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이 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는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전성 난청을 일으키는 원리를 규명했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최재영(좌)·정진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지헌영 교수(우) 연구팀은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전성 난청을 유발하는 기전과 그 치료 약물인 라파마이신(rapamycine)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포생물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오토파지(Autophagy, IF 16.016) 최신 호에 게재됐다. 유전성 난청은 유전으로 인한 질환으로 달팽이관의 기능이 떨어져 발생한다. 보청기를 사용하거나 인공 와우 수술로 치료하고, 약물치료 사례는 거의 없다. 현재까지 121개 종류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유전성 난청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는 그 중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진 유전성 난청 환자 20명이 내원 중이다.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난청은 10대 중후반에서 발병하며 나이가 들수록 청력이 감소하는 진행성 난청이다.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난청을 일으킨다는 것은 2015년 처음 보고됐지만, 그 원인이 자세히 밝혀지지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국내 개발 1호 코로나19 백신 허가를 위한 임상3상 시험 검체 분석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은 국제백신연구소(IVI)와 함께 지난해 8월 SK 바이오사이언스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면역원성 분석에 착수하여, 허가에 필요한 우선 분석 대상 검체 약 4,200건에 대한 중화항체 분석을 완료하고 결과를 개발사에 보냈다고 밝혔다. 개발사는 시험 결과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 분석을 수행하고 올해 상반기 중 식약처에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은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을 되찾고 감염병 주기적 유행(엔데믹, endemic), 나아가 다음의 감염병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Next-pandemic) 시대에 대비하는 정부의 노력에 보탬이 되도록 안전성과 효과성이 탁월한 국산 백신을 개발해 보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국제백신연구소 제롬 김(Jerome H. Kim) 사무총장은 “국제백신연구소는 새로운 변이에 대처하는데 중요할 수 있는 차세대 백신(Wave 2 Vaccines)의 유망한 후보인 동 백신의 개발을 완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긴밀히 협력할 것”이
고려대학교안산병원 비뇨의학과 박재영 교수가 미국비뇨의학회의 공식 저널이자 SCI 저널인 Journal of Urology의 편집위원으로 위촉되었다. 박 교수는 Journal of Urology 편집부의 의뢰를 받아 2022년 3월부터 편집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Journal of Urology에 투고되는 각종 비뇨의학과 관련 기초 및 임상 연구 논문에 대한 심사위원 선정 및 게재 여부 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Journal of Urology은 1902년 창립된 미국비뇨의학회의 공식학술지로서 2020년 Journal Impact Factor(인용지수)는 7.45이며, 박 교수는 한국인으로서는 역사상 최초로 이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위촉되었다.
의료용, 산업용, 상업용 등 다양한 장비 및 부품과 솔루션을 공급, 전세계 과학기술 분야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 다나허(Danaher) 그룹의 한국 법인인 다나허코리아(회장 신해청)가 설립 1주년을 맞이했다고, 4월 1일 밝혔다. 다나허 그룹은 글로벌 비즈니스에서 한국 시장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한국에 진출한 다양한 계열사들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계열사 간의 시너지를 확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21년 4월 1일 다나허코리아를 출범시켰다. 다나허 그룹은 생명공학 분야, 진단 분야, 환경 & 응용 솔루션 분야 등 총 3개의 섹션을 기반으로 한 기업으로, 현재 한국에 이와 관련한 16개 계열사가 있다. 생명공학 분야의 싸이티바, 폴, 사이엑스, 벡크만쿨터 라이프 사이언스, 라이카 마이크로 시스템, 몰레큘러 디바이시스, 아이디티를 비롯해, 진단 분야에는 벡크만쿨터, 라이카 바이오 시스템, 맘모톰, 라이오미터, 세페이드가 있으며, 환경 & 응용 솔루션 분야에는 비디오젯, 에스코, 엑스라이트, 하크가 활발하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다나허코리아는 출범 이래 1년 간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내 바이오 및 과학기술 산업 발전에 기여해 왔다. 생명공학
펫팜(PET PHARM, 대표 윤성한)은 광동제약과 반려동물 사업 활성화를 위해 최근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1일 밝혔다. 양사는 광동제약에서 새롭게 론칭한 반려동물 프리미엄 영양제 브랜드 ‘견옥고’를 시작으로 다양한 반려동물 제품을 전국의 동물약국에 공급, 유통할 계획이다. ‘펫팜’은 2019년 12월에 설립된 반려동물 의약품 전문 스타트업이다. 펫팜은 전국 1,300여개 이상의 동물약국 회원을 보유한 업계 최대 동물약국 이커머스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광동제약이 지난 29일 첫선을 보인 프리미엄 반려견 영양제 ‘견옥고 활(活)’은 숙지황·복령 농축액과 홍삼 농축액, 아카시아벌꿀을 주원료로 배합해 광동제약 전통 원료 관련 기술의 핵심역량을 담았다. 펫팜과의 이번 협약을 통해 관련 시장에서 선두주자로 나선다는 복안이다.
