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지정의 척추 전문 강남 우리들병원 신임 병원장으로 배준석 신경외과 전문의가 취임했다. 7월 28일(금) 오전 7시 병원 본원 대강당에서 금요컨퍼런스와 함께 진행된 신임 병원장 취임식에는 이상호 우리들병원 회장을 비롯 김호진 강남 우리들병원 명예원장, 박승숙 본부장 등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했다. 배준석 신임 병원장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강남 우리들병원 신경외과 전임의를 거쳐 다년간 우리들병원에서 연간 수술 400례 이상, 시술 200례 이상의 척추 치료를 해온 실력파이다. 특히 내시경 레이저 허리 디스크 절제술(PELD), 만성요통치료, 척추관 협착증 치료를 비롯해 퇴행성 척추후만증 같은 척추변형치료, 목디스크 치료 등 다분야에서 정평이 나있다. 풍부한 임상 경험은 물론, 학술 연구개발에도 매진해 SCI급 국제학술저널에 20여 편의 논문 발표, 국제학회에서 40여 회 초청강연 등 뛰어난 두각을 보이며 2014년 우리들병원 최우수 구연 발표상, 2016년 베스트 척추 전문의상, 2016년 최우수 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또한, 배준석 병원장의 척추변형 관련 논문 '시상면 불균형을 동반한 성인 척추변형 환자에
한국파스퇴르연구소(소장: 류왕식)는 스페인 톨레도에서 열린 제 6회 리슈만편모충증 월드 콩그레스(World Congress on Leishmaniasis)에서 국제감염병 연구재단인 DNDi(Drugs for Neglected Diseases initiative)로부터 올해의 프로젝트 상을 수상했다고 발표했다. 올해의 프로젝트 상은 한국파스퇴르연구소가 참여한 ‘소외된 열대 질환 신약 개발 프로젝트(Neglected Tropical Diseases Drug Discovery Booster)’팀에게 수여 되었다. 다국적 협력 기반의 ‘소외된 열대 질환 신약 개발 프로젝트’는 신약 개발 초기 단계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신약 개발 속도와 가능성을 높여, 현재 세계에서 가장 소외된 질환으로 알려진 샤가스병과 리슈만편모충증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공동연구로, DNDi가 2015년 4월에 시작해 2018년까지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현재 이 프로젝트에는 DNDi, 한국파스퇴르연구소 및 다섯개의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에이자이(Eisai), 다케다(Takeda), 시오노키(Shionogi), 셀진(Celgene)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가 참여하고 있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노바티스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타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의 제품 의약품설명서(SmPC)에 무치료관해(TFR, Treatment Free Remission)에 대한 정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지난 6월 승인했다. 무치료관해란 만성기의 필라델피아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이하 TKI, Tyrosine Kinase Inhibitors) 치료를 중단한 이후에도 분자학적 반응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승인은 타시그나가 유럽연합에서 제품 의약품설명서에 무치료관해 정보를 포함하는 최초이자 유일한 TKI가 된다는 점에서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사회에 중대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이번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 승인은 48주간의 공개 라벨 임상시험인 ENESTfreedom과 ENESTop의 효능 및 안전성 결과에 기반했다. 두 임상에서 엄격하게 규정된 반응기준을 충족한 만성기의 필라델피아염색체 양성 만성골수성백혈병 환자 50% 이상이 타시그나 1차 치료와 이매티닙에서 전환한 2차 치료 중단 후에도 무치료관해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들 연구에서 이미 알려진 타시그나 안전성 프로
여름방학을 맞은 어린이들을 위한 축제, <2017 Summer Kids Festival>이 8월 15일(화) 경기도문화의전당(사장 정재훈)에서 열린다. 전당은 페스티벌에 참가할 어린이들을 위해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소극장과 썬큰무대, 야외 광장 등 다양한 공간을 전석 무료로 개방하여 신나는 여름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어린이 뮤지컬과 매직쇼, 비보이 댄스, 비트박스 공연과 함께 페이스 페인팅, 크로마키 체험, 클레이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여름방학을 맞이한 아이들은 물론 무더위에 지친 어른들까지, 가족 모두가 시원한 휴가를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소극장에서는 어린이 뮤지컬 <꾸러기공룡 코리요>가 무대에 오른다. KBS 인기 애니메이션 <꾸러기 케라톱스 코리요>를 뮤지컬로 각색한 본 공연은 말썽꾸리기 공룡 코리요가 친구 달콩이의 피부병을 고치기 위해 생명의 물을 찾으러 떠나는 모험 이야기다. 최근 새롭게 잔디객석을 마련한 썬큰무대에서는 비보이 댄스와 비트박스의 버스킹 공연, 매직쇼가 진행된다. 비보이 댄스를 보여줄 팀 ‘오메가포스크루’는 2015년 대한민국 국
심혈관계 중환자치료 ‘전담전문의’ 배치와 다학제진료가 심장내과 중환자실 사망률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2013년 국내 처음으로 중환자의학과를 개설, 운영중인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의학과/순환기내과 양정훈 교수(사진) 연구팀은201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심혈관계질환 원인으로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2,431명을 대상으로 사망률을 비교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3년 3월 이전 전담전문의와 다학제 진료가 없는 ‘낮은 관리그룹(low-intensity)’ 616명과 2013년 3월 이후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배치되고 다학제 진료를 받은 ‘높은 관리그룹(High-intensity)’ 1,815 명을 나눠 조사한 결과, 낮은 관리그룹 일 때 8.9% 에서 높은 관리 그룹 에서는 4.1% (adjusted odds ratio, aOR 0.53) 로 사망률이 47% 감소했다. 