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과 한국헬프에이지(회장 조현세)는 ‘헬시 에이징 사진 이야기 공모전’을 진행, 오는 9월 7일까지 ‘헬시 에이징상’ 수상자 후보를 공모한다. ‘헬시 에이징 사진 이야기 공모전’은 한국화이자제약과 한국헬프에이지의 공동 사회공헌활동인 ‘헬시 에이징(Healthy Ageing: 건강하게 나이 들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올해 처음 마련됐다. 이번 공모전은 생활 속 ‘헬시 에이징’을 사진과 이야기로 표현하는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다양한 실천 사례를 통해 ‘헬시 에이징’의 의미와 중요성을 널리 공유하고 모두가 건강한 한국 사회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헬시 에이징에 관심 있는 일반인은 누구나 응모 가능하다. 참가 희망자는 일상 생활에서 ‘헬시 에이징’을 실천하는 본인의 모습 혹은 가족, 지인의 활동을 촬영한 사진(최대 5개)과 사진에 담긴 사연(공백 포함 최대 700자)을 오는 9월 7일 자정까지 온라인(http://healthyageingphoto.ezv.kr/)으로 접수하면 된다. 응모작은 ▲건강과 웰니스 ▲사랑 ▲가족과 친구 ▲나이가 든다는 것 ▲은퇴 후의 삶 등 ‘헬시 에이징’ 주제를 살린 미발표 창작품으로 출품자 본인이
GSK(글락소 스미스클라인) 백신사업부는 호흡기사업부와 공동 주최로 7월 6일과 20일, 26일 서울 및 광주 지역 ‘유비유환(有備有患)’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세빛 둥둥섬과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 광주 홀리데이인 호텔에서 각각 마련되어 ‘고위험군의 독감(인플루엔자) 예방 및 효과적인 천식 치료·관리’를 주제로 이비인후과, 내과 개원의 총 200여명이 참석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유비유환(有備有患)’ 심포지엄은 본격적인 호흡기질환 유행 시즌에 앞서 ‘독감’과 ‘천식’ 고위험군의 효과적인 예방·치료 관리 및 의료현장에서의 임상과 실 적용 사례 등 학술적 지견을 교류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서울 지역 심포지엄에서는 GSK 학술부 장현갑 본부장이 ‘플루아릭스 테트라’ 관련 연자로 나서 “4가 독감백신 플루아릭스 테트라는 독감 고위험군인 만성질환자를 포함한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면역원성과 안전성 데이터를 확인[i]했고, 65세 이상 고령자에서도 높은 항체방어율(SPR)과 항체전환율(SCR)을 보여1 고령자 및 만성질환자의 독감 감염 및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원의 원장 대상 심포지
다케다제약은 테사로와 PARP (poly ADP-ribose polymerase) 억제제인 니라파립의 임상개발 및 판매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으로 다케다 제약은 일본에서 모든 암종, 한국, 대만, 러시아, 호주에서는 전립선암을 제외한 모든 암종 치료에 대해 니라파립을 개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4월 미국에서 처음 출시된 니라파립은 빠르게 가장 많이 처방되는 PARP 억제제가 되었다. 계약에 따르면 테사로는 1억 달러의 계약일시금을 받게 될 것이고 허가 및 상업적 목표 달성에 관련해 2억 4천만 달러까지의 추가적인 단계별 기술수출료를 받을 권리를 얻게 되었다. 테사로는 또한 제품 순매출액의 두 자릿수 퍼센트에 기반한 단계별 로열티를 받을 권리도 갖게 되었다. 다케다는 향후 일본에서 승인될 모든 니라파립의 적응증에 대해서, 그리고 한국, 대만, 러시아 및 호주에서는 전립선암을 제외한 암의 향후 적응증에 대해 독점적 판매권을 가지게 된다. 다케다는 일본을 비롯해 위 4개국에서 니라파립 개발을 책임지게 되며 모든 개발비용도 부담한다. 이 외 구체적인 계약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다케다제약 항암제사업부 크리스토
생명공학 바이오 벤처기업 비트로시스(대표: 박철수)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비트로시스는 8일 IPO(기업공개) 주관사에 키움증권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최근 비트로시스 IPO를 위한 사전실사를 완료했다. 비트로시스는 한국거래소의 심사 승인 절차를 거쳐 빠르면 내년 하반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비트로시스는 지난 달 광동제약으로부터 지분(9.3%) 포함 3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로써 광동제약은 비트로시스의 2대 주주가 되었다. 비트로시스는 향후 광동제약과 식품, 의약품 소재탐색 및 천연물 R&D를 공동 추진함으로써 신제품 개발을 통한 외연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비트로시스는 산삼배양근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손성호 박사가 2002년에 설립한 생명공학 바이오 벤처기업으로 산삼 배양근 관련 식물복제 원천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식물복제 사업 외에도 천연물 신소재 사업, 의약품 원료 및 건강식품 사업, 생물 반응기 장치사업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생명공학 기업 중 하나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윤미 교수가 집필진으로 참여한 미국 인터넷 중독 관련 서적 ‘아동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위험요인, 평가 및 치료(Internet addi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isk factors, assessment and treatment)’가최근 발행됐다. 