한미사이언스 계열사 제이브이엠의 해외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한미약품이 영국 자동조제기 시장에 직접 진출한다. 한미약품(대표이사 우종수·권세창)은 글로벌 조제 자동화 분야 전문기업인 ‘옴니셀’과 영국 전역에 제이브이엠 제품을 판매하는 업무협약 계약을 지난달 24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2022 유럽병원약사회(EAHP, European Association of Hospital Pharmacists)’ 정기 학술대회에서 체결됐다. 글로벌기업 옴니셀은 1992년 설립된 나스닥 상장사(NASDAQ : OMCL)로, 특히 북미와 영국에 6만여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는 의약품 투약 및 조제 자동화 전문기업이다. 작년에만 전세계에서 1조38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옴니셀은 다양한 약국 자동화기기와 분석 소프트웨어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약국과 병원은 물론 요양시설과 환자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옴니셀과의 계약에 따라 한미약품은 제이브이엠의 혁신적 의약품 조제 자동화기기를 옴니셀에 직접 납품한다. 그동안 제이브이엠은 네덜란드에 위치한 현지 법인(JVM EU)을 기반으로 프랑스와 독일, 네
대웅제약이 당뇨병 신약 이나보글리플로진(Enavogliflozin) 품목허가를 신청하며 작년 펙수클루정에 이어 2년 연속 신약허가 취득에 한발 더 다가섰다. 대웅제약(대표 이창재∙전승호)은 SGLT-2(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억제제 기전의 당뇨병 신약 이나보글리플로진 단독 및 병용요법 임상 3상 결과에 따라 식약처에 품목허가 신청 및 접수를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지난 1분기 이나보글리플로진 단독 및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3상 탑라인 결과 발표를 통해 단독요법에서 당화혈색소(HbA1c) 변화량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확보 및 병용요법에서 비열등성 및 안전성 확인을 공개한 바 있다. 당화혈색소는 혈색소(hemoglobin)가 높은 혈중 포도당 농도에 노출되어 생기는 것으로 평균 혈당의 지표로 사용되며 당뇨 합병증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나보글리플로진은 지난 2020년 식약처에서 국내 최초로 신속심사대상 의약품으로 지정받았다. 신속심사대상으로 지정된 의약품은 허가심사 시 일반적 소요기간인120일보다 30일 단축된 90일 내에 심사가 완료되어 신속성을 갖추고, 동시에 사전상담을 통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
분당서울대병원(백남종 병원장)과 GE헬스케어 코리아(김은미 대표)가 의료 인공지능 스타트업의 연구개발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 힘을 합친다. 지난 3월 29일 양 기관은 백남종 병원장, 이호영 정보화실장, 유수영 헬스케어ICT센터장을 비롯해 GE헬스케어 아세안 강성욱 대표, GE헬스케어 코리아 김은미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분당서울대병원은 GE헬스케어 ‘에디슨 디지털 헬스 플랫폼’에 기반해 의료 인공지능 기업들의 연구개발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특히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프로세싱’ 과정에서, 병원과 GE헬스케어가 보유한 기술력 및 역량을 바탕으로 보다 양질의 의료 데이터를 빠르게,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분석된 결과를 사용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나간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기술개발의 가속화, 고도화 외에도 양 기관은 기업들이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문, 코칭 등 지원을 제공해 나가는 데 합의했다. 백남종 분당서울대병원장은 “혁신적인 연구 아이디어, 기술을 현실화시키는 사업 전주기 지원 체계를 완성하는 데 이번 협약이 중요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는 암종 불문 치료제 로즐리트렉(성분명: 엔트렉티닙)이 오늘부터 건강 보험 급여를 적용 받는다고 밝혔다. 급여 대상은 알려진 획득 내성 돌연변이 없이 뉴로트로핀 티로신 수용체 키나제(Neurotrophic Tyrosine Receptor Kinase; 이하 NTRK) 유전자 융합을 보유한 성인 및 만 12세 이상 소아 고형암 환자로, NCCN 가이드라인 카테고리 2A 이상 암종의 1차 치료 이상에서 국소진행성, 전이성 또는 수술적 절제 시 중증 이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기존 치료제(혹은 치료 요법) 이후 진행되었거나 현재 이용 가능한 적합한 치료제가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앞서 로즐리트렉은 국내 암종 불문 치료제 최초로 2020년 4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허가를 받았다. 로즐리트렉은 NTRK 유전자 융합 변이 단백질의 활성화를 차단하도록 설계된 NTRK 억제제로, 변이가 발생한 TRK A/B/C 단백질을 표적으로 세포의 이상 신호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 및 생존을 억제한다. 암 발생 부위와 상관없이 NTRK 유전자 융합이 확인되면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암종 불문 치료제(Tumor-agnos
마크로젠(대표이사 김창훈, 이수강)이 31일 오전 9시 서울 강남구 마크로젠빌딩에서 26기 정기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주요 경영실적 성과 보고를 포함해 사내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이사 보수한도 승인, 배당에 대한 안건을 원안대로 결의했다. 먼저 마크로젠은 2021년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292억 원, 영업이익 118억 원을 기록했다고 보고했다.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반으로 보통주 1주당 300원의 현금배당을 지급할 예정이며, 배당금 총액은 약 30억 원이다. 이사 선임의 건으로 ▲사내이사 이수강(현 마크로젠 해외사업 대표/ 재선임) ▲기타비상무이사 윤세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석좌교수, 보스턴에임스 대표/ 신규선임) 등 2명이 선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