또한 최근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심인성 쇼크’ 대상 환자 중 에크모 치료를 받은 환자 사망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낮은 관리그룹(low-intensity) 일 때 54.5% 에서 높은 관리 그룹(high-intensity)은 22.5% (a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붕대, 탈지면, 생리대 등 지면류 의약외품에 대한 제조관리 업무를 정규대학 졸업자뿐만 아니라 독학사나 학점인정에 따라 학위를 취득한 사람도 수행할 수 있게 하는「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의약외품 제조관리자 범위 확대는 학력‧학벌주의 관행 철폐 정책에 맞춰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경우 학력과 상관없이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교육소외계층에 대한 취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정부의 국정과제와 철학을 실현하고 안전한 의약외품이 국민들에게 공급‧유통될 수 있도록 규제를 합리적으로 정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바이오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의약품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추가하여 ‘원료의약품 개발 및 제조 품질심사 가이드라인‘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은 지난해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 정회원 가입과 함께 도입한 ICH 가이드라인 중 바이오의약품 관련 내용을 안내하여 바이오의약품 품질심사 등 제약사‧개발사의 제품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다. 개정 내용은 ▲바이오의약품의 원료의약품 출발 물질 선정 ▲원료의약품 출발 물질 선정에 관한 타당성 증명 ▲원료의약품 특이적 공정 밸리데이션과 평가원칙 ▲실제 사례 등이다. 안전평가원은 이번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바이오의약품 원료의약품을 개발사‧제약사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림성모병원(병원장 김성원) 변주선 행정원장(76)이 금아피천득선생기념회 제2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금아피천득선생기념회는 지난 3월 금아 피천득(1910~2007) 선생의 유족과 제자들을 중심으로 발족한 단체로 학술대회 개최, 문학상 제정 등 금아 문학을 널리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피천득 선생은 시인, 수필가 겸 영문 학자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인으로 꼽힌다. 금아피천득선생기념회 제2대 회장으로 선정된 대림성모병원 변주선 행정원장은 구로다나병원 이사장직을 함께 역임하고 있고, 세계걸스카우트 아태지역대회 조직위원장(1989년), 한국걸스카우트연맹 제18대 총재(1994년), 유엔 50주년 기념사업회 자문위원(1996년), 세계걸스카우트 아태지역위원회 의장 (2001~2004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총동창회 35~37대 회장(2009~2014년) 등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대림성모병원 변주선 행정원장은 국민훈장 동백상, 제11대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상, 세계걸스카우트연맹 브론즈 메달상, 인도 대통령 Silver Elephant Award, 비추미 여성대상, 유관순상, 청관대상, 제18회 서울대 관악대상 등을 수여하며
지난 27일, GSK의 HIV 전문기업인 비브 헬스케어(ViiV Healthcare)는 임상시험 LATTE-2의 96주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LATTE-2는 장기지속성 HIV 주사제인 카보테그라비르와 릴피비린 (얀센의 에듀란트)의 2제요법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경구용 카보테그라비르와 2가지의 뉴클레오시드 역전사효소 억제제(NRTIs)의 3제요법으로 바이러스 억제를 달성했던 HIV감염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오픈라벨의 임상 2b상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는 저명한 의학학술지인 란셋(The Lancet) 온라인판에서 발표됐고,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9회 국제에이즈학회(IAS: the International AIDS Society) 연례 학술대회에서 소개됐다. 3개 이상의 약제를 포함한 경구용 고정용량 치료제(fixed dose oral treatment)는 HIV 감염인의 복용 부담(pill burden)을 낮출 뿐 아니라 편의성을 개선시키면서 HIV 치료제 발전을 이끌었다. 새로운 HIV 치료제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됨에 따라 바이러스 억제 달성 및 내성 변이의 발현을 줄이는데 복약순응도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임상연구 LATTE-2는 카보
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은 31일 짜먹는 감기약 ‘콜대원’의 신제품인 어린이 감기약 및 해열제 ‘콜대원 키즈’ 4종을 출시했다. 콜대원 키즈는 만12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위한 제품으로,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 각각의 성분을 사용한 2종의 해열제와 어린이들이 자주 걸리는 기침감기와 코감기를 위한 2종의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자주 복용하게 되는 2종의 해열제 제품은 무색소, 무보존제 처방에 ‘펜시럽(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펜시럽(이부프로펜)’의 2가지 성분의 제품으로 각각 출시되며, 발열이 심할 경우 두 제품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교체해 가며 투여 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기침감기용 ‘코프시럽’과 코감기용 ‘노즈시럽’은 불필요한 성분의 남용 없이 해당 증상에만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성분들만으로 개발되어 어린이 감기의 개별 증상에 딱 맞게 복용이 가능하다. 콜대원 키즈는 알약이나 가루약을 먹기 어려워하는 아이들을 위해 아이들이 좋아하는 딸기향의 시럽제 형태로 개발되었고, 정량 복용을 위해 계량컵을 사용하고 있는 기존 용기형 시럽제의 불편함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1회용의 간편한 스틱 파우치 포장을 적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