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앤씨바이오(290650)가 일본 미용·의료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엘앤씨바이오는 유통사 PRSS JAPA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체결하고, 자사의 ECM(세포외기질) 기반 스킨부스터 ‘엘라비에 리투오’(일본 브랜드명 ‘브나쥬’, BNAJU)를 일본 최대 미용·의료 네트워크인 쇼난 뷰티 클리닉(Shonan Beauty Clinic, SBC)에 공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PRSS JAPAN은 공식 유통 파트너로서, 오는 10월부터 쇼난 뷰티 클리닉 전국 150여 개 지점에 BNAJU를 공급한다. BNAJU는 ‘Beauty and Natural Rejuvenation’의약자로, 자연스러운 피부 회복을 지향하는 브랜드 콘셉트를 담았다. PRSS JAPAN은 글로벌 미용·의료 제품의 일본 시장 진출을 지원해온 전문 유통사로, 일본 내 의료기관 네트워크와 규제 대응 경험을 바탕으로 신제품의 시장 안착에 강점을 갖고 있다. 쇼난 뷰티 클리닉은 일본 전역에 약 150개 지점을 운영하는대형 미용·의료 네트워크로, 연간 수백만 명이 방문하는 일본 대표 미용의료 브랜드다.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의료 표준으로 젊은 층과 직장인 등 폭넓은 고객층을 확보하고
동아에스티의 자회사 동아참메드(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63회 대한임상병리사 종합학술대회 및 국제컨퍼런스(2025 KAMT 울산)'에 참가했다고 23일 밝혔다. 대한임상병리사 종합학술대회 및 국제컨퍼런스는 임상병리 분야의 연구결과 발표 및 회원 간의 교류 및 협력을 통해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는 국내 임상병리사 최대 학술교류의 장이다. 국내 임상병리사 3,000여 명과 일본, 대만, 태국 등 해외 임상병리사 150여 명이 참가해 성황을 이뤘다. 동아참메드는 병원 환경 개선을 통한 의료진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채혈 전 과정과 검사 전 과정을 전자동화한 TPAS(Total Pre analytical system)를 구축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채혈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킨 장비 ‘HENe’, ‘FLEXTRAC’, ‘FLEXTRAC AIR’를 선보였다. ‘HENe’는 병원 EMR(Electronic Medical Record)과 연동해 환자 정보를 자동으로 라벨에 인쇄하고 튜브에 부착하는 장비다. 다양한 튜브 사용이 가능하며, 대용량 검체 적재와 빠른 튜브 배출로 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 고 인 : 故 김 영 택 ■ 모신곳 : 동군산병원장례식장 특2호실(전북 군산시 조촌로 155) ■ 발 인 : 2025년 9월 24일 수요일 오전 7시 30분 ■ 장지 : 군산시 승화원 ■ 연락처 : 063)441-4444
셀루메드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차세대 골이식재 고도화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셀루메드는 지난 7월부터 AI 기반 펩타이드 융합 골이식재 개발 연구에 착수, AI 기술을 활용해 통상 6~7개월이 소요되는 후보물질 탐색 과정을 대폭 단축해 신규 후보물질 8종을 선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과정에서는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단백질 구조 예측 최신 플랫폼인 AlphaFold 3를 활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과정에서 셀루메드는 BMP2 및 성장인자들의 단백질 구조 연구와 더불어 기존에 존재하지 않던 신규 구조로 디자인(de novo design)된 펩타이드 후보물질과 결합 상호작용 분석, 후보물질의 결합력 및 안정성 검증에 주력했다. 이번에 발굴된 후보물질 8종은 현재 추가 검증 과정을 거치고 있으며, 향후 최적화 단계를 통해 핵심 후보물질로 개량될 예정이다. 회사는 연내 핵심 후보물질을 확정하고 동물모델을 통한 유효성 검증 연구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제이엘케이(대표 김동민, 322510)가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크기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논문을 국제 학술지 Journal of Stroke에 게재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번 성과는 임상 현장에서 활용도를 크게 높이는 동시에, 제이엘케이의 매출 성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제이엘케이의 연구팀은 뇌졸중과 심방세동을 모두 앓고 있는 환자들의 확산강조영상(DWI)을 활용해 뇌경색 크기를 경증, 중등증, 중증으로 자동 분류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알고리즘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4개의 병원에서 수집한 1,091건의 DWI 스캔을 훈련 데이터로 사용했으며, 외부 검증을 위해 2017년부터 2020년까지 11개의 다른 병원에서 수집한 1,265건의 DWI 스캔도 사용됐다. 연구 결과, 딥러닝 알고리즘은 외부 검증 데이터셋에서 뇌졸중 전문가의 분류와 87.4%의 높은 일치율(percentage agreement)을 보였다. 코헨의 카파(Cohen's kappa) 값은 0.81로, 뇌졸중 전문가 두 명 간의 일치율(74.6%, 카파 값 0.62)보다 높은 성능을 기록했다. 특히, 이 알고리즘은 뇌경색 크기에
엔젠바이오(354200)는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ODM 선도기업 코스맥스바이오와 유전자 데이터 기반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공동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엔젠바이오가 보유한 수십만 건 이상의 한국인 건강 관련 유전자 데이터와 AI분석 역량에 코스맥스바이오의 세계적 수준의 R&D 및 ODM 제조역량을 결합해 협력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비만 맞춤형 기능성 원료 및 제품 공동 개발 ▲신규 원료 발굴 ▲뇌 건강, 및 실버케어 신제품 연구 ▲글로벌 공동 마케팅 및 해외 시장 진출 확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엔젠바이오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반 암 정밀진단 제품을 국내 처음으로 상용화한 정밀진단 플랫폼 기업이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방대한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와 AI 분석 역량을 확보해왔다. 또 국내 첫 BRCA 유방암 정밀진단 제품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했으며, 아시아 첫 유럽 CE-IVD 인증을 받는 등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을 입증했다. 현재는 유전체 분석 역량을 기반으로 맞춤형 헬스케어 및 건강기능식품 분야로 사업
