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신백질이영양증 환자들을 위한 식사요법을 다룬 책 ‘부신백질이영양증의 식사요법’이 탄생했다. 환자들은 식사 시 포화지방산 섭취에 각별히 유의해야 하지만 그간 한국인의 식생활에 초점을 맞춘 자료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어 왔다. 영화 ‘로렌조 오일’로 잘 알려진 부신백질이영양증은 뇌의 백질이 손상돼 발생하는 유전성 대사질환의 일종이다. 병의 원인 물질이 포화긴꼬리지방산이기 때문에 환자들은 포화지방산이 포함된 음식을 자유롭게 먹기 어렵다. 책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신경과 강훈철 교수와 정을식 약리학 기초전공의, 이송미 영양팀장, 김진수 임상영양파트장, 이은주 임상영양사, 서지선 임상영양사, CJ 프레시웨이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의기투합한 결과물이다. 강 교수는 2002년부터 국내 부신백질이영양증 가족 모임 자문의로 활동해 왔다. 환자 수도 적고 그만큼 병에 대한 관심도 높지 않아 늘 안타까웠다. 무엇보다 환자들이 국내에서는 식사요법에 대해 자세히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마음에 걸렸다. 직접 환우들에게 줄 값진 선물을 마련해보자고 마음먹은 것이 책 제작의 출발이었다.그의 자문과 영양팀의 전문성이 만나 국내 환자들이 적용 가능한 명확한 식
경기도와 경기도광역치매센터는 2017년 5월부터 11월까지 경기도 9개 지역에서 치매관리사업 종사자 역량강화를 위하여 지역 중심의 치매 전문인력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 시행으로 치매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치매를 돌보는 전문인력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과 교육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치매는 인지기능의 장애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뇌의 질병으로 그 원인과 증상이 다양하며 치료방법 및 대응방법이 까다롭다. 이에 치매환자를 돌보는 전문인력들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전문인력의 역량강화는 돌봄기능 향상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치매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큰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에서 전문인력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교육장소 및 대상인원 등에 제한이 있어 전문인력들의 교육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경기도와 경기도광역치매센터에서는 교육의 접근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6개 도립노인전문병원, 2개 시립노인전문병원 및 성남시노인보건센터와의 MOU 체결을 통하여 ‘경기도 치매 교육 · 정보 네트워크(Gyeonggi Dementia Education and
서울대병원은 9월 19일(화), 9월 26(화) 두 번에 걸쳐 어린이병원 임상 제2강의실에서 강박증과 조현병을 주제로 정신건강의학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SESSION-Ⅰ ▲ ‘나는 왜 나를 피곤하게 하는가’ - 강박증, 습관이 아니라 치료가 필요해요(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 SESSION-Ⅱ ▲ ‘강박증은 왜 생기나’ - 강박증, 뇌과학적 원인 및 진단방법(정신건강의학과 김민아 교수) SESSION-Ⅲ ▲ ‘내게 맞는 강박증 치료는’ - 약물, 인지행동치료 등 소개(정신건강의학과 한재욱 임상강사) 주제 : 조현병 A to Z / 9월 26일(화) 16:00-18:00 SESSION-Ⅰ ▲ ‘조현병은 어떤 병인가’ - 조현병, 바로 알면 두렵지 않아요(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 SESSION-Ⅱ ▲ ‘조현병은 유전이 되는 병일까’ - 조현병의 초기 징후발견과 조기 예방법(정신건강의학과 이태영 교수) SESSION-Ⅲ ▲ ‘잘 낫지 않는 조현병 치료방법’ - 최신 치료법 소개(정신건강의학과 이준희 임상강사) 매 강의 후에는 질의응답과 공개상담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사전등록 없이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강의비는 무료이다.
