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이 NASH(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 혁신신약으로 개발중인 LAPSTriple Agonist(HM15211)를 간 희귀질환 치료제로도 개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했다. 한미약품(대표이사 권세창·우종수)은 23일부터 26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된 유럽간학회(EASL,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ILC(The International Liver Congress, 국제 간 학술대회)에서 LAPSTriple Agonist의 NASH 치료 및 간 희귀질환 치료 효과, 기전 확인 등 3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LAPSTriple Agonist는 체내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과 인슐린 분비 및 식욕억제를 돕는 GLP-1, 인슐린 분비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GIP 수용체들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 바이오신약 후보물질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한미약품은 2020년 미국 FDA로부터 원발 경화성 담관염(PSC: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과 원발 담즙성 담관염(PBC: Primary biliary cholangitis) 치료 희귀의약품으로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은 지속형 비만치료제 신약으로 개발중인 YH34160의 전임상 효능시험 결과를 국제 학술대회에서 발표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6월 25일(미국 현지시간) 2021년 미국당뇨병학회(ADA) 연례 학술대회 포스터 세션에서 발표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된 초록은 6월 22일(미국 현지시간)에 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다. YH34160은 유한양행에서 자체 개발중인 지속형 비만치료제 후보물질이다. 새로운 식욕 억제 기전을 가진 GDF15 단백질의 지속형 변이체 약물로, 주로 뇌에 존재하는 GDF15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식욕 억제를 통한 체중 감량을 유도한다. 기존 경구용 비만 치료제의 경우 주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 체중 감량 효과는 있으나 의존성과 심혈관계 관련 부작용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반해 YH34160은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와 상대적으로 낮은 부작용이 예상되는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지속형 비만치료제이다. 이러한 특장점을 임상에서 입증한다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비만 질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여서 확장 가능성이 큰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YH3416
㈜툴젠(대표 김영호 · 이병화, KONEX 199800)은 16일 3D바이오프린팅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KOSDAQ 246710, 대표이사 윤원수)과 면역 거부 극복 유도만능줄기세포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공동연구에서 면역 거부 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교정하여 폭넓은 재생의료 소재로 활용가능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개발하고 검증하게 된다. 현재 대부분의 세포치료제는 이식 시 면역거부반응으로 인해 자가세포를 이용하게 되는데 면역 거부 반응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교정하게 되면 동종세포 이식이 가능하게 되며, 이를 유도만능줄기세포에 적용하여 동종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게 된다면 생산성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기존 연구/개발에서 면역 거부 극복을 위한 타깃 유전자들과 차별화 되는 새로운 타깃 유전자들을 접목하여 독자적인 면역거부 극복 유전자교정 전략을 검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툴젠 이재영 치료제 개발부문장에 따르면, “유전자교정 기술을 줄기세포에 접목시키는 것과 면역 거부를 극복하는 것은 재생의료에 사용되기 위한 핵심적인 단계이다.”라며, “특히,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될 수 있기 때문에 유전자교정 세포치료제
엔지켐생명과학(대표이사 손기영, 183490)은 2021 바이오 코리아(BIO KOREA)에서 ‘암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한 면역항암요법의 최신 연구’ 주제로 컨퍼런스 세션을 주관(좌장: 박갑주 박사)하였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약후보물질 EC-18의 적응증인 항암화학방사선요법으로 인한 구강점막염과,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 요법에 대한 글로벌 라이센싱 계획도 발표했다. 올해로 16회를 맞은 바이오 코리아는 6월 9일부터 11일까지 사흘간 개최되었으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최,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국제적 정보교류 및 기술 거래의 장이자 대한민국 대표 바이오·헬스산업 컨벤션으로 코로나 팬데믹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총 53개국 680여개 기업이 참여하였고 2만명 이상이 참관하였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최신 항암 치료제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면역항암제를 핵심 주제로 ‘암환자의 생존율 개선을 위한 면역항암요법의 최신 연구’ 라는 제목으로 박갑주 박사를 좌장으로 하고 국내외 면역항암제 임상 관련 전문가들을 연사로 초청하여 컨퍼런스 세션을 진행하였다.
