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벤처 기업 쎌트로이(대표 이재호)가 ㈜국동(대표 변상기, 오창규) 바이오사업본부와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염증성 면역질환 치료제에 대한 신규물질 특허를 출원(출원번호 : 10-2021-0028634)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출원한 특허는 세포투과성 펩타이드가 약물과 결합 시 여러 형태로 존재가 가능하며, 결합 위치에 따라 약효가 달라질 수 있음을 효소 활성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이를 통해 기존 약물보다 약효가 더 높은 형태로의 생산 및 품질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앞서 국동은 쎌트로이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기존 염증 치료제와 세포투과성 펩타이드를 융합한 개량신약
㈜케마스(대표이사 배일주)는 유방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육산화사비소(As4O6)를 이용해 전이성유방암의 치료 효과와 기작 규명을 밝힌 논문이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021년 2월호에 실렸다고 4일 밝혔다. (논문 제목 : Arsenic hexoxide has differential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and genome‑wide gene expression in human primary mammary epithelial and MCF7 cells) 연구는 케마스 배일주 대표와 경북대학교 번치 희연(Heeyoun Bunch) 교수 주도로 이뤄졌다. 케마스는 연구를 통하여 육산화사비소가 일정 농도에서 정상 세포에는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MCF7 세포에는 특이적인 항암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육산화사비소로 처리한 유방암 세포주 MCF-7 (Michigan cancer foundation 7) 세포의 RNA 염기서열분석 (RNA sequencing)을 통한 전사체 분석을 진행했다. 육산화사비소가 DNA 복구 기능과 세포주기 전개 (특히 세포 분열
항암제 신약개발업체 ㈜케마스(대표이사 배일주)는 비소 화합물인 육산화사비소(As4O6)의 연구결과가 세계적인 과학출판그룹 '네이처출판그룹(NPG)'의 2021년 2월호 'Cell Death & Disease'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 주제는 ‘육산화사비소(As4O6)가 새로운 세포사멸 경로를 활성화시켜 난치성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의 암 성장과 전이를 억제한다’이다. 육산화사비소는 케마스가 개발중인 항암 치료 신약 CM7919의 원물질이다. 케마스는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 연구원 정밀의학연구센터 김성진박사 및 양경민 박사(책임연구원)와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육산화비소가 새로운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난치성 삼중음성유방암의 암 성장과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육산화사비소는 암 발생에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 STAT3'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억제를 통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세포자멸 촉진 유전자 ‘caspase-3’의 매개 GSDME 단백질 경로를 활성화한다. 이
지놈앤컴퍼니(314130, 대표: 배지수∙박한수)가 스위스 항암제 전문 종합 바이오 제약회사인 디바이오팜(Debiopharm)과 항체 신규타깃 후보물질들에 대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지놈앤컴퍼니가 개발 중인 다수의 항체 신규타깃 후보물질과 디바이오팜이 보유한 다양한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이하 ADC기술)의 병용 임상을 통해 ADC 기술에 최적화된 임상개발물질을 발굴할 예정이다. 이번 공동연구개발은 지놈앤컴퍼니가 보유한 독자 신약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지노클(GNOCLE™)을 통해 발굴한 다수의 항체 신규타깃 후보물질과 디바이오팜의 탄탄한 항암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스위스 로젠에 위치한 디바이오팜은 1세대 항암제로 널리 알려진 대장암치료제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과 전립선암치료제 트립토렐린(Triptorelin)을 개발한 깊은 역사를 가진 항암제 전문 종합바이오제약회사다. 이번 공동연구개발 역시 지난해 진행된 BIO EU 2020에서의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링 결과로 자체 ADC기술 플랫폼인 멀티링크(Multilink™)를 보유한 글로벌 연구개발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 김상표)의 타그리소(오시머티닙)'가EGFR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이달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식약처는 23일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 변이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완전 종양 절제술 후 보조 치료로 타그리소의 사용을 허가했다. 타그리소의 새로운 적응증에 대한 임상 결과는 지난 해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와 유럽종양학회(ESMO,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에서발표되었으며, 타그리소의 식약처 승인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된 ADAURA 3상 임상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KOSDAQ 288330, 이하 ‘브릿지바이오’)는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신약 후보물질 ‘BBT-877’의 후속 개발 가속화를 위하여 원발굴기업인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KOSDAQ 141080, 이하 ‘레고켐바이오’)와의 전략적 협력 체계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브릿지바이오는 23일 공시된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BBT-877 후속 개발과 가속화 지원을 목적으로 레고켐바이오로부터 50억 원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였다. 이번 투자를 통해, BBT-877의 후속 임상 개발 본격화 및 파이프라인 가치 극대화를 위한 양사간의 전략적 협업 체계가 강화된다. 특히, 다양한 섬유화 질환 타깃 치료제를 비롯하여 항암제 등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아 신약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영역에서 오토택신 저해 기전 관련 추가 후보물질 탐색을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브릿지바이오가 보유한 임상개발 전문 역량과 더불어, 레고켐바이오의 신약개발 전문역량이 더해져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레고켐바이오 김용주 대표는 “BBT-877의 원발굴기업으로서 향후 개발 가속화에 공조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B