노바티스가 최근 서울에서 개최된 제 1회 국제조혈모세포이식학회(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BMT 2017) 심포지엄에서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치료제 레볼레이드(성분명 엘트롬보팍올라민)의 고령환자 대상 치료 효과를 공유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만성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치료의 새 패러다임’을 주제로 한 특별 세션(Satellite symposium) 을 통해 발표되었다. 이 연구는 레볼레이드의 최대 8.8년의 장기 치료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한 EXTEND 임상연구 참여 환자 중 65세 이상의 고령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하위분석 연구로 , 2017 유럽혈액학회(EHA, European Hematology Association)에서 발표된 고령환자 치료 효과 및 안전성 임상의 추가 데이터다.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은 혈액 속의 혈소판 수치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로 , 몸 안의 면역체계가 혈소판을 이물질로 인식하여 공격하는 자가 면역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6년 한 해에만 국내 8,673명의 환자가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으로 진료를 받았다 . 면역성
"한국의 척추 치료기술은 놀랍다. 브라질에서는 여전히 개방적인 척추 수술이 대부분으로, 최소침습 기술을 익히고 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사와 의료기관이 극히 드물다." 브라질 정형외과 및 외상학 병원 '센트로 오토페디코 브라질리아(Centro Ortopedico de Brasilia)'의 정형외과 전문의 브레노 프로타 씨케이라 박사(Dr. Breno Frota Siqueira)는 최근 강남 우리들병원에서 '제 93회 미스코스 프로그램(MISS Course program)'에 참가했다. 씨케이라 박사는 지난 2010년 강남 우리들병원에서 1년 전임의 과정(Fellowship Course)을 수료한 동료의사의 추천을 받아 이곳에 왔다. 1주일간의 미스코스 과정이 끝난 후에도 보다 깊이 있는 교육을 받고자 2주간 더 머무르며 수술참관과 실습을 요청할 정도로 열의가 넘쳤다. 지난 8월 28일부터 시작된 '제 93회 미스코스 프로그램(MISS Course program)'에는 브라질, 인도, 대만, 홍콩 등 6명의 척추 전문의가 참석했다. 참가자의 요구나 수준에 맞춘 커리큘럼을 제공하기 위해 회당 모집인원을 5~6명으로 제한하고 있어, 이들은 대부분 작년부터 신청과 대기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리처드 유)은 9월 5일 국내 학대피해아동을 위한 그룹홈 (Group Home) 프로젝트 지원 기금으로 1200만원을 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회장 이배근)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본 기금은 한국로슈진단이 지난 6월 16일 서울 석촌호수에서 아프리카 어린이의 날을 기념해 진행한 자선걷기 행사 ‘로슈 칠드런 워크(Roche Children’s Walk)’에서 직원들이 기부한 모금액과 같은 금액을 회사에서 매칭펀드로 조성한 것이다. 최근 한국사회를 충격으로 몰아넣은 다수의 아동학대 사건들은 대부분 집에서 부모에 의해 학대행위가 저질러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국 아동학대 현황 보고서(보건복지부, 2015) 통계에 따르면 친부모에 의한 학대가 전체 아동학대의 약 80%에 이르며, 학대 발견 후 73.3%가 원가정으로 복귀되는데 그 가운데 재학대 발생률이 10.6%에 달하고 있다. 때문에 한국로슈진단의 기금은 작년에 이어 아동을 학대 행위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그룹홈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그룹홈은 학대, 방임, 가정해체 등으로 인해 사회적 양육이 필요한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소규모 가정형 아동복지시설로 한국로슈진단은 2014부터 기금 조성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승택, 이하 ‘심사평가원’)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공동 수행한「정신건강의학과 환자 입원의료비에 있어 한국형 진단명기준 환자군 분류체계*의 의미와 한계」연구 결과를 2017년 10월 호주에서 개최되는 국제환자분류학회(PCSI**)에서 포스터 발표한다. 