한 심혈관질환에도 확산해 2012년도 100억대의 블록버스터 품목으로 성장시켜나갈 계획”이라고 밝혀 항혈전제 시장의 리딩품목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행정

더보기

배너
배너

제약ㆍ약사

더보기
휴메딕스, 3분기 매출액 409억원∙영업이익 90억원 기록 휴온스그룹 ㈜휴메딕스(대표 강민종)는 3분기 개별 재무제표 기준 매출 409억원, 영업이익 90억원, 당기순이익 22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 -3%, 231%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휴메딕스는 엘라비에 리투오의 활발한 학술 마케팅 효과와 화장품 사업의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다만, 국내 에스테틱 기업 간 경쟁 심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보툴리눔 톡신 ‘리즈톡스’의 성장이 둔화했다.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영업마케팅 광고선전비와 지급수수료 등 판매관리비 증가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금융자산 평가이익에 따른 효과가 반영되며 증가했다. 휴메딕스는 오는 4분기 실적에 대해 에스테틱 신제품 ‘리들부스터’, ‘올리핏주’ 등의 학술 마케팅 강화와 ‘엘라비에 리투오’ 신규 거래처 확대, 국내 영업조직 개편을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 전문의약품 품목 다변화를 통한 위탁생산(CMO) 추가 수주 등을 기반으로 매출 성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다. 한편, 휴메딕스는 지난 10일 이사회를 통해 3분기 배당을 실시하기로 했으며, 주당 배당금은 570원 현금배당이며 배당기준일을 오는 11월 25일로 설정했다. 금번 배당은 휴메딕스 최

배너
배너
배너

의료·병원

더보기
스텐트 시술 후 출혈 고위험 환자...서울대병원,최적의 이중 항혈소판제 투여 기간 규명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에는 스텐트 혈전증과 시술부위 재발을 막기 위해서 시술 직후부터 일정기간 강력한 이중(二重) 항혈소판제를 투여한다. 그러나 혈전을 예방하기 위해서 처방하는 항혈소판제는 부작용으로 출혈을 동반할 수 있어, 스텐트 시술을 받았지만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들은 이중 항혈소판제를 얼마나 투여해야 할지 정하기가 어려웠다. 이런 환자들을 위한 최적의 투여 기간이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특히 기존에 적절하다고 여겨졌던 1개월보다 ‘3개월 유지 요법’이 심혈관사건 예방 효과가 우수하다는 결과가 나타나, 출혈 고위험군을 위한 새로운 치료 기준을 제시해 국제학술지 ‘란셋(The Lancet, IF;88.5)’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김효수 교수와 순환기내과 박경우·강지훈 교수(사진 좌부터)팀은 스텐트 삽입술 환자 4897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임상연구(HOST-BR)에서 이 같은 사실을 입증했다고 13일 발표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는 병이다. 표준 치료법은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해 좁아진 부위를 넓히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이다. 이 시술 후에는 일생동안 한 가지의 항혈소판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