난치성 항암치료제 및 당뇨합병증 치료제 개발업체 압타바이오㈜(대표이사 이수진, 293780)가 안구 점안 제제 기술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고 14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공식 특허 명칭은 ‘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점안 조성물’이다. 특허를 획득한 점안 제제 기술은 안구에 약물을 투여 시, 안구의 앞쪽 뿐만 아니라 뒤쪽까지 한 번에 약성분이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안질환 치료를 위한 점안제에 해당 기술을 적용하면 효과 개선과 함께 질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압타바이오는 해당 특허 기술을 황반변성치료제 ‘APX-1004F(SJP1804)’에 적용해 개발하고 있다. ‘APX-1004F’는 삼진제약과 공동연구 중인 혁신신약(First-in-class)이다. 체내 효소 ‘NOX’ 저해를 통해 안구의 염증·섬유화·신생혈관 생성 자체를 억제해 기존 치료제의 불응률∙재발률을 극복한 것이 큰 특징이다. 압타바이오는 지난 2018년 삼진제약과 ‘APX-1004F’ 기술이전(L/O)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양사는 해당 파이프라인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이며 지난해 12월 안질환 치료제 제제 관련 공동 특허를 획득하고, 올해 초 국내 임상1상 IND 제출하고 승인을
액체 생검(생체 검사) 암 진단 진캐스트(대표 백승찬)는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 폐식도외과 분과 김진국 교수팀과 함께 비소세포폐암 조기 진단을 위한 임상 연구를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진캐스트의 ADPS 기술을 적용한 액체 생검 EGFR 검사 결과가 종양 조직 DNA에 대한 EGFR 검사 결과를 대변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특히 임상 병기 1B~3A 단계에 해당하는 초기 환자를 대상으로 액체 생검의 조기 진단에 대한 임상 효능을 확인하는 데 의의가 있다. 지금까지 폐암 환자에 적용된 액체 생검의 임상적 효능은 대부분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전이된, 즉 혈액에 여러 종양 세포 편린이 내포된 폐암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하지만 혈액으로 전이된 병소가 없기에 절제 수술을 할 수 있는 폐암 환자의 수술 전 EGFR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 능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만큼 이에 대한 연구가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절제 가능한 조기 폐암에서 수술 전 EGFR 억제제 투여 연구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술 전 EGFR 억제제 투여가 일찌감치 종양 전이를 막고, 종양 크기를 줄여 수술을 가능하게 만들면서 실질적인 생
최근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차세대 혁신 DNA 물질인 ‘압타민C’를 활용한 개선 가능성을 제시한 논문이 항산화제 관련 연구 분야 상위 5%의 논문들만 게재되는 SCI 국제 학술지에 게재돼 화제다. ㈜넥스모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DNA압타머 ‘압타민C(Aptamin-C)’가 “아토피로 인한 피부 염증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논문이 SCI급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안티옥시단츠(Antioxidants 항산화)’ 6월호에 게재됐다고 14일 밝혔다. 최근 발행된 국제 학술지인 ‘안티옥시단츠(Antioxidants) 6월호에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ptamin C on the House Dust Mite Extract Induced Inflammation in Keratinocytes via the Regulation of IL-22 and GDNF production”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넥스모스는 피부 노화와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차세대 혁신 DNA 물질인 ‘압타민C’ 개발에 성공한 국내 바이오 기업이다. 이번 논문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강재승 교수팀이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저술한 것으로 압타민
에이치엘사이언스(대표 이해연)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목적의 천연물소재인 IB복합물이 대만 특허를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특허는 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특허의 IB복합물은 췌장 리파아제의 효소 활성을 억제시켜 섭취한 지방의 소화∙흡수 저해, 지방합성 억제, 지방분해 촉진 및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며 혈당흡수 조절 및 당 대사 촉진 등 다양한 작용기전으로 비만 및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다. 회사는 본 특허를 대사증후군(항비만 및 항당뇨)의 건강기능식품 등의 해외시장 개척에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IB복합물은 지난해 10월 29일 2020 대한민국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UN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특별상 및 금상을 각각 수상했다. IB복합물은 인구 고령화와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대사증후군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소재의 개발 필요에 따라 연구 개발되었다.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 이하 ‘사노피’)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의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제1탄의 수요기업으로 참여해, 바이오헬스 분야 과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스타트업 참가자를 6월 30일까지 모집한다.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은 대기업이 제시한 과제를,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상호 혁신 성장을 도모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상생 협력 프로그램이다. 이번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1탄에서는 정보통신기술/소프트웨어(ICT/SW), 바이오헬스, 소재제조 등 혁신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7개 과제가 주어진다.
㈜헬릭스미스가 10일부터 9일간 개최되는 ‘바이오 디지털(BIO Digital) 2021’에서 발표한다. 이번 행사에서 헬릭스미스는 회사와 후보물질들에 대한 개발 현황을 전반적으로 소개하고, 특히 엔젠시스(VM202)의 임상개발 현황을 중점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바이오 디지털(BIO Digital)’은 미국바이오협회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바이오 비즈니스 행사다. 1993년부터 매년 미국의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10일과 11일에는 참가 기업들의 발표가, 14일부터 18일까지는 일대일 바이오 파트너링이 진행된다. 약 2,900개 이상의 바이오 기업에서 5,000명 이상의 관계자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헬릭스미스는 이번 발표에서 회사가 유전자치료 분야 전반에 걸쳐 플랫폼 기술을 갖고 있음을 강조하고, 이미 플라스미드 DNA, AAV, CAR-T 등 다양한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여 임상 중이거나 준비 중임을 밝힐 예정이다. 발표의 핵심은 세계 최초로 유전자치료를 이용하여 당뇨병성 신경병증(DPN)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임상 3상이 진행 중임을 알리고, 이미 실시한 DPN 임상 2상, 3상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