T 세포 기반 면역 치료제 개발 기업 네오이뮨텍(대표이사 양세환)이 22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사업 비전과 전략을 밝혔다. 네오이뮨텍 대표이사 양세환 박사는 “상장을 통해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글로벌 임상 및 사업화에 주력함으로써 기업 가치와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면서 “면역 및 감염질환의 혁신 치료제를 개발하고 특히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 선도 기업으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네오이뮨텍은 T 세포 중심의 차세대 면역항암 신약을 연구개발하는 생명공학 회사로, 2014년 설립됐다. 본사는 미국 동부 메릴랜드(Maryland)에 소재하며, 코스닥 상장사 제넥신(095700)의 관계사이다. 판교에 한국법인과 포항공대 내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주력 파이프라인은 제넥신으로부터 기술 도입한 면역항암 신약 ‘NT-I7’으로, 체내 면역 세포(림프구)의 일종인 T 세포의 증폭을 유도하는 First-in-Class 차세대 면역항암제이다. 단독 요법뿐 아니라 기존 항암치료제와 병용 투여 시 치료 효과의 시너지가 기대됨에 따라, 머크(Merck), BMS, 로슈(Roche) 등 유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공동 임상
한미약품,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알테오젠, 올릭스 등이 지난해 연구개발 부문에서 높은 성과를 거둬 기술수출부문 기술수출상을 받는다. 기술수출부문 기술수출상은 △ 비알콜성지방간염 치료제 ‘에피노페그듀타이드’를 개발한 한미약품㈜ △ ADC 후보물질 및 ADC 플랫폼을 개발한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원천기술을 개발한 ㈜알테오젠 △ 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및 망막하 섬유화증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D’를 개발한 올릭스㈜가 선정되었다. 특히 한미약품이 개발한 비알콜성지방간염 치료제 ‘에피노페그듀타이드(LAPSGLP/GCG)’는 인슐린 분비 및 식욕 억제를 돕는 GLP-1과 에너지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 작용 치료제이다. 비알콜성지방간염은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가 전무하여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높은 분야로 에피노페그듀타이드가 세계 최초로 비알콜성지방간염 치료제로 승인 받을 경우, 국산 글로벌 신약으로서 전 세계 인류의 보건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환자의 경제적 부담 또한 현저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한미약품은 2020년 8월, 미국 MSD로부터 확정된 계약금 1,
마크로젠(대표이사 이수강)이 미국 제약회사 라이펙스 바이오랩(Lifex Biolabs, Inc. 이하, 라이펙스, 대표이사 유원식)과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공동 연구를 본격화한다고 22일 밝혔다. 공동 연구를 위한 파트너십을 통해 마크로젠은 DNA 서열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파킨슨병 표적치료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Biomarker)를 선별하고, 라이펙스와 협력하여 신약개발 및 상업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바이오마커는 세포, 혈관, 단백질, DNA 등을 이용해 몸속 변화를 알아내는 생물학적 지표로 암, 뇌졸중, 치매 등의 난치병을 진단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마크로젠은 신약개발 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20년 라이펙스에 대여금 형식으로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 바 있다. 투자 이후 라이펙스와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지속해왔으며, 협력 추진을 위한 첫 단추로 공동 연구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전략적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신약개발 사업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라이펙스는 싱가포르 난양공대(NTU)가 기술 이전한 신약후보 물질을 가지고 파킨슨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를 선
GSK와 큐어백(CureVac N.V)이 기존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1억 5,000만 유로 규모의 신규 제휴를 체결하고, 여러 변종을 예방할 수 있는 다가 백신인 차세대 mRNA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공동 개발한다고 지난 3일(본사 기준) 밝혔다. 또한 GSK는 2021년 한 해동안 큐어백의 1세대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CVnCoV’ 제조를 최대 1억 도스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독점적인 공동 개발 내용을 담고 있는 이번 협력에 의해, GSK와 큐어백은 다가 백신 및 1가 백신을 포함한 여러 신규 mRNA 백신 후보물질을 연구·개발·제조하기 위한 자원과 전문성을 결합할 예정이다. 양사의 목표는 다양한 변이성 SARS-CoV2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변종에도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2022년까지 규제 당국 승인을 받고 백신을 출시할 수 있도록 즉시 개발을 시작할 예정이다. 새로운 코로나19 변종의 출현으로 1세대 코로나19 백신 효능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현 상황에서, 변종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을 하루 빨리 개발하고 팬데믹 상황에 대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차세대 코로나19 백신은 접종 받은 이력이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