환자의 진단명과 시술명, 기능상태 등 관련 정보를 활용하여 환자를 임상적·의료자원 소모적 측면에서 동질하게 분류하는 도구로, 포괄수가제, 심사․평가, 상급종합병원․전문병원 지정 등 심사평가 업무 및 보건의료정책에 활용 ‘84년 유럽에서 설립되어 환자분류체계 이슈를 다루는 가장 권위 있는 국제단체로, 보건행정가, 정부기관, 학회, 연구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심사평가원은 환자분류체계 자료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전문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도입한 ‘환자분류체계 연구 논문화 사업’의 첫 사례로,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함께 ‘16년 12월부터 ’17년 3월까지 4개월간 「정신건강의학과 환자 입원의료비에 있어 한국형 진단명기준 환자군 분류체계*의 의미와 한계」라는 공동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에서 재원일수에 따른 진료비 차이로 인해 5개 질병군에서 동질성이 낮고, ‘MDC 19 정신질환 및 장애’의
글로벌 마이크로니들패치 브랜드 ‘아크로패스’가 피부 잡티관리와 색소침착 개선에 효과적인 신제품 ‘아크로패스 스팟이레이저(Acropass Spot Eraser)’ 2종을 출시했다. ‘아크로패스 스팟이레이저 애플존’과 ‘멀티존’ 2가지 타입으로 출시된 이번 신제품은 보습력이 뛰어난 히알루론산과 색소침착 억제 및 잡티완화에 효과적인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아스코빅애씨드, 레스베라트롤 등의 유효성분이 고르지 못한 피부톤을 개선해주는 제품이다. 또한, 아크로패스만의 독창적인 마이크로니들패치 제조기술을 적용해 유효성분의 피부 전달력을 극대화한다. 브랜드의 독창적 기술인 DAB(송풍인장방식)공법은 습윤 패치 위에 유효성분을 머리카락 3분의 1 굵기의 마이크로니들로 제조하는 기술로 뛰어난 유효성분 전달력과 빠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보존제나 화학 첨가물이 전혀 없이 유효성분만으로 만들어져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스팟이레이저 애플존’은 자외선에 쉽게 노출되어 유독 잡티가 많이 발생하는 눈 밑의 넓은 광대 부위에 사용하기 편리하며, ‘멀티존’은 국소 부위에 사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구성되어 부위에 따라 필요한 제품을 선택해서 편리하게
한국화이자(대표이사 사장 오동욱, www.pfizer.co.kr)가 제 2회 ‘화이자 에센셜 헬스(Pfizer Essential Health, 이하 PEH) 디지털 오픈 이노베이션’ 공모전을 시작한다. 한국화이자 PEH 사업부가 주최하는 ‘PEH 디지털 오픈 이노베이션’ 공모전은 디지털 기술과 건강을 접목해 건강한 한국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는 참신한 헬스케어 및 의료 서비스 솔루션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2회를 맞는 올해는 보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시상의 범위가 확대된다. 또한, 지원자들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도록 돕는 '아이디어 너쳐링 세션(Idea Nurturing Session)'을 운영한다. 본 세션은 한국화이자의 임직원 및 공모 주제와 관련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멘토링을 제공함으로써 아이디어들이 보다 더 구체화되고 심화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으로 운영된다. 1차 심사 통과 이후 2차 심사 전까지의 기간 동안 워크샵 형태로 운영되며, 전문적인 피드백을 통해 참가 아이디어의 가치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고 이를 통해 최종 수상작을 선정할 예정이다. 공모 주제는 ▲만성질환 ▲고령화 사회 ▲질환 관리 ▲의료 및 건강 정
보령컨슈머헬스케어(대표 허병우)의 약국전용 온라인 쇼핑몰 팜스트리트(www.pharm-street.com)에서 발 관리 제품 ‘퓨어풋케어 시리즈’를 출시했다. 보령컨슈머헬스케어의 퓨어풋케어 시리즈는 각질제거에 효과적인 필링 마스크, 수분크림 형태의 풋밤, 보습관리를 돕는 힐패치 총 세 가지 구성이다. 컨슈머헬스케어의 ‘퓨어풋케어 시리즈’가 제시하는 세 단계를 따라 하면 집에서도 꾸준하고 손쉬운 발 관리가 가능하다. 퓨어풋 필링마스크는 덧버선 형태로 양말처럼 신어서 사용하는 각질제거 마스크이다. 발 뒤꿈치와 발바닥의 두꺼운 각질을 1~2시간 사용만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퓨어풋 밤은 쉐어버터, 베타인이 함유된 보습크림이다. 발 각질을 제거한 후 매일 사용하면 촉촉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다. 퓨어풋 힐패치는 굴곡이 있는 뒤꿈치, 팔꿈치, 무릎 등에 간편하게 부착해 보습관리와 각질제거를 한번에 할 수 있는 제품이다. 패치가 피부의 건조함을 막아주고 습윤한 환경을 만들어 각질의 원인이 되는 피부건조를 막아준다. 팜스트리트 관계자는 “알뜰하고 실속 있게 자신을 가꾸는 ‘셀프케어’가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풋케어 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다”고