신간 ‘아동과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스프링거 출판사)은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소아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철저히 조사한 서적이다. 총 15개 파트로 구성된 이 책은 아이들이 미디어에 과도한 시간을 할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인지적, 발달적, 학문적 문제를 보여주고 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을 평가하고 치료, 예방을 위해 애쓰는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준다. 이 책의 책임저자는 인터넷 중독의 선구자이자 세계적 권위자인 세인트보나벤처대학 킴벌리 영(Kimberly S. Young) 교수고 포르투갈 미뉴대학의 Cristiano Nabuco de Abreu 박사 등 인터넷 중독 관련 저명한 저자들이 참여했다. 신윤미 교수는 두 번째 파트인 ‘어린이와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Smartphone Addiction in Children
-장례식장 :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 21호. -발인 : 8월 9일 오전. -연락처 : 010-3576-1815
해방둥이 기업인 JW중외제약이 8일 72번째 창립기념일을 맞았다. 1945년 ‘조선중외제약소’라는 이름으로 출발한 JW중외제약은 8년 만인 1953년 ‘대한중외제약’으로 상호를 변경하면서 현대적 기업 형태를 갖추었다. JW중외제약은 ‘생명존중’의 창업이념을 바탕으로 1959년 ‘5% 포도당’, 1969년 인공신장투석액 ‘인페리놀’ 등 환자에게 꼭 필요한 약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며 치료제 중심의 제약회사로 기틀을 다졌다. ◉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사명감으로 제약 업(業)의 본질에 충실 수액은 대규모 설비가 필요한 장치산업이고 제약사 입장에서는 채산성이 맞지 않은 측면이 있지만 JW중외제약은 환자의 치료라는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변함없이 수액을 생산하고 있다.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지만 수익성이 낮아 제약사가 생산을 기피하는 퇴장방지의약품의 경우 현재 총 755개가 지정되어 있는데, JW중외제약은 이중 140개 품목(JW생명과학 20개 포함)을 생산하고 있다. 이는 국내 제약사 중 으뜸이다. JW중외제약은 단순한 사회 공헌을 넘어 기업 활동 자체가 사회와 회사 모두에게 편익과 이익을 주는 공유된 가치의 창출(CSV) 모델도 보여주고 있다. 창립 초기부터 수
□ 위생적 급식환경 ○ 조리 시설‧기구 등은 반드시 철저하게 세척‧소독 후 사용합니다. * 칼, 행주 등은 끓는 물에서 30초 이상 열탕 소독 * 세제로 1차 세척 후, 차아염소산나트륨액(염소농도 200ppm)으로 소독 ○ 바닥 균열‧파손 시 즉시 보수하여 오물이 끼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출입문‧창문 등에는 방충시설을 설치합니다. □ 식재료의 위생적 보관‧관리 ○ 유통기한 및 신선도를 확인합니다. ○ 식품별 보관방법(냉장‧냉동)을 준수합니다. ○ 해동된 식재료는 바로 사용하고 재 냉동하여서는 안 됩니다. □ 위생적인 조리 ○ 칼‧도마‧고무장갑은 용도별(육류‧어류‧채소 등)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 식재료는 철저히 세척‧소독하고, 청결한 조리도구 사용으로 교차오염을 방지합니다. ○ 가열음식은 중심부 온도가 75℃(패류는 85℃), 1분 이상 가열되는지 확인하고 제공합니다. ○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즉시 섭취하고, 필요한 경우 5℃ 이하 또는 60℃ 이상에서 보관합니다. ○ 무더운 기간 채소류 등은 가능한 가열 조리하여 제공하고, 제공시에는 세척· 소독을 철저히 합니다. □ 개인 위생관리 ○ 설사증세가 있는 조리종사자는 절대로 조리에 참여하거나 음식물을
(주)휴온스글로벌의 자회사인 ㈜휴메딕스(대표 정구완, www.humedix.com)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하 생공연)으로부터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이하 VEGF) 항체 특허(KR-1093717)에 대한 국내·외 전용 실시권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휴메딕스와 생공연은 VEGF 항체 기술을 활용해 지난 2012년부터 황반변성 항체치료제를 공동으로 개발 진행 중이며, 2014년 6월에는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의 ‘루센티스’와 대등한 동물 효능 확인에 성공했다. 휴메딕스는 이번 특허에 대한 전용 실시권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황반변성치료제에 대한 기술 노하우뿐만 아니라 VEGF가 과발현되어 발병하는 황반변성, 각종 암질환, 류머티즘성 관절염, 당뇨병성 망막증, 허혈성 망막병증, 건선, 증식당뇨망막병증, 당뇨병성 황반부에 대한 의약품 및 진단제품의 개발권리를 갖게 된다. 휴메딕스 정구완 대표는 “이번 VEGF 항체 기술에 대한 전용 실시권을 확보하게 됨에 따라 VEGF가 발현하는 특이적인 암, 관절염, 건선, 망막병증 등 다양한 질환의 의약품 및 진단제품의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며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주요 지역인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등 5개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