동아에스티의 자회사 동아참메드(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Medical Fair Thailand 2025(태국 방콕 의료기기 전시회)'에 참가했다고 18일 밝혔다. Medical Fair Thailand 2025는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의료·헬스케어 전시회로 전 세계 약 40개국 1000여개 기업이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동아참메드는 하이엔드급 이비인후과 진료대 ‘DCU-4000’, 이비인후과 카메라 영상 시스템 ‘V1 SMART’ 및 ‘V1 SMART mini’를 선보였다. DCU-4000은 기존 진료대를 디지털화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프리미엄 ENT(이비인후과) 진료대다.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과 직관적인 LED 표시 및 셀프 모니터링 기능을 갖춰 의료진이 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병원 인테리어와 조화를 고려한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독창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성 등을 인정받고 대한민국 우수산업디자인(Good Design)에 선정된 바 있다. V1 SMART는 Full HD 해상도의 고성능 이비인후과 카메라 영상 시스템이다. 터치형 제
메디아나(041920)가 지난 7월 말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전동식 심폐 인공소생기(ACM, Auto CPR Machine) ‘ACM10’에 대한 의료기기 제조허가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허가는 국내에서 개발·생산된 전동식 심폐 인공소생기로는 최초 사례다. 회사는 올해 하반기 양산을 시작해 내년 초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며, 내년 하반기에는 CE MDR 인증을 거쳐 유럽을 포함한 응급 이송 거리가 긴 국가를 중심으로 글로벌 수출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ACM10은 벨트고정형 자동 흉부 압박 방식과 저중심 설계를 동시에 적용한 제품이다. 무게 중심을 낮춘 압박부 구조로 이송 중에도 압박 정확도와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으며, 벨트고정형 구조는 다양한 체형과 자세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원과 119 구급 현장 등 다양한 응급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고가의 해외 수입 제품에 의존해 보급률과 유지보수에 한계가 있었다. 회사 측은 ACM10이 제조원가 절감과 국내 환경에 맞춘 설계를 통해 가격 경쟁력과 실용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 향상과 의료진의 부담 감소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
글락 바이오텍(Glac Biotech)이 개발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CP-9(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CCTCC M 2014588)가 FDA 승인을 획득하였다. 글락 바이오텍은 프로바이오틱스와 포스트바이오텍스 개발업체로 이번 승인 등급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제품(GRAS)이다. 글락 바이오텍은 이번 승인으로 2023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MP108(Lactobacillus rhamnosus MP108) 승인에 이어 대만 프로바이오틱스 원료 제조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FDA GRAS 승인을 복수로 받은 업체가 되었다. FDA 신고서에 따르면 CP-9는 다음과 같이 여러 식음료 제품에 1회분 당 10⁹ 콜로니 형성 단위(CFU)까지 사용 가능하다. 이번에 승인받은 CP-9는 2023년 뉴트라 인그리디언츠 어워드(NutraIngredients Awards) 최종 후보에 오른 적도 있으며 그간 장 건강과 면역 조절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CP-9가 FDA GRAS 지위를 획득함에 따라 글락 바이오텍은 포트폴리오를 확대하여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와 같은 기존 균주와 함께 영유아 및 가족 영양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글락 바이오텍의
레저, 스포츠 붐과 함께 야외 활동용 아웃도어 안경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아웃도어 안경의 대중화도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선글라스를 제외하고는 일부 매니아층에 한정됐으나 고글, 변색렌즈안경, 편광렌즈안경 등으로 다양해지고 착용 인구도 점증 추세이다. 성능과 기능도 갈수록 향상되고 있다. 렌즈는 더 얇고 가벼워졌고 선진 공법 국산화로 혁신적 성능을 갖춘 제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들 아웃도어안경 중에서도 특히 낚시 매니아에 국한됐던 편광렌즈안경의 경우 착용 인구의 급속한 증가 추세가 눈에 뜨인다. 레저인구의 증가와 함께 기존 편광렌즈를 개선한 혁신적 제품이 보급되어 일반인들에게까지 어필하고 있기 때문이다. 케미렌즈는 편광 코팅 기법을 국산화한 편광렌즈 ‘케미폴라코트’가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국내 최초로 개발된 코팅 방식의 편광렌즈로서 사물, 지면, 수면 등에 반사되는 강한 빛을 줄여 눈부심을 막아주고 시야를 더 선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필름 방식의 편광렌즈는 렌즈가 두껍고, 테 없는 무테 안경이나 반무테 안경테에 가공이 어려워 안경테 선택에 한계가 있었다. 또 선명도가 떨어지고 안경렌즈 수명 또한 길지 않아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